• search hit 24 of 197
Back to Result List

자유와 사회적 실험 [Freedom and Social Experiment]

  • 이 글에서 논자는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이론적 관점은 어떤 것인지 고찰하고 몇 가지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경제적인 양극화의 문제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부의 편중에 따른 새로운 신분제 사회의 등장이 경제영역에서뿐 아니라, 정치, 교육,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차별을 만들어내며 한국 사회의 자유의 영역을 축소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자유의 개념을 모색하기 위해 논자는 노직, 롤즈, 바우만, 프롬, 벌린, 로티 등의 철학자들에게서 언급되고 있는 자유의 개념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세넷이 말하는 신자유주의의 >사악한< 자유의 개념에 맞대응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노직의 완전자유주의적 태도는 배제되어야 한다. 나아가 자유의 문제를 개인적인 자아정체성의 문제와 결부짓고 있는 관점들도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문제는 사회적 불평등 및 차별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적인 자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프롬이나 벌린에게서 언급되고 있는 >적극적인 자유<도 현재로서는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 논자는 자유를 개인적인 정체성의 문제와는 다른 층위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보는 로티의 >자유주의자<의 자유의 개념 및 그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벌린의 >소극적 자유<의 개념이 실천을 위해 적합한 이론적 도구라고 보았다. 이들의 자유 개념은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보다는 실천을 위한 사회적인 차원의 자유의 조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런 자유의 개념에 입각하여 호네트나 웅거가 주장하듯이 지속적인 사회적인 실험이 이루어져야 한다. 논자의 실천적 제안은 그런 사회적 실험들이 사회적인 자유의 확장을 위해서 자본의 탐욕을 제어하고, 권위주의를 청산하고, 공공성을 확장할 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what theoretical viewpoints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freedom in Korean society and to present some practical suggestions. The problem of freedom in Korean society can not be thought apart from the problem of fundamentally economic polarization. The emergence of a new kind of society based on the preoccupation of wealth has created discrimination in various areas such as politics, education, and culture, as well as in the economic sphere, reducing the scope of freedom of Korean society. To explore the concept of freedom required to improve this situation, I examined what the concept of freedom mentioned in philosophers such as Nozick, Rawls, Bauman, Fromm, Berlin, and Rorty means. In order to confront Sennett’s concept of >evil< freedom of neoliberalism, first of all the libertarian attitude of freedom should be ruled out. Furthermore, the viewpoints of associating the problem of freedom with the problem of personal self-identity are not appropriate. The problem of freedom in Korean society is related to social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so it should be focused on social freedom. In this sense, the >positive freedom< mentioned in Fromm and Berlin is not the object of discussion at present. I consider that the notion of freedom of Rorty’s >liberalist< and the concept of >negative freedom< which is conceptually similar to it, is a theoretical tool suitable for practice, which sees liberty as being dealt with on a different level of personal identity. This is because their concepts of freedom are not about concrete contents but rather about the conditions of social freedom for action. On the basis of this concept of freedom, continuous social experimentation should be carried out as Honneth or Unger argues. My practical suggestion is that such social experiments should aim to control the greed of capital for the expansion of social liberty, to liquidate authoritarianism, and to create institutional devices to expand publicness.

Download full text files

  • Lee_Yu_Sun_2017.pdf

    File not available?

        (You will be redirectet to a request-form. You will need the IdNo there.)
    (kor)

Export metadata

Additional Services

Share in Twitter Search Google Scholar
Metadaten
Author:Yu_Sun Lee
Parent Title (Korean):사회와 철학 [Journal of Society and Philosophy], No. 34 (2017), pp. 97-122.
Document Type:Articles
Language:Korean
Year of first Publication:2017
Release Date:2024/04/04
Format:PDF-file to download
IdNo:Lee_Yu_Sun_2017
Writings about Erich Fromm (Secondary Literature):Articles / Artikel
Erich Fromm's Library and Erich Fromm Archive:Articles / Artikel
Licence (German):
Einverstanden ✔
Diese Webseite verwendet technisch erforderliche Session-Cookies. Durch die weitere Nutzung der Webseite stimmen Sie diesem zu. Unsere Datenschutzerklärung finden Sie h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