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Otte, Rainer T1 - Es geht um den Menschen! Erich Fromms Bedeutung für eine Weltwirtschaftsethik (Korean) JF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ä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28-345. Y1 - 2003 ER - TY - JOUR A1 - Schmidt, C. T1 - Der Umgang mit der NS-Vergangenheit im Spannungsfeld zwischen individuellem und gesellschaftlichem Unbewußten (Korean) JF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ä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85-306. Y1 - 2003 ER - TY - JOUR A1 - Pongratz, Ludwig A. T1 - Ökonomisierung der Bildung – Eine Packungsbeilage zu Risiken und Nebenwirkungen (Korean) JF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ä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69-191. Y1 - 2003 ER - TY - JOUR A1 - Kalcher, Juergen T1 - Über die Vermessenheit des Messens Sozialer Arbeit (Korean) JF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ä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92-214. Y1 - 2003 ER - TY - JOUR A1 - Meyer, Gerd T1 - Gesellschafts-Charaktere in Deutschland. Eine Charaktermauer zwischen Ost und West? (Korean) JF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ä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65-94. Y1 - 2003 ER - TY - JOUR A1 - Park, Ah-cheong T1 -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A psychological review on personality structure in female] JF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Vol 8, No. 1 (2003), pp. 1-17. [Print ISSN 1229-0726] [accesson.kr/kswp/assets/pdf/14003/journal-8-1-1.pdf] N2 -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접근을 여성의 심리 내지 성격에 대한 접근으로 시도되었다. 여성의 자아구조를 논의함에 있어서 프로이트를 위시하여 융, 아들러와 같은 정신의학자들은 물론 여성심리학자로 하는 호나이와 같은 여성심리학자들 조차 여성의 자아구조를 논의함에 있어서 남성을 염두에 둔 생물학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 면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여성의 자아와 정신구조에 대한 이해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임으로 생리적이고 심리적인 측면만으로 단순화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종전의 ‘남성 아니면 여성’이란 식으로 여성을 논할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간으로서의 여성론이 전개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면서 여성의 자아에 대한 심리학적 측면을 연구함에 있어서도 여성의 생리적, 심리적 측면 이외에 사회적, 역사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N2 - In this article, those psychological aspects of ego in woman was examined 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an investigation of female identity formation. Especially psychanalytic approaches including Freud, Jung Adler, Horney, Fromm and Erikson on the development of female ego which emphasized on sex difference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ose theories were wrong biases and had obvious weaknesses due to the biological basis for woman's inferior. From viewing the previous studies we can concluded that although women may view themselves as inadequate compared the man, the to so for societal reasons, not because they were born female, and if women feel unworthy, it is because they have been treated that way in male-dominated culture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asonal and desirable approach of female ego have to consider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of the feminine psyche. Y1 - 2003 ER - TY - JOUR A1 - Min, Hyoung-Won T1 - 비판이론과 정신분석학 (Ⅰ): 『역사와 계급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부터 초기 계급 의식의 탄생 [Kritische Theorie und Psychoanalyse (I) – Kritische Betrachtung über den Paradigmenwechsel in dem marxistischen Lager von den 1920er- zu den 1930er-Jahren] JF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38, No. 6 (2004), pp. 33-64. N2 - Dieser Aufsatz macht es sich zu seiner Aufgabe, aufgrund der Betrachtung der politischen Situation der 1930er-Jahre, die sich seit den 20er-Jahren radikal verändert, die folgende Problematik deutlich zu machen: wie notwendig die Kritische Theorie aus der Lukác'schen >Geschichte und Klassenbewusstsein<, die die beiden jeweils die Hauptparadigmen von 20er- und 30er-Jahren im marxistischen Lager vertreten, hervorgehen musste und gerade deshalb wie konsequent sich die Kritische Theorie mit Lukács >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auseinandersetzen musste. Dabei geht es im Kern besonders um die folgenden beiden Probleme: Erstens, aus welchen Grund die Kritische Theorie mittels gründlicher Revision das Lukács'sche metaphische Totalitätskonzept in den interdisziplinare Materialismus umwandeln musste; Zweitens, warum die Einführung der Psychoanlyse innerhalb des wissenschaftlichen Rahmens des interdisziplinären Materialismus der Kritischen Theorie notwendig war, und wie sich allmählich die Psychoanalyse als zweite Hauptwissenschaft neben der politischen Ökonomie behaupten konnte. Y1 - 2004 ER - TY - JOUR A1 - Park, In-Cheo T1 - 기술시대와 사랑의 윤리학: 후설, 하이데거, 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 [The Era of Technology and the Ethics of Love: Focusing on the Love Theory of Husserl, Heidegger, and Fromm] JF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N2 - 문】현대의 기술시대를 특징짓는 것은 기술에 의한 인간의 획일적 지배이다. 이 속에서 인간은 기술의 노예가 된 채 기술체제에 순응하며 살아가기를 강요받는다. 그럼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본성으로부터 멀어진 채 소외된 상태로 살아간다. 이러한 인간소외를 초래하는 기술시대의 극복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윤리학이 필요할 것인가? 전통적인 윤리학이 기반을 두고 있는 이성에 대한 강조만으로는 나름대로 매우 합리적이고 주지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기술시대의 전반적 경향에 대항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기술시대에 가장 결여되어 있는 것은 인간의 감성이다. 그리고 기술시대의 윤리학은 여기에 호소해야만 하나의 설득력 있는 윤리적 대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감성에 바탕을 두면서 동시에 기술시대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간의 능력은 사랑이다. 따라서 기술시대에 대한 하나의 효과적인 윤리적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사랑의 윤리학이다.그러면 기술시대에 적합한 사랑의 윤리학의 모델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여기서 본 글이 고려 대상으로 삼은 철학자는 후설, 하이데거, 프롬이다. 세 사람 모두 기술시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나름대로의 사랑론을 전개했다는 공통적 배경을 지닌다. 그러나 후설의 사랑론은 지나치게 이념적이고 추상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하이데거의 사랑론은 구체성과 현실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후설에 비해 발전적이나 소극적이고 비의지적이라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프롬의 사랑론은 양자의 단점이 비판적으로 극복된 것으로서 타자와의 결합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적 열망에 바탕을 두고 개인적 관념적 사랑이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프롬의 사랑론은 기술시대에서 황폐화되고 있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 있는 대안으로 적절하다. 기술시대의 사랑의 윤리학은 이러한 프롬식의 사랑론에 바탕을 둘 경우 타당한 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 N2 - What characterizes the modern age of technology is the uniform domination of humans by technology. In this context, humans are forced to live as slaves to technology and conform to the technological system. In this way, human beings are separated from their nature and live in an alienated state. What form of ethics will be needed to overcome the technological age that causes human alienation? The emphasis on reason, on which traditional ethics is based, is not convincing enough to oppose the general trend of the technological age, which is very rational and intellectualistic in its own way. What is most lacking in the age of technology is human sensibility. And the ethics of the technological age can only be accepted as a persuasive ethical alternative only by appealing to it. However, at the same time based on human sensibility, the most needed human ability in the age of technology is love. Therefore, it is the ethics of love that can be an effective ethical alternative to the age of technology. Then, where can we find a model of ethics of love suitable for the age of technology? The philosophers considered in this article are Husserl, Heidegger, and Fromm. All three have a common background in that they developed their own theory of love based on critical perceptions of the technological age. However, Husserl's theory of love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too ideological and abstract. In addition, Heidegger's theory of love is more advanced than Husserl in that it contains concreteness and reality, but it is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passive and unwilling. Fromm's love theor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love as a social phenomenon, not as a personal ideal love, based on the natural aspiration of human beings toward bonding with others as critically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both. Therefore, Fromm's theory of love is appropriate as a concrete and realistic alternative for restoring humanity, which is being ravaged in the age of technology. The ethics of love in the technological age can be established as a valid theory if it is based on Fromm's theory of love. [Google translator, 11/2022] Y1 - 2004 ER - TY - JOUR A1 - Min, Hyoung-Won T1 - 비판이론과 정신분석학(Ⅱ) – 초기비판이론의 학제적 유물론과 프롬 (2005) [Kritische Theorie und Psychoanalyse (II) – Der interdisziplinäre Materialismus der frühen Kritischen Theorie und Erich Fromm] JF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42, No. 6 (2005), pp. 69-116. N2 - Dieser Aufsatz befasst sich mit der frühen Phase der Kritischen Theorie in der Geschichte der Frankfurter Schule, die sich vom Jahre 1930 zum Jahre 1938 erstreckt. Sie ist durch die folgenden Vorgänge gekennzeichnet: die Übernahme des Amtes des Institutsdirektors durch Horkheimer; die Teilnahme Fromms an dem Institut im Jahre 1930; die offizielle Teilname Adornos an dem Institut im Jahre 1938; den Austritt Fromms im Jahre 1939. Diese Phase ist für die Frankfurter Schule dadurch gekennzeichnet, dass durch die Mitwirkung Fromms ein konkreter Prozess der Integration der Psychoanalyse in den interdisziplinären Materialismus Horkheimers verwirklicht wird. Er erreicht seinen Höhepunkt in den im Jahre 1936 veröffentlichten zweibändigen >Studien über Autorität und Familie<. In diesem Beitrag soll dargestellt werden, wie sich diese fruchtbare Zusammen¬arbeit der beiden in ihren fühen Werken widerspiegelt, und ferner aus welchem Grund es zu dem Bruch zwischen den beiden kam. Y1 - 2005 ER - TY - JOUR A1 - Song, Jihyun T1 - [E.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고찰] A Study on E. Fromm's Escape from Freedom JF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38, No. 3 (2005), pp 209-237 N2 - 우리는 외부 권력으로부터의 자유, 즉 소극적 자유의 신장에 매혹되어, 자유와 그것의 전통적인 적들에게 대항해 얻은 승리의 의미를 훼손할 수 있는 내적인 억압, 강제, 두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는 자유의 문제란 오로지 근대사의 과정에서 얻은 소극적 자유를 훨씬 더 많이 얻는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리고 그런 자유를 부정하는 힘들에 대항해서 자유를 지키는 것이 필요한 전부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이제까지 쟁취한 자유 모두가 최대의 힘으로 지켜져야 하지만, 자유의 문제는 양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질적인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잊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전통적인 자유를 지키고 늘려가야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류의 자유, 즉 우리 자신의 개인적인 자아를 실현하고 이 자아와 삶을 믿을 수 있게 해주는 자유도 획득해야만 한다는 것을 잊고 있다. 따라서 나는 소극적 자유의 실현뿐만 아니라 적극적 자유(개인적 자아실현)의 실현을 위해, 프롬(Fromm, E.)이 분석한 자유로부터의 도피심리와 사회현상을 살펴보고, 프롬이 말한 >적극적 자유<의 의미는 무엇이며, 또한 적극적 자유의 개념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벌린(I. Berlin)의 >자유의 두 개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현대인들이 왜 그렇게 신흥종교에 매료(자유로부터의 도피 수단)되는지를 분석한 앨빈 토플러(Albin Toffler)의 생각도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보다 나은 자유 민주주의 시민을 형성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N2 - We are fascinated by the growth of freedom from powers outside ourselves and are blinded to the fact of inner restraints, compulsions, and fears, which tend to underline the meaning of the victories freedom has won against its traditional enemies. We therefore are prone to think that the problem of freedom is exclusively that of gaining still more freedom of kind we have gained in the course of modern history, and to believe that the defense of freedom against such powers that deny such freedom is all that is necessary. We forget that, although each of the liberties which have been won must be defended with utmost vigor, the problem of freedom is not only a quantitative one, but a qualitative one; that we not only have to preserve and increase the traditional freedom, but that we have to gain a new kind of freedom, one which enables us to realize our own individual self, to have faith in this self and in life. Therefore I want to research the mental tendency of the escape from freedom and social phenomenon analyzed by Erich Fromm and see if there are some problems of the meaning of positive freedom in order to realize not only negative freedom but also positive freedom (self-actualization). For this purpose I want to look into Berlin's thought of >the two conceptions of freedom<. In addition, I'd like to take into consideration Alvin Toffler's thoughts which analyzed the reason why modern citizens are interested in the newly-risen religion. I believe that these researches would be helpful to the formation of much better citizens of free democracy. Y1 - 2005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