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Lee, Hak Jun T1 - 살림의 관계회복: 지도자와 장애선수의 참 만남 [Salim's Relationship Recovery: The Good Matching between Coach and Disabled Athlete] JF - 한국체육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56, No. 6 (2017), pp. 1-10. N2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와 장애선수의 참 만남을 위하여 부버, 프롬, 하이데거의 관점을 가지고 살림의 관계회복을 탐구하는 것이다. 관계는 죽임의 관계와 살림의 관계 맺음이 가능하다. 어떤 관계 맺음을 하느냐에 따라서 관계는 달라진다. 지도자가 장애선수를 소유와 도구적 대상이라고 인식하는 것은 잘못된 만남(죽임의 관계)의 시작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해법은지도자가 장애선수를 실존, 인격, 목적의 주체로서 인식하고(부버) 존재적 삶의 태도(프롬)와 심려라는 마음씀(하이데거)을유지하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관계 맺음은 살림의 관계회복으로 신뢰회복과 참 만남을 가능하게 한다.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부버, 프롬,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얻을 수 있는 살림의 관계회복이다. 장애선수의 능력과 개성과 창의성을 죽이는 죽임의 관계가 아니라 개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살림의 관계회복이 요구된다. 지도자 역시 장애선수와 함께 지도철학과 꿈을 실현하는 살림의 관계를 형성한다면, 현장에서 지도자와 장애선수의 참 만남은 현실화될 것이다. N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ood matching between coach and disabled athlete from the perspective of Buber, Fromm and Heidegge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o the works of Buber, Fromm, and Heidegg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disabled athlete can establish a horizontal relationship overcoming the vertical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disabled athlete depend on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being made. There is a problem that coach recognizes a disabled athlete as an objects, materials, or tools. This is the beginning of a misguided encounter between coach and disabled athlete.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hat coach must recognize disabled athlete as an objective subject (Buber), an attitude of existing life (Fromm), consideration that can find it in Heidegger philosophy. This relationship makes it possible for coach and disabled athlete to recover their trust and to make the good matching. Y1 - 2017 ER - TY - JOUR A1 - Kwon, Oh-yong T1 - 증오의 생산, 대상, 정당화 – 프롬, 짐멜, 아도르노를 중심으로 [Production, Reproduction, Legitimation of Hatred: Focusing on Fromm, Simmel and Adorno] JF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58 (2020), pp. 409-450. N2 - 이 연구는 개인과 전체사회 간의 변증법적 연관에 주목하여 개인적 증오가 사회적으로 발현되고 재생산되는 과정과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증오에 대한 효과적 대응양식을 프롬과 짐멜, 아도르노의 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프롬이 제시한 성격에 의한 증오 개념을 통해 개인적인 감정이지만 사회적으로 조건지어진 생활경험에 의해 생성되는 증오의 사회적 성격을 확인하였다. 또한 짐멜의 이방인 개념을 통해 친밀감과 거리감의 동시성이 이방인의 특성이며, 민족적으로 동일한 집단 속에서도 특정 집단이 이방인으로 지목되어 증오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증오를 정당화하는 편견과 이를 사회적-정치적으로 동원하는 선전선동에 대한 아도르노의 연구를 통해 편견이 민주사회의 가치를 거부하는 권위주의적 인성을 가진 사람의 소망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을 밝히고, 편견을 동원하는 선전선동의 기술과 작동방식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편견과 그 동원의 사회적 조건 탐구와 편견과 박해의 현실적 결과를 알려 사람들을 설득하는 지성적 대항수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증오가 복잡한 이해관계와 사회심리학적 연관 속에서 단번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임을 지적하였으며, 꾸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증오에 대응할 것을 제안한다. N2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forms of (re)production of social hatred focused on dialectical processe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hole society. Through Fromm's concept of character conditioned hatred, generated by socially conditioned life experiences, was clarified that hatred as a personal emotion has also his social character. In Simmel's concept of strangers who are members of the same society, but not internally assimilated, exist a tendency that makes the stranger an object of social hatred because of his synchronicity of intimacy and distance. Therefore a social group can be a stranger, even if they are ethnically the same as the insider in society. The study of Critical Theory about authoritarian personality reveals that prejudice justifies the hatred toward strangers. It is solidified in a way that reinforces the psychological desire of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that rejects the values of a democratic society. By examination of technique and operation form of propaganda as a socio-political mobilization of hatred, was suggested the necessity of an intelligent countermeasure to persuade people by showing the realistic consequences of prejudice and persecution along with exploring the social conditions of prejudice and its mobilization. The social hatred is a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at once because it is in a complex of interest and social psychological connection. Constant analysis and critique of the social hatred could be a beginning of an attempt to overcome >defeatist attitude< about social hatred. Y1 - 2020 ER - TY - JOUR A1 - Kwon, Hyuck-mi T1 - 토니 모리슨의 신앙 여정: 『가장 푸른 눈』과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를 중심으로 [Toni Morrison’s Path of Religion in >The Bluest Eye< and >God Help the Child<]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N2 - 본 논문에서는 토니 모리슨의 첫 번째 소설 『가장 푸른 눈』과 최근 소설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설명하는 두 가지 실존양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작가의 신앙관을 추적하였다. 1970년에 발표된 『가장 푸른 눈』에는 세 명의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인 폴린과 제럴딘 위트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고 피콜라의 정신분열 발생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2015년에 발표된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서 부커의 고모 퀸은 >존재양식의 신앙인<으로 브라이드가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부커와의 사랑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독교 신앙의 주요 속성을 >베푸는 사랑<으로 규정해온 토니 모리슨은 평생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을 질타하고 >존재양식의 신앙인<이 되도록 촉구하며 독자들의 정신적인 성숙을 이끌어온 >존재양식의 신앙인<이다. 작가는 말년의 작품에서 기독교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태아를 향한 축복 기도를 작품의 제목으로 삼을 만큼 신앙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N2 - This paper aims to trace Toni Morrison’s religious dimensio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s in her first novel and her latest novel based on Erich Fromm’s two modes of existence in >To Have or To Be<. In >The Bluest Eye<, her first novel, >the Having Mode< of religion characterizes three African-American characters, Pauline, Geraldine, and Elihue who exploit others and bring about the ruin of the protagonist Pecola, a young black girl. In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Queen is characterized by >the being mode< of religion. She plays a crucial role in helping Bride find her true identity and recover her love with Booker. Morrison who has understood the Christian religion as that of a gene< of religion. As depicted in her rendering of Queen, Morrison, who also has >the Being Mode< of religion, reveals optimistic faith in Christians to the point of ending her work with a player of blessing over the newborn as the title of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implies. Y1 - 2018 ER - TY - JOUR A1 - Kwon, Hyuck-mi T1 - 사랑에서 토니 모리슨의 사랑의 정의 [Toni Morrison’s Definition of Love in >Lov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N2 - 사랑에는 성공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업가 빌 코지 가족들의 부정적인 행위들이 난무하여 사랑의 상반되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가족들의 불화의 원인 제공자는 빌 코지이다. 52세의 빌 코지는 11살 히드와 결혼을 하고 이 결혼 이후, 가족들은 고통당한다. 특히 가족들의 싸움에 지쳤다면서, 빌 코지는 전 재산을 내연녀에게 유산으로 남긴다는 유언장을 작성하여 가족 모두를 배반한다. 빌 코지와 그의 가족의 불화한 모습들은 호텔 주방장인 엘의 사랑을 부각한다. 엘은 작품 속 주요 등장인물 중 유일하게 빌 코지에 대응하는 인물이다. 엘은 어머니가 부재한 빌리 보이와 크리스틴을 양육한다. 그녀는 코지 가족들의 심정을 이해하고, 재치 있는 대처로 각종 갈등상황을 해결하고, 누구의 편도 들지 않고 불행에 빠진 사람을 돕는다. 또한 조금도 불법적인 금전상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엘의 사랑은 빌 코지의 살해와 대체 유언장 만들기로 완성된다. 엘을 통해 모리슨은 사랑이란 고린도 전서 13장의 부정적인 행위들 즉 투기, 자랑, 교만, 무례함, 이기주의에 굴복하지 않는 것이고, 에리히 프롬이 설명했듯이, 보호하고 책임지며, 상대를 존중하고 그의 처지에서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행위이며, 이에 더해 긍정적인 결과를 위해 계산 없이 과감하게 정의를 실천하는 행위임을 주장하고 있다. N2 - In Love, rampant adversarial actions of Bill Cosey’s family run counter to love. At the center of this discord is Bill Cosey- a powerful and wealthy African American. 52-year old Bill Cosey marries Heed, an 11-year old girl. This doomed marriage from the very start leads to the suffering of his family. Bill Cosey betrays his entire family by irresponsibly making a will which leaves all his property to Celestial, his secret mistress. Among the strife-torn Cosey and his family, L’s love emerges in contrast. She is the only person who can stand up to Bill Cosey. She tries to sympathize with every character and resolve conflicts cleverly. She takes no one’s side and gives her hand to whoever needs help. She never makes any unfair profit during her employment period. Ironically, L completes her love by poisoning Bill Cosey and changing his will. This brings about the final reconciliation between Heed and Christine. Through L, Toni Morrison defines love which does not yield to jealousy, boasting, arrogance, rudeness, and egotism but practices nurture, responsibility, respect, and sympathy. And she includes the element of practicing uncalculating supralegal righteousness in love. Y1 - 2016 ER - TY - JOUR A1 - Kwon, Hyeoknam T1 - 고독사 예방 및 극복을 위한 기독교 사회윤리적 기초 [Christian Social Ethics for Preventing and Overcoming Solitary Death] JF - 권혁남 [Theology and Praxis], No. 38 (2014), 441-452. N2 - 현대사회는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 및 가족의 축소, 도시환경의 변화, 가치관의 혼란 등으로 인해 사람들의 >유대<(혹은 친밀감)가 점점 약화되어가고 있다. 그래서 최근 사회 및 학계의 각 영역에서 >유대<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우리사회에서 >유대<라는 개념이 크게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인간관계의 왜곡 현상이 이제는 간과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문제라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에 대한 조사가 일부 진행되기는 했으나 축적된 연구가 매우 빈약하고, 그 정책적 대응 또한 매우 미비하다. 얼마 전부터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한 이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 영역의 접근은 단순히 실태보고와 현상적 대응에 대한 논의만 이루어질 뿐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고찰이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간관계의 상실 및 왜곡에 따른 결과적 현상이 사회적 고립에 의한 >고독사<와 같은 충격적인 형태로 나타나다보니 이론적 고찰보다는 대응책 마련이 더 시급한 선결과제가 되어버렸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눈앞의 문제에 급급한 나머지 그 심원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요인을 밝히는 작업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이 문제는 계속 우리사회에 잠복해 있다가 언제든지 다시 그 현상을 표출시킬 것임은 자명하다. 이는 우리사회가 이미 경험한 바다. 현재 사회적으로 고독사 현상의 양적⋅질적 변화에 맞는 다양한 대책이 강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독사와 관련하여 여전히 과거의 현상과 다를 바 없는 언론의 보도가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고독사< 문제의 예방 및 극복은 다양한 차원의 제도적 대책마련에 앞서 기본적(이론적) 접근을 통해 근본적 해결을 위한 요인을 밝히고, 그에 따라 접근해야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선 >기본<으로서의 인간관계인 >유대<와>사랑<의 관계를 에드문트 후설과 에리히 프롬의 견해에 기대어 윤리적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마틴 루터와 존 웨슬리의 논설을 따라 >기독교적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인 >이웃사랑<이 고독사 예방 및 극복을 위한 윤리 사상적 토대임을 제안하였다. N2 - In modern society, the >bond< (or closeness) of people is weakening due to the following factors: rapid changes in economic environment; smaller families; changes in urban environment; confusion of values. As a result, the concept of >bond< has garnered rising attention in society and academia recently. It reflects the fact that distortion of human relationships is becoming a serious issue with lots of people in Korean society. Although such issue has been examined in recent years, the studies and policy responses are very weak. People who hav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e issue have conducted related studies. However, they have only revolved around the status, with no clear theoretical exploration. The reason is obviously as follows. Since the loss and distortion of human relationships have led to the shocking result of >solitary death< caused by social isolation, response measures are perceived to be more urgent than a theoretical exploration. However, if the fundamental solution factors are not identified prior to taking measures, the issue will always exist in our society and make things worse any time. That's what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Even though it has taken various measures in line wi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of solitary death in society, the media has continuously reported the issue, which has never been improved.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o prevent and overcome the issue of >solitary death<: The fundamental solution factors should be identified first through a basic (theoretical) approach before taking measures. To support the arg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bond< and >love<, a >basic< human relationship, was analyzed from an ethical standpoint based on the views of Edmund Husserl and Erich Fromm.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was suggested: >Caring about neighbors, which is a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for communality<, is the ethical basis for preventing and overcoming solitary death, according to Martin Luther and John Wesley. [Author's English version] Y1 - 2014 ER - TY - JOUR A1 - Kim, Su-Yeon T1 - 불교와 정신치료 [Buddhism and Psychotherapy] JF - 정신분석 [Psychoanalysis (JKPS)], Vol. 27, No.4, pp. 133-137. N2 - Buddhism and Psychotherapy focus on alleviating mental suffering through a detailed investigation of mental process. Therefore Buddhism and Psychotherapy overlap each other in the theory and in practice. Historically there are many attempts to collaborate between Buddhism and psychology by a variety of renowned psychoanalysts such as Carl Jung, Erich Fromm, Karen Horney, and Mark Epstein et al. I reviewed Buddhism’s approach to the self which is described as >no-self<. Sense of the self arises from different conditions, there isn’t a permanent and solid self.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self based on Buddhism is not contradictory to modern psychology and deepens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no-self. In practice, Buddhism and psychotherapy roughly share the similar method in some aspect to approach the inner mind. But the next step to deal with these materials is definitely different. In this article I never attempt to view Buddhism through the term of psychotherapy and to integrate two fields. The earnest introspection and considerate academic attitude are necessary to collaborate between Buddhism and psychotherapy without losing the essence of each other. Y1 - 2016 ER - TY - JOUR A1 - Kim, Sun Ah T1 -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sychoanalytic >Subject of Desire<] JF - 기독교교육 논총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KSCRE)], No. 59 (2019), pp. 335-368. N2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필요성에 의해 시도되었다: 첫째로, 우리의 미래세대가 4차 산업의 혁명과 함께 도래하는 >초기술사회<에서 자신의 진짜 삶을 잃어버리지 않고 가정과 학교, 교회 공동체와 사회에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길인도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로, 그러한 교육은 인간을 >욕망의 주체<로 이해함과 동시에 >사랑의 소통<을 통해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랑의 존재<로서 이해하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로, 이러한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한 전인교육적인 사랑의 교육의 방향 및 과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우리의 미래세대가 진정한 사랑을 욕망하는 주체로서 진짜 삶을 살아가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우리의 미래세대가 진정한 사랑을 욕망하는 >주체>이자<사랑의 존재>로서 살아가도록 길인도 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을 연구한 본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독교 신앙을 무의식적 욕망과 관련하여 재해석한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학문적 논의의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둘째로, 소쉬르로 대표되는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주장하는 >기의의 우위성<을 전복하고 >기표의 우위성<을 제기한 라캉과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업적을 토대로, >주체의 인간화<로 인도하는 >기표<인 >사랑의 말<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진정한 사랑을 욕망하는 인간, Homo Desiderans를 제시함으로써 인간이해의 지평을 융복합적으로 확장하였다. 즉 무의식의 >욕망의 주체<로서 사랑을 >욕망하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존재이자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진정한 >사랑의 능력<을 키워나가는 인간존재인 정신분석학적 · 기독교적 Homo Desiderans를 제시하였다. 넷째로, 우리의 미래세대를 위한 사랑의 교육은 주체가 타자를 향한 사랑의 욕망을 따라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사랑을 나누며 살아갈 수 있도록 길인도 하는 전인격적 교육이어야 한다. 사랑의 교육의 전인격적인 가치를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롬의 사회심리학적 통찰과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통찰을 활용하였다. 다섯째로, 이러한 탐구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의 방향 및 과제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주체의 인간화<를 위한 사랑의 교육, >아가페적 사랑을 욕망하는< 사랑의 교육, 그리고 >치유(용서)와 모험(신앙)<을 위한 사랑의 교육이 신앙공동체 안에서 먼저 실천될 때 우리의 미래세대는 아가페적 사랑의 불꽃을 삶의 모든 영역에서 밝히는 첫걸음을 옮기게 될 것이다. N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attempt to address the following needs. First, we need a psychoanaly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humans as >subject of desire< to help future generations live as >subjects of desire< in their homes, schools, church communities, and society. Second, with this human understanding, we need to understand humans as >loving beings<, living spontaneous and creative lives through the >communication of love<. Third, there is a need to approach the problem of lov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and social psychology in order to establish the healing and holistic educational value of the education for love. This paper studied the education of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 psychoanalytical >subject of desire<, so that future generations can live as human beings who desire true love. First, Dolto’s psychoanalytic view of reinterpreting Christian beliefs in relation to unconscious desire was used as a resource for academic discussion in this paper. Second, based on the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sychoanalysis of Lacan and Dolto, who overthrew the >superiority of the signified< claimed in the structuralist linguistics, as represented by Ferdinand de Saussure, this study presented >the superiority of the signifier< in the symbolic leading to >humanization of the subject<. Thirdly, a new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human beings was presented. In other words, the understanding of humans in terms of Christian education was expanded by presenting a new concept of the human, Homo Desiderans, for the sake of Christian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Fourth, Homo Desiderans was presented as a human being who wants to live a >life of desire for love<, as the subject of unconsciousness and as a person who needs to develop the ability of love in his life. Fifth,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t was suggested that Christian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should be an education of love that helps the subject live a life that is harmonious with others, along with the desire for love for others. As its specific direction and task, they study proposed an education of love for the >humanization of subjects<, an education of love for the >desire for true love<, and an education of love for >healing (forgiveness)< and >adventure (faith)<. Ultimately, an education for lov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analytical >subject of desire< can help future generations to live as >subjects of desire for love< toward others within the community of love, especially, within the faith community of love. To this end, in-depth discussions on education for love should be promot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a psychoanalytical >subject of desire<, and related follow-up studies must also be continued. Y1 - 2019 ER - TY - JOUR A1 - Kim, Kweon Hwan T1 - 논어』의 군자와 소인: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상 [Jūnzǐ and Xiǎoré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a Human Character orienting for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JF - 동양철학연구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No. 78 (2014) pp. 37-68. N2 - 본 논문은 『논어』의 군자와 소인이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임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의 군자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당위적 덕목을 나열하고 그 덕목을 갖추기 위해 수양하라는 지극히 간단한 구조였다. 그런 연구는 >군자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나름대로의 성과를 내고 있지만 군자 모습의 형상화만으로는 군자의 총체적 의미를 다 살려냈다고 보기 힘들다. 왜냐하면 군자는 완전한 인간으로 우뚝 선 결과적 모델이 아니라 완성을 지향하는 과정적 인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 그 반대편에 있는 소인도 같은 논리로 과정적 인간이 된다. 이런 과정적 인간의 모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연구가 에리히 프롬 『인간의 마음』이다. 그는 인간의 마음이 세 가지 정향에 따라 성장 증후군을 나타내거나 쇠퇴 증후군을 나타내는 쪽으로 변하는 것으로 모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그 모형에 착안하여 군자, 소인, 중인의 관계도를 완성하였다. 보통사람으로 지칭될 수 있는 중인을 가운데 배치하고 여기서 출발하여 위로 성장하는 정향을 가진 사람을 군자로 보고, 아래로 쇠퇴하는 정향을 가진 사람을 소인으로 보았다. 그리고 성장의 최고 단계에 도달한 사람을 성인으로, 쇠퇴의 극한에 이른 사람을 폭군으로 보았다. 또 성장과 쇠퇴를 결정하는 정향을 각각 세 가지 제시함으로써 관계 모형의 타당성을 높였다. 그 세 가지는 성장의 정향으로 인의, 예악, 학습 정향을, 쇠퇴의 정향으로 불인, 비례, 자포자기의 정향을 제시했다. 본 논문의 이런 모형을 통해 군자와 소인에 대한 다음과 같은 새로운 관점과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군자와 소인은 고정적 인간형 모델이 아니라 어딘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과정적 인간이라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성장 정향을 가진 군자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쇠퇴의 정향을 가진 소인의 위험성을 경고할 수 있다. 셋째, 성장과 쇠퇴의 정향 사이에서 유동하고 있는 보통 사람에 주목하게 되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N2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iscate that Jūnzǐ (君子) and Xiǎorén (小人)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progressive human who have orienting for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So far, the research for Jūnzǐ in academic world was so simple structure which listed items of virtue as moral obligation and gave an advice for the discipline one's mind to obtain them. That kind of research has been contributed by succeeding to give an image of Jūnzǐ, but It is hard to acknowledge only for the image itself to present overall understanding of Jūnzǐ. Because Jūnzǐ is not a final model who became a perfect human being but a human being who is in the progress toward orienting completion of himself. And Xiǎorén in opposite side is also progressive human being. We can see good diagram of The progressive human being in >The Heart of Man< by Erich Fromm. He presents diagram that human's mind changes to growth syndrome or deterioration syndrome depends on three kinds of orienting. This thesis has been completed the diagram of relationship between Jūnzǐ, Xiǎorén, and a middle person (zhōngrén; 中人) by referring Erich Fromm's diagram. I've placed the middle person who could be considered an average person in the center, from there the human who has orienting the growth toward upside are considered Jūnzǐ, the human who has orienting the deterioration toward downward are considered Xiǎorén. And the human who reached to the highest level is called saint, the human who reached to the limit of lowest level is called tyrannizer. And I enhance the validity of the diagram of relationship by putting forward three orientations which determine the direction for growth or deterioration. The three orienting for the growth are rényì [仁义; humanity and righteousness], lǐyuè [礼 乐]; propriety and music], xuéxí[ 学习; learning], for the retrogression are bùrén [不仁; inhumanity], fēilǐ[ 非礼]; uncourteous], abandon oneself were presented. We can get new point of view for Jūnzǐ and Xiǎorén through this diagram of the relationship. The first, we can get a point of view that Jūnzǐ is not a final model who became a perfect human being but a human being who is in the progress toward orienting completion of himself. The second, we can emphasis not only for the importance of Jūnzǐ but also the dangerousness of Xiǎorén. The third, we can the point of view to focus on the middle person who moves up and down between orienting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Y1 - 2014 ER - TY - JOUR A1 - Kim, Kwangsik T1 -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본 EXO의 >으르렁 [The Song >Eureureong< [Growl] of EXO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und E. Fromm]<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사회와 철학 [Social Philosophy], Vol. 35 (2018), pp. 45-66. N2 - >으르렁<은 젊은 세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노래 가운데 하나다. 이 노래는 젊 은 세대에게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노래는 철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노래다. 으르렁대는 야만적인 무한경쟁의 심리가 드러나 있다. 이 논문은 그 노랫말을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보고 그 철학적 까닭과 해법을 찾아보았다. 니체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시기, 곧 타자 부정이며, 그 해법은 긍 정, 곧 자기 긍정이다. 자기가 사랑하는 이성을 사랑하는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때문이며, 그 바탕에는 열등감과 시기심이 깔려 있다. 무엇보다 먼저 자기를 가치 있는 사람으로 긍정하면, 열등감과 시기심에 빠지지 않고,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해 불안이나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프롬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며, 그 해법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다.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이성을 독차지하려는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 때문이다. 무엇보다 먼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가지면, 사랑의 존재, 곧 사랑의 과정 및 경험 그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성을 독차지하지 못하거나 잃어버릴까봐 불안해할 필요가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으르렁<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우리 젊은 세대는 자긍심보다 열등감이나 시기 심이 강하고,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보다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 강한 경향이 있다. 우리 나이든 세대의 유산일 게다. 걱정되는 것은 그러한 경향이 더 노골적이고 거칠어졌다는 점이다. 철학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무한경쟁을 낳는 사회 구조적 원인이 가장 큰 탓이다. 하지만 철학자의 탓이기도 한 만큼 우리 철학자들이 젊은 세대의 자긍심이나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북돋우는 데 힘써야 한다. N2 - The song is one of the songs that represent the pop music of the young generation. Because the song has gained huge popularity among young people. This song is philosophically >so dangerous<. The song has the mentality of the growling barbarous unlimited competition. I analyzed the lyrics of the song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and E. Fromm and explored the philosophical reasons and solutions. In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 philosophical reason is the jealousy, this is the negation of others, and the solution is the pride, this is self-affirmation. The reason why he growls to other people who love his beloved partner is the anxiety or the fear to a man superior to himself, which is based on the inferiority feeling or the jealousy. First of all, if he affirms himself as a worthy person, he won't growl to others, because he don't have to feel inferior to or jealous of a man superior to himself and to feel anxious or fear. In the philosophy of Fromm, the philosophical reason is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and the solution is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The reason why he growls to others is because he has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which make him desire to monopolize his beloved partner. First of all, if he has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he won’t growl to others, because he regards the existence of love, namely the process or experience of love as important and therefore he don’t have to feel anxious or fear lest he can’t monopolize her or loses her. According to guessing from the song >Eureureong<, I guess that our younger generations tend to have inferiority feeling or jealousy rather than the pride and to have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rather than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It is the legacy of our old generation. Worrying is that such trends are more explicit and rough-hearted. It is not just a philosopher's fault. That is mainly due to social structural causes. However, as a philosopher, we must strive to encourage our young people to have the pride and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because it is also a philosopher's fault. Y1 - 2018 ER - TY - JOUR A1 - Kim, Keum-Dong T1 - 김기영의 <하녀>에 나타난 장르 연구 [A Study on Genres in Kim Giyoung’s Film >Hanye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문학과 영상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Vol. 7, No. 2 (2006), pp. 37-68. N2 - In 1960s, realist films such as >The Coachman< by Gang Daejin and >An Aimless Bullet< by Yu Hyeonmok depicted with sympathy the poverty-stricken life and desperate circumstances of working class in urban area after war whereas >Hanyeo< [>The Housemaid<] by Kim Giyoeng sternly and sharply analyzed the middle class as well as the working class without emotional involvement as to what kind of economic relationship they had in industrial capitalism and as to what kind of psychological symptoms were induced by the economic relationship. Moreover, the characters in >The Coachman< and >A Aimless Bullet< were those who could not get away from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life style whereas the characters in The Housemaid were completely new people who were cut off from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life style. >Hanyeo< presented that all desires and impulses of the characters who lived in the society of industrial capitalism were completely dominated by the principles of capitalism. Unfortunately,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 movie were not aware of such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theirs at all, and consequently, they could not avoid their misery and devastation. It is not easy to find a film using such an unique mo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s. Moreover … Y1 - 2006 ER - TY - JOUR A1 - Kim, Jin-Han T1 - 무엇이 유능한 성인교육의 교수자로 만드는가: 사랑으로 가르치는 따름학(followgogy)의 관점을 중심으로 [Who is The Great Instructor?: A Point of View >Followgogy< to Teach with Love] JF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1 (2010), pp. 1-20. N2 - 유능한 교수자가 된다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의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절실한 과제이고 바람이다. 페다고지 교육현장이든 안드라고지의 교육현장이든 가르치는 자의 능력이 교육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기에 유능한 교수자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사랑으로 가르치는 것의 의미와 실천적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랑으로 가르치는 진정한 의미는 모호하며 사랑에 대한 의미부터 해석을 달리 할 수 있다. 에릭 프롬은 사랑의 의미와 방법적인 문제를 논하고 있지만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가르침을 위한 사랑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본고는 유능한 교수자가 되기 위해 가르침의 가장 원론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사랑으로 가르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사랑의 실천적 관점에서 교육의 현장을 분석하고 실천적 사랑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랑을 이해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의 괴리를 채워줄 함축적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인 가르침의 황금률은「남에게 대접받기 원하면 먼저 대접하라」는 예수의 사랑의 실천 원리가 최상의 방법이 될 수 있고 이는 따름의 학습 원리 즉 따름학의 실천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N2 - Who is the great instructor? It is main problem in education to be a great instructor and whoever want to be a great instructor. In field of teaching, it is important factor to teach with >love<. But the real meaning of teaching with love is not clear and there are so many meanings of love. As we know, Erich Fromm defined meaning of >love< and art of loving in his book. But it is difference project from to find real meaning of love and practice of love in teaching. So this article was intented to find meaning and method for teaching with love. To teaching with love is to give love without any condition and when it can be to bring up creative results, we shall define it perfect love in teaching. We can find method to give love from Jesus` word, such as >So in everything, do to others what you would have them to do you<. And he practices his love without any reward and he also say to his disciples >Come Follow me<. It represent how to practice with love. The great instructor is who practice >the golden rule< with love who show to his learner to follow his teaching actions. Y1 - 2010 ER - TY - JOUR A1 - Kim, Jeong-shin T1 - 이성복 시에 나타난 소외 극복 과정 고찰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와 『남해금산』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Isolation Shown in Lee Sung-bok's Poems: Focusing on >Dwing-guneun dol-eun eonje jam kkaeneunga?< and >Namhaegeumsan<]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44 (2011), pp. 179-200. N2 - 이성복은 한국의 198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병든 시대 의식을 >정든 유곽<에 빗대어 파악한 빼어난 감수성을 보여준다. 유곽은 병원, 기차역, 시장과 함께 인생을 연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로, 시적 화자에게 병든 징후를 드러내는 공간이다. 본고는 이성복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평자나 논자들이 간과한 프롬의 소외론에 논의의 근거를 두었다. 프롬에 의하면, 소외의 근원이 자연으로부터, 사회로부터, 이웃이나 타자로부터, 심지어는 자기 자신이나 자아로부터 소외됐다는 것이다. 이런 면을 이성복 시에 적용하여 분석의 틀로 삼았다. 프롬에 의하면, 사랑이란 분리된 것을 결합하고, 소외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성복은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에서 당시의 고통스런 시대상을, 『남해금산』에서는 치욕적인 현실로부터 사랑에 이르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고통 속에 내재된 치욕이야말로 사랑이라는 인식에 이른 결과이다. 즉 사랑은 아픔이며 그 아픔을 통과할 때만이 아픔 속에 내재된 소외를 극복할 수 있으며, 그런 아픔의 인식이야말로 치유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국 이성복은 >뒹구는 돌<이라는 혼란스런 의식 내부의 공간에서 >남해금산<이라는 열린 공간으로의 끊임없는 자기 소외 극복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N2 - Lee Sung-bok is a representative poet in the 1980s. He shows remarkable sensitivity by comparing the ill sense of the era to >Cared Yookwak<. In his poems, Yookwak is a representative place in which his life can be investigated along with hospital, train station, and market and also a place to show the symptom of illnes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ungbok Lee's poems with approach of Fromm's isolation theory which has been ignored by the previous researchers. According to Fromm, the isolation originates from nature, society, neighbor or the other, and even the self (himself/herself). I take Fromm's theory as a frame for the analysis in this paper and applied the theory to Sungbok Lee's poems. According to Fromm, love can make a harmony from the separated things and this is how to overcome the isolation. Sungbok Lee shows the painful situation in the era in the poem, >Dwing-guneun dol-eun eonje jam kkaeneunga?<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 >When does rolling stones wake up?>]. Also, he shows very well the process of reaching to the true love out of the shameful situation in >Namhae geumsan< [『남해금산』 >South Sea Gumsan<], which suggests that the internal bitter and painful shame resulted in realizing the true love. In other words, love can be obtained from the process of realizing a pain. Once you get through the pain, you can overcome the isolation. Also, realizing the pain implies the possibility of healing. As a result, Lee Sung-bok shows very well the continuous process of overcoming the self-isolation through >the rolling stone< which represents the confused inner space toward >South Sea Gumsan<, which represents an open space. Y1 - 2011 ER - TY - JOUR A1 - Kim, Ja-Seong T1 -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소외문학의 현실 인식(I) -카프카의 「변신」에 나타난 소외의식을 중심으로 [Untersuchung zur Entfremdung in der Literatur aus soziologischer Sicht (I) – In Bezug auf das Entfremdungsbewusstsein in >Die Verwandlung< Kafka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헤세연구 [Hesse-Forschung], Vol. 19 (2008), pp. 251-267. N2 -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ie Bedeutung der Entfremdung und die Problematik der Identität in der modernen Industriegesellschaft. Es geht um die Entfremdung im Dasein des Menschen und den Verlust an der Beziehung zwischen >Ich< und >Welt<. Erstens sind nach Auffassung in diesem Beitrag die moderne Gesellschaft und die Entfremdung, Begriff und Ursache der Entfremdung, Erkenntnis der Entfremdungsstruktur sowie Verdinglichung, Konfliktstruktur und Zerstörung des Subjekts unserer Zeit eingeprägt. Im Hinblick auf theoretische Forschungen diskutieren wir Hegel und Marx vom philosophischen Gesichtspunkt, Melvin Seeman vom soziologischen Gesichtspunkt, und Erich Fromm vom psychologischen Gesichtspunkt aus. Im Allgemeinen lässt sich sagen, dass die in die industriellen Strukturen eingebundenen Menschen an den Leistungsanforderungen zerbrechen können. Die Leistungssteigerung in sämtlichen Facetten betrifft nicht nur den Arbeiter und Manager, sie betrifft auch den Autor, weil Umsatzsteigerung in jedem Betrieb Pflicht ist. In einer von Nützlichkeit und Gleichgültigkeit beherrschten Gesellschaft steht der Mensch im Gegensatz zur Welt und zu sich selbst. Zweitens werden in Bezug auf >Die Verwandlung< Kafkas die Entfremdung des Menschen und der Verlust der Identität im literarischen Sinnbild angesprochen. Für den heutigen Menschen ist die Zerrissenheit seines Lebens und seiner Welt charakteristisch. >Die Verwandlung< stellt die Gestalt des heutigen Menschen bloß, der an dem großen Mechanismus der heutigen industriellen Gesellschaft jämmerlich zu Grunde geht. Es läge zunächst nahe, die Verwandlung vom Menschen ins Tier als Identitätsverlust aufzufassen. Denn die Verwandlung ins Tierhafte bedeutet zwar den Verlust der Sprache, die auf tierische Laute reduziert ist, einen Wechsel in der Nahrungsaufnahme und in einem räumlichen Sichfortbewegen, also eine Reduktion der vitalen Organisation auf eine rein tierische Stufe; aber das Bewußtsein des Verwandelten ist ein rein menschliches, und er ist überdies durchaus imstande, menschliche Vorgänge und Gespräche aus seiner Umgebung aufzunehmen. Gregor ist zwar in ein widerwärtigrs Tier verwandelt, aber er hört darum nicht auf, Gregor zu sein. Mit der >Verwandlung< bleibt Kafka in der Ausweglosigkeit des mytischen Kreises gefangen, wo Opfer und Selbstopfer ununterscheidbar werden. Kafka sah sein >Ich< im Unheil und meinte zu erkennen, dass einzig im Leiden des Todes ein Zustand des Heils erreicht werden könne. So war es sein Bestreben, dichtend den Tod herbeizuführen, um auf diese Weise sein Seelenheil zu erringen. Y1 - 2008 ER - TY - JOUR A1 - Kim, Hwang Gee T1 -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Art as the Grounds of the Lived Experience of Being] JF - 미술교육논총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Vol. 21, No. 3 (2007), pp. 1-22. N2 - 존재란 소유하거나 소유하려고 탐하지 않고 기쁨에 차서 자신의 능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고 세계와 하나가 되는, 그런 실존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교육은 미술을 통해서 가능한데 그 이유는 미술이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물음의 내적 과정이고, 존재론적 한계상황과 이를 극복하려는 성찰적 과정이 미술적 과정이고 이것은 자신의 경험일반에 자리하지 않기에 초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미술교육은 다양한 앎의 방식을 제공하고, 통합을 추구하고, 열정을 경험하고, 자신을 발견하고, 내재적이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도 가진다. 그런 점에서 미술교육이 지식의 습득 정도 보다는 미술활동을 통한 의미체험이나 인간의 성장과 완성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열림은 우리 아이들로 하여금 전환적 계기를 맞이하고 자신의 존재와 마주하게 하는 것이다. N2 - Becoming true artist is discovering the meaning to himself/herself and writing unique little narratives about it. According to Fromm(1976), >by being referred to the mode of existence in which one neither has anything nor craves to have something, but is joyous, employs one's faculties productively, is oned to the world< (18-19). In the mode of being, knowledge is nothing but the penetrating activity of thought. In this mode, one experiences oneself as the subject of one's activity. However, in the mode of having, what is restricted is free, spontaneous experience of the children's and the adolescents' will, their thirst for knowledge and truth, their wish for affection. The growing person is focused to give up most of his or her autonomous, genuine desires and interest, and his or her will, and to adopt a will and desires and feelings that are not autonomous but superimposed by the social patterns of thought and feeling. If the pressure and the boredom are removed and material is presented in an alive way, remarkable activity and initiatives are mobilized. Therefore, busyness, example, art activity separated from students's spiritual ground is not the knowledge and not to having meaning. Y1 - 2007 ER - TY - JOUR A1 - Joo, Kwang-Sun T1 - 성철 선사상의 서구철학과의 비교 [The Comparison of Seongcheol’s Seon-Thought with the Occidental Philosophy] JF - 코기토 [Cogito], Vol. 90 (2020), pp. 229-260. N2 - 필자는 성철 선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필자는 상호문화철학의 유비의 해석학을 이용하여 성철을 서구 철학과 비교한다. 비교는 한 쪽에 다른 쪽을 포섭시키는 것이 아니라, 양자 사이에 관계를 하나 형성하는 것이다. 우선 데카르트는 성철과 의심이라는 지점에서 겹친다. 양자 모두 모든 것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그리고 극단적으로 의심한다. 그러나 데카르트가 의심을 확실한 지식을 발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반해서 성철은 어디에도 안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망상으로부터 해방되려고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성철은 근대의 시초인 데카르트보다 근대 비판가들인 마르크스나 프로이트와 더 많이 겹친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생산관계의 이데올로기적 반영과 반향에 사로잡혀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프롬에 따르자면 사회가 의식을 구성한다. 성철은 혁명을 꿈꾸지 않는다. 다만 깨달음을 통해서 마르크스나 프로이트가 주목하는 것을 포함해서 온갖 망상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한다. N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Seongcheol’s Seon-thought. For this reason I am going to compare him with Western philosophy by means of the analogical hermeneutic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o compare means not to integrate one into the other, but to build a relationship between both sides. Descartes’ doubt overlaps with Seongcheol’s doubt. Both of them put everything in doubt independently and radically. However, Descartes uses doubt as a means to find true knowledge, whereas Seongcheol never stop to doubt. So, in the aspect of freeing oneself from illusions, he is more similar to critics of modernity like Marx and Freud than to Descartes. Marx shows that people are captured by the ideological reflexes and echoes of the relations of production, and according to Fromm the consciousness is constituted by society. Seongcheol dreams of freeing oneself from all illusions including the ones of Marx and Freud only by means of enlightenment. Y1 - 2020 ER - TY - JOUR A1 - Jeong, Seok-kwon T1 - 알란 퍼스트의 『외신 특파원』 연구 – 자유, 정체성 그리고 사랑 [A Study of Alan Furst's >The Foreign Correspondent<: Liberty, Identity and Lov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36 (2009), pp. 357-375. N2 - Alan Furst's >The Foreign Correspondent< is mainly about the life of Italian intellectuals who had fled Mussolini's fascist government and found uncertain refuge in Paris. Their life is that of >diaspora< since as the etymological meaning of >diaspora< suggests, they had to leave their home country and to lead very precarious lives in a foreign country. Their life is dangerous as well as uncertain because they resisted fascism by publishing clandestine press that smuggled news and resistance messages from Paris back to Italy. Their lives can be traced as the pursuit of freedom. According to Eric Fromm, the freedom can be viewed as >the passive freedom< and >the active freedom<. This paper follows how Carlo Weisz,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whose job is a foreign correspondent, becomes to achieve the active freedom from the life of passive freedom. As a conclusion, this paper will discuss how Weisz achieves his identity through liberty and love. Y1 - 2009 ER - TY - JOUR A1 - Jeong, Sae_Byeol A1 - Yun, Soo_Wan_2022 T1 -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비판적 근대 사회 재현 – >만춘<과>맥추<를 중심으로 [The Critical Representation of Modern Society in Ozu Yasujiro's Films – Focusing on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씨네포럼 [Cineforum], No. 42 (2022), pp. 65-96. N2 - 본 연구는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가 근대 사회를 비판적으로 재현하고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오즈 야스지로는 영화 내러티브 상에 근대 사회에 관한 견해를 드러내지 않더라도, 여러 연출 방식을 통해 근대 사회의 내재화된 모순과 고통을 폭로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논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만춘>과 <맥추>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근대의 시간을 표현하는연출과 근대인의 부정적인 특성을 묘사하는 연출을 살펴본다.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시계와 기차를 활용해 근대의 시간을 성찰한다. 일터에서 집 안까지로 침투하는 시계 소리의 활용은 효율성 극대화를위해 모든 인간 동작을 통제하는 근대의 선분화된 시간 질서를 표현한다. 기차를 연출하는 방식은 목적론적이며 비가역적인 근대적 시간의 특성을가시화한다. 시계 소리나 시곗바늘 각도에 맞춰 움직이는 인물들, 또는 기차 이미지와 함께 등장하는 인물들은 획일적으로 고정된 근대적 삶의 리듬을 내면화한 근대인을 묘사한다. 나아가 오즈 야스지로가 지향하는 배우의 연기 스타일과 인물 간의 시선 연출, 사물과 인물의 배치 등은 에리히 프롬이 근대인의 병리적 성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한 ‘자동인형적 순응’ 개념을 활용해 분석하기 적절하다. 감정을 억제하는 표정과 부자연스러운 몸짓, 인물 간의 동기화된행위 연기는 감정과 생각이 통제되고 타인과 비슷하게 행동함으로써 무력감을 상쇄하는 근대인의 자동인형적 순응을 잘 보여준다. 인물 간의 불화하는 시선은 경쟁과 무관심에 바탕을 둔 근대의 고립된 인간관계를 드러낸다. 또 다중 프레임에 갇히거나 주변 요소에 의해 통제되는 인물 배치는근대화가 표방하는 자유와 개인 주체의 허상을 나타낸다. 한편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근대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근대적 사고 체계를 거부하는 역설적 연출을 보여주기도 한다. 관객과 영화 사이에 비판적 거리를 두는 비인간적 시선과 과거, 현재, 미래가 혼재하는 비선형적 시간을 나타내는 연출이 대표적이다. 근대의 모순이 잔존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본 연구가 오즈 야스지로 작품의 의미를 유효하게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하길 기대한다. N2 - This study attempts to argue that Ozu Yasujiro's film critically represents modern society. Ozu Yasujiro exposes the contradictions and pain of modern society through various directing methods, even when he doesn't reveal his view on modern society directly in the narrative. To effectively argue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ng of expressing modern time and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people, with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as the main targets of analysis. Ozu Yasujiro's film uses watches and trains to reflect on modern time. The use of clock sounds penetrating from the workplace to the home represents a segmental time order that controls all human behavior to maximize efficiency. The way the train is directed visualize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ime that are teleological and irreversible. The characters that move according to the sound or the angle of the clock or the characters that appear with the image of the train depict modern people who internalized the rhythm of the modern life, which is uniformly fixed. Y1 - 2022 ER - TY - JOUR A1 - Jeong, Moun-Kwon A1 - Yun, Nam-Hui T1 - (性)을 통한 합일(合一)의 형상화- 1920-30년대 한국소설을 중심으로 [Consciousness of Unity through Sex – Focused on Korean Novels in the 1920's through the 1930'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한국문예비평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No. 27 (2008), pp. 185-210. N2 -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unity of will could be realized through sex in the Korean novels which were written in the special period of the 1920's through 1930's which wer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modernization. Erich Fromm's philosophical speculation was a good criterion to clarify this kind of process. The right way to forward the truth of unity was the very matured love that Erich Fromm talked about. Matured love is to feel the unity in the circumstances the parties respect another's individuality. However, at that time, many people were exposed to poverty due to Japanese colonial polic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prostitution, one way of solution out of poverty, was mixed with the desire lay behind unconsciousness and this resulted in destruction in the end. Characters of Boknea in Gamja (Potato) and Chunho's wife in the novel of Sonagi (A sudden shower) were created at that time. Modern women and men could not be free from sex ideology deeply rooted in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predominance of me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moving forward to the true unity, some people fell in love with in the novels. Some examples are that Yeonsil who fell in love in the novel of >Kim Yeonsil Jeon< and Young Chae who decided to commit suicide because of purity complex in the novel of >Mujeong<. Even, there appeared a character like Soonok in the novel who sanctify sex. However, they found their identity in the end and their actions were proved as transitional phenomenon taking place between the gap of unity and want by showing their will of true unity. Also, there is a character in the novel who agrees the process of unity based on respect for the other sex. Youngshin and Donghyuk in the novel of >Sangroksu< are those examples. It can be said that the love realized by them shows the truth of unity. Y1 - 2008 ER - TY - JOUR A1 - Jeong, Chang Rok T1 -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에 대한 분석과 생명의료윤리교육 I – 에리히 프롬의 입장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Authoritarian Mechanisms 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and Medical Ethics – Education in Korea with a Focus on Erich Fromm] JF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7, No. 2 (2014), pp. 187-213. N2 - 교육이 사회를 반영하듯이, 의료도 사회를 비춘다. 본 논문은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적 경향이 교육과 의료의 영역에 만연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프롬의 자본주의비판과 관련된 입장들이 한국 의료 사회를 대상으로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이려고 한다. 이 목표를 위해 먼저 에리히 프롬의 사상을 개관해 보고, 사례를 통해 한국 의료계를권위주의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해 다루어 본다. 이후 에리히 프롬의 여러 사상적 개념들 중에서 특히 소외와 도피의 개념에 주목하여, 한국 의료계의 여러 현상들에 상식적으로 적용한다. 이때 상식적이라 함은 특별한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동원하지 않고,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었을 의료 경험을 통해 수긍할 만한 수준을 뜻한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필자는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해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프롬의 입장에서 제안하려고 한다. 프롬은 현대인들이 활동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있다고 비판한다. 필자는 프롬이강조한 활동의 회복이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담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N2 - This article examines some of the ethical issues associated with authoritarianism 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Erich Fromm. The article first describes the authoritarianism 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using Fromm’s concepts of >alienation< and >escape<. The article then introduces Fromm’s concept of >activity< as a means of overcoming some of the problems with authoritarianism 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Y1 - 2014 ER - TY - JOUR A1 - Hwang, Soo-Min A1 - et al., T1 - 웰라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트렌드 분석연구2014년에서 2018년까지 [Analysis of Hairstyling Trends in the Wella Collection: From 2014 to 2018]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rt], Vol. 19, No. 4 (2018) pp. 187-199. N2 - Entering the 21st century, new cultural trends have been formed after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and the environment. Social psychologist Erich Seligmann Fromm proposed that ‘the ability to predict the future and express subjects and acts in diverse ideas’ is an attribute that makes humans different from animals. There are very diverse ways and views to predict trends and experts from individual fields can predict trends by studying related laws. These trends can be viewed as a phenomenon that expresses the emotions and personality that exist in people’s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people want to create trendy and unique styles, using diverse elements and design factors by escaping from a conventional concept of beauty. Humans design and develop new tools that are both esthetic and functional through harmony between art and science. In fashion, art and cosmetology, trendy collections are suggested annually by predicting trends in advance. New and diverse trends that differ from past trends are always pursued.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furthermore, trends have become a large issue around the globe. Hairstyling is closely related to trend so that there should be continued studies on new trend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airstyle trends in the Wella Collection from 2014 to 2018. It analyzed these hairstyles by shape, texture and color, and the results ar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analyzing hair collections. It is hoped that they would be useful in predicting future trends. Y1 - 2018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