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Park, Chan-Kook T1 -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적 욕망론에 대한 고찰 [Schopenhauer’s Metaphysical View of Desire] JF - 철학사상[The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No. 36 (2010), pp. 85-119. N2 - 이 글은 쇼펜하우어의 욕망관과 그것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존재자들이 자기보존에의 욕망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욕망들은 물자체로서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쇼펜하우어는 각 개체들과 종족들은 자신들의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투쟁하고 갈등하는 바 이러한 세계는 생각할 수 있는 세계 중에서 최악의 세계라고 보았다. 쇼펜하우어는 욕망을 극복하는 궁극적인 방법으로 이성에 의한 의지부정을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이는 이성을 자기보존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의 도구로 보는 자신의 철학적 입장과 모순될 뿐 아니라 그의 철학이 이성과 욕망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이원론의 입장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인간의 욕망을 고찰하는 보다 설득력있는 입장으로서 이 글에서는 말미에서 프롬의 욕망관을 간략히 살펴보고 있다. 프롬은 쇼펜하우어나 서양의 전통적인 이원론적인 입장이 주장하는 것처럼 이성과 욕망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건강한 이성에 대해서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병적인 이성이 대립한다고 보았다. N2 - This article examines Schopenhauer’s view of desire, its problems and how we can cope with these problems. According to Schopenhauer, the lives of all beings inclusive of human beings are determined by their desire for preservation of the self and species; these desires are expressions of the cosmic Will as the thing-in-itself. In the world, all individual beings and species struggle against each another in order to satisfy their own infinite desires, and so this world is the worst world among the worlds that can be conceived. The way that Schopenhauer is advocating as the ultimate way of overcoming this desires is to negate desire by reason. However, this is not only contradictory to his own philosophical position, in which reason is see as an instrument of desire for the preservation of self and species, but also means that his philosophy is degraded to the traditional dualism that opposes the reason for desires. At the end of this article, we examine Erich Fromm’s view of desire briefly as a more persuasive position that copes with these problems. Fromm considered that reason is not opposed to desire, as Schopenhauer did; additionally western traditional dualism insists, that the productive and affirmative desires combined with sound reason are opposed to the destructive and negative desires combined with unsound reason. Y1 - 2010 ER - TY - JOUR A1 - Lee, Jaeil T1 - 루돌프 옷토의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 [A Study on Educational Implication of Rudolf Otto's Religious Experience] JF - 종교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KJRE)], Vol. 32 (2010), pp. 249-262. N2 -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루돌프 옷토가 말하는 종교적 감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종교 체험은 종교를 이해하는 주요한 대상이다. 종교 체험은 매우 다양하지만 공통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종교 체험의 감정적 측면에 주목한 옷토는 종교 체험을 성스러움의 체험으로 이해한다. 그는 이를 피조물 감정, 두려운 신비감, 매혹성, 어마어마함, 장엄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성스러움의 체험 내용은 두려움과 매혹으로 대비되어 이해할 수 있다. 바하는 옷토가 종교 체험을 두려움과 매혹성으로 구분한 것을 높게 평가하였다. 필자는 두려움과 매혹의 양극성으로 구분되는 종교적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주목한다. 종교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부성애와 모성애의 교육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두려움과 매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교육적 작동방식을 살펴보았다. 프롬에 의하면 부성애는 조건적이고 인위적인 것이고 모성애는 무조건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유아에게 부성애는 존경심을 형성하고 모성애는 안정감을 형성한다. 유아는 이러한 마음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관계를 맺어가게 된다. 카를 융은 인간은 양극적 요소를 통합하면서 인격을 성숙하게 된다고 하였다. 옷토가 주장하는 종교체험도 인격의 형성과 관계된다. 두려움은 인간이 자신을 반성하고 바로잡아가도록 하고, 매혹성은 성스러운 존재에게 다가가 평온과 행복에 취하게 한다. 결국 두려움과 매혹성의 종교 체험은 부성과 모성의 사랑과 유사한 교육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N2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educational implication of religious experience. Religious experience is the major subject to understand religions. Although religious experience has various aspects, it may be explained by essential elements. Rudolf Otto concentrated his attention on the emotional aspect of religious experience. He named religious feelings >creature-feeling< which may be divided into terrifying (tremendum) and fascinating (fascinans). Joachim Wach valued Otto’s idea about it highly. I am also interested in Otto’s idea which is divided into terrifying and fascinating. I especially concentr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errifying and fascinating. Firstly, I tried to understand paternal love and maternal love in order to explain the educational implication about polarity. Secondly, I explained the educational mechanism of terrifying and fascinating .According to Erich Fromm, paternal love is conditional and unnatural, maternal love is unconditional and natural. Children’s respects are molded by paternal love and their stability are molded by maternal love. Children build various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these. Carl Jung said that human beings form their character through unifying polarity. Religious experience is also related to building character. Terrifying makes human beings reflect on themselves and correct their behavior, fascinating makes them get close to the Holy and be intoxicated with peace and happiness. In conclusion, it can be described that religious experience with terrifying and fascinating has educational influence on human beings as paternal love and maternal love do on children. Y1 - 2010 ER - TY - JOUR A1 - Lee, Hongkyun T1 - 사회 압력으로서 일반화된 타자들의 사회 기대 [The Social Expectation of Generalized Others as a Form of Social Pressure] JF - 사회와 이론 [Society and Theory], No. 16 (2010), pp. 47-78. N2 - 에밀 뒤르케임이 사고와 행위의 집합적 양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위대한 사회학적 대상의 발견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사고와 행위의 집합적 양식을 도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과 동일시했다. 이후 조지 허버트 미드나 악셀 호네트 등의 사회학 이론가들 역시 >일반화된 타자들의 집합적 힘<을 도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과 동일시하고 있다. 반면 허버트 마르쿠제, 에리히 프롬, 알랭 투렌 등의 학자들은 개인이 사회로부터 비합리적인 강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주장을 하면서, 시장이나 국가에 의한 강제를 문제시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두 학자군에 의해서 조명되지 못한, 사회의 영향에 의한 개인의 행위 부분이 있음을 논증한다. 일반화된 타자들이 공유하는 비합리적 집합적 힘 역시 강하게 작동되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가부장적 권위주의, 사회적 과시, 인종차별, 연고·연줄주의 등의 형태로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집합적 힘이 존재하고 있다 N2 - It has been evaluated as a great contribution for the development of sociological theory that Emile Durkheim discovered the collective form of individual actions and thoughts. But he regards the collective form as moral and religious. George Herbert Mead and Axel Honneth also share the moral and religious definition of the collective power of generalized others. On the other side, there is another group of scholars such as Herbert Marcuse, Erich Fromm and Alain Tourain who argue that Individuals are under the unreasonable pressure of the society. They regards the coercion by market and state as problematic. This paper lights the unexplained part of individual actions by both groups of scholars. That is the >unreasonable< collective power by the generalized others, not by market or state. For the both groups of scholars remains the fact as the residual category that the generalized others have shared the unreasonable collective power, which result in various social problems related to patriarchal authority, social conspicuousness, racism, and so forth in our society. Y1 - 2010 ER - TY - JOUR A1 - Kim, Jin-Han T1 - 무엇이 유능한 성인교육의 교수자로 만드는가: 사랑으로 가르치는 따름학(followgogy)의 관점을 중심으로 [Who is The Great Instructor?: A Point of View >Followgogy< to Teach with Love] JF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1 (2010), pp. 1-20. N2 - 유능한 교수자가 된다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의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절실한 과제이고 바람이다. 페다고지 교육현장이든 안드라고지의 교육현장이든 가르치는 자의 능력이 교육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기에 유능한 교수자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사랑으로 가르치는 것의 의미와 실천적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랑으로 가르치는 진정한 의미는 모호하며 사랑에 대한 의미부터 해석을 달리 할 수 있다. 에릭 프롬은 사랑의 의미와 방법적인 문제를 논하고 있지만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가르침을 위한 사랑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본고는 유능한 교수자가 되기 위해 가르침의 가장 원론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사랑으로 가르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사랑의 실천적 관점에서 교육의 현장을 분석하고 실천적 사랑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랑을 이해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의 괴리를 채워줄 함축적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인 가르침의 황금률은「남에게 대접받기 원하면 먼저 대접하라」는 예수의 사랑의 실천 원리가 최상의 방법이 될 수 있고 이는 따름의 학습 원리 즉 따름학의 실천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N2 - Who is the great instructor? It is main problem in education to be a great instructor and whoever want to be a great instructor. In field of teaching, it is important factor to teach with >love<. But the real meaning of teaching with love is not clear and there are so many meanings of love. As we know, Erich Fromm defined meaning of >love< and art of loving in his book. But it is difference project from to find real meaning of love and practice of love in teaching. So this article was intented to find meaning and method for teaching with love. To teaching with love is to give love without any condition and when it can be to bring up creative results, we shall define it perfect love in teaching. We can find method to give love from Jesus` word, such as >So in everything, do to others what you would have them to do you<. And he practices his love without any reward and he also say to his disciples >Come Follow me<. It represent how to practice with love. The great instructor is who practice >the golden rule< with love who show to his learner to follow his teaching actions. Y1 - 2010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