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Han, Sun-Young T1 - 집단상담에서의 힘의 변형 연구 – 권위적인 힘으로부터 상호적인 힘으로의 변형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ower in Group Counseling – Transformation from Authoritarian Power to Reciprocal Power] JF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No. 123 (2022), pp. 301-336. N2 - 본 연구의 목적은 힘의 변형 관점에서 집단상담 이론을 재이론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폭력성이 집단상담 과정을 통해 변형된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집단상담이 힘의 변형 자원이 있음을 논증하고, 힘의 변형 관점에서 권위주의가 뿌리 깊은 한국의 목회 영역에 유의미한 실천적 적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힘은 관계의 맥락 안에서 권위적인지, 혹은 상호적인지 정의되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힘의 변형이란, 대인관계과정에서 권위적인 힘이 상호적인 힘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진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의 이론과 과정을 힘의 변형 관점에서 다시 구조화했다는 점에서 그 주요한 성과가 있다. 또한 집단상담의 힘의 변형 자원을 신학적으로 조명하여 오늘날 한국교회의 리더십 유형과 공동체의 관계성 유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N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eorize the group counseling theory from a perspective of power transformation, and to analyze cases in which adolescent violence is transformed through the group counseling proces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demonstrate that group counseling has a transformative resource of power. The researcher also attempted to seek a meaningful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pastoral field in Korea, where authoritarianism is deeply root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ing power. Power can be defined as authoritative or reciprocal within the context of a relationship. The transformation of power in this study means that the authoritative power is transformed into a reciprocal power in the interpersonal process.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is study has a major achievement in that it restructured the theory and process of group counseling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transform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is research explores the leadership style of the Korean church today and the relationship style of the community by theologically illuminating the transforming resources of the power of group counseling. Y1 - 2022 ER - TY - JOUR A1 - Jeong, Sae_Byeol A1 - Yun, Soo_Wan_2022 T1 -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비판적 근대 사회 재현 – >만춘<과>맥추<를 중심으로 [The Critical Representation of Modern Society in Ozu Yasujiro's Films – Focusing on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씨네포럼 [Cineforum], No. 42 (2022), pp. 65-96. N2 - 본 연구는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가 근대 사회를 비판적으로 재현하고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오즈 야스지로는 영화 내러티브 상에 근대 사회에 관한 견해를 드러내지 않더라도, 여러 연출 방식을 통해 근대 사회의 내재화된 모순과 고통을 폭로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논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만춘>과 <맥추>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근대의 시간을 표현하는연출과 근대인의 부정적인 특성을 묘사하는 연출을 살펴본다.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시계와 기차를 활용해 근대의 시간을 성찰한다. 일터에서 집 안까지로 침투하는 시계 소리의 활용은 효율성 극대화를위해 모든 인간 동작을 통제하는 근대의 선분화된 시간 질서를 표현한다. 기차를 연출하는 방식은 목적론적이며 비가역적인 근대적 시간의 특성을가시화한다. 시계 소리나 시곗바늘 각도에 맞춰 움직이는 인물들, 또는 기차 이미지와 함께 등장하는 인물들은 획일적으로 고정된 근대적 삶의 리듬을 내면화한 근대인을 묘사한다. 나아가 오즈 야스지로가 지향하는 배우의 연기 스타일과 인물 간의 시선 연출, 사물과 인물의 배치 등은 에리히 프롬이 근대인의 병리적 성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한 ‘자동인형적 순응’ 개념을 활용해 분석하기 적절하다. 감정을 억제하는 표정과 부자연스러운 몸짓, 인물 간의 동기화된행위 연기는 감정과 생각이 통제되고 타인과 비슷하게 행동함으로써 무력감을 상쇄하는 근대인의 자동인형적 순응을 잘 보여준다. 인물 간의 불화하는 시선은 경쟁과 무관심에 바탕을 둔 근대의 고립된 인간관계를 드러낸다. 또 다중 프레임에 갇히거나 주변 요소에 의해 통제되는 인물 배치는근대화가 표방하는 자유와 개인 주체의 허상을 나타낸다. 한편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근대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근대적 사고 체계를 거부하는 역설적 연출을 보여주기도 한다. 관객과 영화 사이에 비판적 거리를 두는 비인간적 시선과 과거, 현재, 미래가 혼재하는 비선형적 시간을 나타내는 연출이 대표적이다. 근대의 모순이 잔존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본 연구가 오즈 야스지로 작품의 의미를 유효하게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하길 기대한다. N2 - This study attempts to argue that Ozu Yasujiro's film critically represents modern society. Ozu Yasujiro exposes the contradictions and pain of modern society through various directing methods, even when he doesn't reveal his view on modern society directly in the narrative. To effectively argue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ng of expressing modern time and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people, with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as the main targets of analysis. Ozu Yasujiro's film uses watches and trains to reflect on modern time. The use of clock sounds penetrating from the workplace to the home represents a segmental time order that controls all human behavior to maximize efficiency. The way the train is directed visualize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ime that are teleological and irreversible. The characters that move according to the sound or the angle of the clock or the characters that appear with the image of the train depict modern people who internalized the rhythm of the modern life, which is uniformly fixed. Y1 - 2022 ER - TY - JOUR A1 - Park, Youngkyun T1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론 정립을 위한 모색: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에 관한 속류화와 혼란들을 넘어 [The Study for the Function of Healing Theory on Historical Trauma: Beyond the Vulgarization and Confusion about th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JF - 시대와 철학 [Epoch and Philosophy –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Vol. 33, No. 1 (2022), pp. 115-144. N2 - 이 글은 우선, 역사적 트라우마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어떻게 다른가를 논의하는 데에서 출발하고 있다. 둘째로, 이 글은 정신분석학이라 는 범주 안에서 프로이트와 다른 정신분석학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논의하 면서 트라우마와 관련하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가진 문제점을 비판적 으로 다루고 있다. 셋째, 프롬의 사회심리학을 다루면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관한 정신분석이 가진 특징을 제시할 것이다. 이런 논의 하에 이 글은 넷 째,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①원초적 트라우마에 반해 후천적 트라우마이며 ②직접 체험하지 않은 2차적 트라우마화라는 점에서 간접적이고, ③체험 당사자 주변을 넘어서 세대 집단 간의 전이를 유발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정신 분석은 사회심리학과 다르다. 또한, 그렇기에 치유도 역사적 트라우마가 유 발하는 PTSD가 유발하는 장애로서 >트리거<들을 제거하는 것이자 민족공동 체 간의 리비도적 흐름을 창출하는 것이다. N2 - This article first starts with discussing how historical trauma differs from Freud's psychoanalysis. Second, this article critically deals with the problems of Freud's psychoanalysis in relation to trauma while discussing how Freud and other psychoanalysis differ within the category of psychoanalysis. Third, while dealing with Fromm's social psychology, we will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analysis of historical trauma. Based on these discussions, fourth, this article suggests the direction of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trauma present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1) In contrast to the original trauma, it is indirect in that it is an acquired trauma (2) It is an acquired trauma as opposed to the original trauma, (3) it is indirect in that it is a secondary trauma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directly, and (4) it causes a transfer between generation groups beyond those who experienced it. Therefore, psychoanalysis of historical trauma is different from social psychology. Also, for this reason, healing is removing the >triggers< as a disorder induced by PTSD caused by historical trauma and creating a libido flow between national communities. Y1 - 2022 ER - TY - JOUR A1 - Shim, Jae-Myung T1 - 에리히 프롬을 통해 본 여가의 의미 [Meaning of Leisure Implied in Erich Fromm] JF - 관광연구논총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 34, No. 2 (2022), pp. 3-27. N2 - 본 연구는 에리히 프롬의 글을 통해 철학적 관점에서 여가에 대해 탐구하였다. 역사적으로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인간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으며, 그 기반 위에서 인간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해 각자의 개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그러나 그 같은 체험을 하는 사람은 소수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로지 소극적 의미의 자유만을 경험함으로써 자유의 진정한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프롬의 저서들로부터 여가에 시사점을 준다고 판단되는 여덟 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것들은 현대자본주의 사회에 순응한 현대인에게서 어떻게 수동적 여가의 모습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현대사회의 노동은 인간이 능동적 존재가 될 수 없는 영역이며 생존의 필요를 가지는 인간이 노동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여가를 통해 인간이 능동적인 존재가 되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함으로써 개성을 실현하는 것이 여가가 삶에 줄 수 있는 진정한 보상이라는 것이 프롬이 던지는 메시지이다. N2 -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leisure based on Erich Fromm’s thesis of freedom. What we call democratic society has evolved such that people have been increasingly provided with more freedom, socially and politically, and it was expected that people actively would seek out to use that freedom to fulfill their potentials and individuality. But, most people have conformed to the existing social order and failed to achieve active use of it. Examination of a series of Fromm’s books resulted in eight themes, each of which may indicate how this failure took place, which, in turn, give implications in our understanding of leisure. Especially, they help us understand how modern leisure concedes to the norms of capitalist society and comes to only represent passive experiences in life. It is unlikely that people pursue an active existence in work, nor can they live without it. It is leisure therefore where people can exercise freedom, be a master of their own, build their identity, and be what they truly are. [Author's English version] Y1 - 2022 ER - TY - JOUR A1 - Lee, Moon_Jung T1 -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 [The Ambivalence and Religiosity of Human Beings Represented in Uram Choe’s Kinetic Sculptur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2, No. 5 (2021), pp. 307-320. N2 - 최우람은 움직이는 기계생명체를 보여주는 키네틱 조각(kinetic sculpture)을 통해 기계 문명과 인간사회를 고찰한다. 상상력과 기계의 결합으로 탄생한, 유기체 같은 정교한 움직임의 기계생명체들은 과학기술의 전개와 발전을 보여주는 동시에 기계생명체가 인간과 자연스럽게 공존할지도 모르는 미래에대한 작가적 상상을 담아낸다. 이와 같은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이 전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인간의 본질에 관한 고찰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인간 존재에 관한 탐구와 관련해 양가성과 종교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한이론적 바탕으로 삶과 죽음을 다룬 철학적 논의들, 바니타스(Vanitas)의 개념, 종교에 관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이론과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의 기술종교(techno-religion) 등을 다루었다. 우선 양가성과 관련해서는 지배자와 공유자, 삶과 죽음에 초점을 맞췄다. 최우람의 기계생명체는 마치 신처럼 생명을 창조하고 지배하려는 인간의 도전을 은유하며, 인본주의와 문명의 발전을 근거로 위계질서를 정당화했던 역사에 대한 자기반성이다. 또한 모든 생명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절대적 부재인 죽음을 통해 인간의 존재 원리를 숙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종교성의 경우 최우람이 창안한시간 신과 네트워크의 신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최우람은 인간의 지향체계이자 헌신의 대상인종교를 다룸으로써 인간의 욕망뿐 아니라 과학기술 시대를 반영하는 종교와 신앙의 변화를 숙고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최우람의 작품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을 살펴보는 본 연구를통해 역사적으로 미술의 주된 주제였던 인간에 관한 탐구가 동시대 미술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N2 - Uram Choe examines the mechanical civilization and human society through kinetic sculptures that show moving machine life(Anima Machine). Created by a combination of imagination and machine with sophisticated movements like an organism, machine life forms show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capture the artist’s exploration of the future where the machine life forms may naturally coexist with humans. The most important message conveyed by Choe’s kinetic sculptures is the examination of the human nature. This study thus focuses on the topic of ambivalence and religiosity in relations to the exploration of human existence,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Choe’s kinetic sculptur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philosophical issues dealing with life and death, the concept of Vanitas, Erich Fromm’s theory about religion, Yuval Noah Harari’s techno-religion, and the like were covered. First, in terms of ambivalence, the focus was on two aspects, one is about the ruler and the sharer, the other is about life and death. Choe’s Anima Machine is a metaphor for the challenge of humans to create and rule over all life forms as if they were gods and is a self-reflection regarding history that has justified hierarchy based on humanism and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t also contemplates on the principles of human existence through death, an absolute absence of what exists in all life. As for the religiosity, his analysis is centered around the God of Time and the God of Network for which he created. Through religion, the center of human orientation and the object of devotion, Choe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not only on the human desire but also techno-religion in reflection of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examining the ambivalence and religiosity of human existence in Uram Choe’s work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xploration of human beings, which has historically been the main subject of art, is represented in contemporary art. Y1 - 2021 ER - TY - JOUR A1 - Lee, Sookyung T1 - 영화 >케빈에 대하여<에 나타난 모성 신화의 재현 [Reproduction of the Maternal Myth in the Movie >We Need to Talk About Kevin<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Story and Image Telling], No. 22 (2021), pp. 155-185. N2 - 영화 >케빈에 대하여<는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모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자는 엄마의 역할에 한정되어 평가되며, 가사와 육아를 책임지는 사람이라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우리가 현재 당연시하고 있는 모성은 만들어진 개념이다. 모성은 아동의 개념과 인구 증식과 맞물리며 18세기의 시대적 상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만들어진 모성이라는 개념은 이후 200년 동안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자의 가장 훌륭한 덕목으로 평가되어 왔다. >케빈에 대하여<는 살인마가 된 아들 때문에 남편과 딸, 일과 명예 등 모든 것을 잃고, 사회의 지탄을 받는 주인공 에바가 모성을 획득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에바는 타고난 모성을 갖지는 않았지만, 남편과 딸을 죽이고, 자신의 모든 것을 잃게 만든 살인마 아들을 버리지 않는다. 정신적, 물질적으로 모든 것을 상실한 절망적 상황에 처하지만 그녀는 아들을 포기하지 않는다. 아들은 엄마의 모성을 시험하는 원인 제공자로 등장하며, 결국 그녀를 모성으로 이끌게 만든다. 모성은 여자의 숙명임을 보여주며 작품은 끝을 맺는다.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은 어머니의 사랑은 무조건적이며, 만들어낼 수도, 통제할 수도 없고, 보답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에바는 1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의 고난을 거치면서 드디어 사회가 요구하는 모성을 획득하게 된다. 그렇게 에바는 사회가 만든 모성을 획득하게 되면서 >진정한< 어머니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21세기가 된 현재에도 여자의 역할, 모성에 대한 신화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맺는다. N2 - The movie >We Need to Talk About Kevin< is a work that makes us think about what motherhood is for us living in the modern age. In most countries, women are limited to the role of mothers and have been regarded as those responsible for housework and child rearing. But motherhood, which we currently take for granted, is a created concept. Motherhood is intertwined with the concept of children and population growth, and is created by the circumstances of the 18th century. This created concept of motherhood has been regarded as the greatest virtue of women in most countries for the 200 years. >We Need to Talk About Kevin< tells the story of Eva, the protagonist, who loses everything including her husband and daughter, work and honor, because of her son who became a murderer, and acquires motherhood. Eva doesn't have the innate motherhood that every woman has, but she doesn't abandon her son, the killer who killed her husband and daughter and lost everything she had. She is in a desperate situation where she has lost everything mentally and materially, but she does not give up on her son. The son appears as the causative agent who tests the mother's motherhood, eventually leading her to motherhood. The work concludes by showing that motherhood is a woman's destiny. Social psychologist Erich Fromm asserts that mother's love is unconditional, cannot be created, cannot be controlled, and cannot be reciprocated. They acquire the motherhood that society demands. In this way, Eva acquired the motherhood created by society and was reborn as a >real< mother. It shows that even in the 21st century, the myth about the role of women and motherhood are still continuing. Y1 - 2021 ER - TY - JOUR A1 - Shin, Minjoon T1 - 새로운 문명의 장력을 향하는 개체적 의지 — 루쉰(魯迅) 초기 잡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Will of Individual in Lu Xun’s Early Essay]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중국학논총 [Journal of Chinese Studies], No. 71 (2021), pp. 115-140. N2 - 루쉰(魯迅)은 자신의 초기 잡문을 통해 문명이 지닌 인류발전으로서의 과정 및 결과로서의 성격과 함께 문명이 지니는 규범화를 통해 발현되는 야만성 및 그로 인한 인간의 자기예속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루쉰은 이러한 문명의 양가적인 모습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서 새로운 개체적 의지를 찾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인류 사회의 조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바로 루쉰의 문학 창작이 지니는 의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루쉰의 창작은 곧 인간의 윤리성을 바탕으로 하는 개체적 의지와 인류 발전적인 문명의 공존에 대한 모색으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상기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루쉰의 초기 잡문에서 사회를 이루는 기성 문명의 장력 속에서 문명의 폭력적인 야만성을 제거한 새로운 문명의 장력을 찾고자 하는 인간의 개체적 의지와 그 가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루쉰의 초기 잡문 속 문명론을 아도르노(Theodor Wiesengrund Adorno),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 마르쿠제(Herbert Marcuse) 등의 비판이론가들의 문명에 대한 관점 및 그에 대응하는 인간의 태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고찰을 시도한다. N2 - This paper has several purposes. First, it examines the concepts of civilization in Lu Xun’s early essay. Luxun illustrated his perspective that the civilization is not only the process and result of human progress but also drives people into Self-subordination. Second, it seeks the way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in Lu Xun’s early essay. I argue that Luxun believed that people have the ethical power to escape from subordination in society and the creative ability to make a harmonious society. Finally, it seeks to find the means that makes human and civilization coexist together.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I challenge a comparison between Lu Xun’s perspective and Critical Theory that has been made and developed by Frankfurt School which includes Theodor Wiesengrund Adorno, Max Horkheimer, Herbert Marcuse, Erich Fromm, Walter Benjamin, etc. I argue that they have similarities in the perspective on >negative thinking<. For them, >negative< is essential factor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within civilization. They believed that >negative< attitude could lead people out of Self-subordination. Thus, I seek the way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and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civilization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Lu Xun’s perspective and Critical Theory. Y1 - 2021 ER - TY - JOUR A1 - Wang, Ting-Ting A1 - Lee, Jong Han T1 - 영화 >체르노빌 다이어리< 중 체르노빌 공간의 권력구조 연구 [A Study of Chernobyl’s Spatial Power Structure in the Film Named >Chernobyl Diary<]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애니메이션연구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 Vol. 17, No. 21 (2021), 141-166. N2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생명안전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대, 특히 코로나19의 배경 아래에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재난의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은 미룰 수 없는 임무이다. 체르노빌 원전폭발은 이미 역사로 남았지만 그것이 남긴 문제는 아직도 적절하게 해결되지 않았다. >체르노빌<이라는 이 금기된공간을 어떻게 적절하게 처리할지는 현대사회의 문제 중 하나이다. 본문은 브래들리 파커(Bradley Parker) 감독의 <체르노빌 다이어리>(2012)를 사례로 현대에서 체르노빌의 공간적 표현을 고찰한다. 이 영화는 자극을추구하는 여행객들이 금지구역인 체르노빌로 진입하면서 겪는 끔찍한 상황을 그렸으며, 영화에서 나타난 체르노빌은 실제 체르노빌의 공간 상태와 부합한다. 영화에서 묘사한 체르노빌은 무인구역, 소비구역, 정치권력 규제구역 세 공간이 혼합된 장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공간이 작동하는 메커니즘과 상호 관계를 탐구하여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이 말한 건전한 사람과 건전한 사회의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체르노빌은 무인구역, 소비구역, 정치권력 규제구역 세 공간이 혼합되어 서로를 제약한다. 체르노빌이라는 이 공간에서 국가는 주도적위치를 차지하며, 무인구역과 소비구역의 운영 배후에는 국가의 정치권력이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다. 원전폭발로 인해 체르노빌은 정치당국에 의해 >예외상태<로 운영되면서, 이 운영 체제 하에서 국가법, 인권, 도덕윤리 등문명사회의 체제와 규범이 사라지게 되었고, 이 공간에 들어온 개인의 생명은 순식간에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이 말한 >벌거벗은 생명<으로 전락해 타인에 의해 생존권을 박탈당했다. 따라서 >건전한 사회<를 만들어 >건전한 개인의 생명<을 살리는 길을 고민하는 것은 매우 절실하다. N2 - In the contemporary era when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caused many life safety issue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new crown pneumonia (Coronavirus 19) epidemic, it is the unshirkable responsibility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to learn from historical experience and make every effort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disasters. Although the Chernobyl nuclear disaster has become history, the problems left over from history are far from being properly resolved. How to properly handle the taboo space of >Chernobyl< is one of the leftover problems of disasters facing contemporary society. This article takes Bradley Parker’s thriller >Chernobyl: A Record of Ghost Towns< (2012, Chernobyl Diaries) as an example to examine the contemporary spatial presentation of Chernobyl. The film tells the horror experience of a group of tourists seeking excitement after entering the exclusion zone Chernobyl. The Chernobyl presented in the film fits well with the contemporary real-life Chernobyl space. The Chernobyl constructed by the film is a mixed field of no man’s land, consumer space, and political power discipline space. The author tries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their respective oper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 believe that from Erich Fromm) the sound man and the construction of a sound society in the mouth contribute a little. Chernobyl is a mixed and mutually restricted field of no-man’s land, consumption area, and political power discipline area; State political power occupies a dominant position in the Chernobyl space. Behind the operation of no-man’s land and consumer zone is the default and permission of state political power to a certain extent. Due to the nuclear disaster, Chernobyl was operated in an >exceptional state< by the political management department. Under this operating mechanism, civilized social systems and norms such as national laws, human rights, morals and ethics have disappeared. Individual lives instantly become what Agamben calls >bare life<, and they can be deprived of the right to survive by anyone else. Therefore, we urgently need to think about the path of constructing a >sound society< and then cultivating a >sound individual life<. Y1 - 2021 ER - TY - JOUR A1 - Joo, Kwang-Sun T1 - 성철 선사상의 서구철학과의 비교 [The Comparison of Seongcheol’s Seon-Thought with the Occidental Philosophy] JF - 코기토 [Cogito], Vol. 90 (2020), pp. 229-260. N2 - 필자는 성철 선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필자는 상호문화철학의 유비의 해석학을 이용하여 성철을 서구 철학과 비교한다. 비교는 한 쪽에 다른 쪽을 포섭시키는 것이 아니라, 양자 사이에 관계를 하나 형성하는 것이다. 우선 데카르트는 성철과 의심이라는 지점에서 겹친다. 양자 모두 모든 것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그리고 극단적으로 의심한다. 그러나 데카르트가 의심을 확실한 지식을 발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반해서 성철은 어디에도 안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망상으로부터 해방되려고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성철은 근대의 시초인 데카르트보다 근대 비판가들인 마르크스나 프로이트와 더 많이 겹친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생산관계의 이데올로기적 반영과 반향에 사로잡혀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프롬에 따르자면 사회가 의식을 구성한다. 성철은 혁명을 꿈꾸지 않는다. 다만 깨달음을 통해서 마르크스나 프로이트가 주목하는 것을 포함해서 온갖 망상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한다. N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Seongcheol’s Seon-thought. For this reason I am going to compare him with Western philosophy by means of the analogical hermeneutic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o compare means not to integrate one into the other, but to build a relationship between both sides. Descartes’ doubt overlaps with Seongcheol’s doubt. Both of them put everything in doubt independently and radically. However, Descartes uses doubt as a means to find true knowledge, whereas Seongcheol never stop to doubt. So, in the aspect of freeing oneself from illusions, he is more similar to critics of modernity like Marx and Freud than to Descartes. Marx shows that people are captured by the ideological reflexes and echoes of the relations of production, and according to Fromm the consciousness is constituted by society. Seongcheol dreams of freeing oneself from all illusions including the ones of Marx and Freud only by means of enlightenment. Y1 - 2020 ER - TY - JOUR A1 - Kwon, Oh-yong T1 - 증오의 생산, 대상, 정당화 – 프롬, 짐멜, 아도르노를 중심으로 [Production, Reproduction, Legitimation of Hatred: Focusing on Fromm, Simmel and Adorno] JF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58 (2020), pp. 409-450. N2 - 이 연구는 개인과 전체사회 간의 변증법적 연관에 주목하여 개인적 증오가 사회적으로 발현되고 재생산되는 과정과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증오에 대한 효과적 대응양식을 프롬과 짐멜, 아도르노의 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프롬이 제시한 성격에 의한 증오 개념을 통해 개인적인 감정이지만 사회적으로 조건지어진 생활경험에 의해 생성되는 증오의 사회적 성격을 확인하였다. 또한 짐멜의 이방인 개념을 통해 친밀감과 거리감의 동시성이 이방인의 특성이며, 민족적으로 동일한 집단 속에서도 특정 집단이 이방인으로 지목되어 증오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증오를 정당화하는 편견과 이를 사회적-정치적으로 동원하는 선전선동에 대한 아도르노의 연구를 통해 편견이 민주사회의 가치를 거부하는 권위주의적 인성을 가진 사람의 소망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을 밝히고, 편견을 동원하는 선전선동의 기술과 작동방식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편견과 그 동원의 사회적 조건 탐구와 편견과 박해의 현실적 결과를 알려 사람들을 설득하는 지성적 대항수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증오가 복잡한 이해관계와 사회심리학적 연관 속에서 단번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임을 지적하였으며, 꾸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증오에 대응할 것을 제안한다. N2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forms of (re)production of social hatred focused on dialectical processe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hole society. Through Fromm's concept of character conditioned hatred, generated by socially conditioned life experiences, was clarified that hatred as a personal emotion has also his social character. In Simmel's concept of strangers who are members of the same society, but not internally assimilated, exist a tendency that makes the stranger an object of social hatred because of his synchronicity of intimacy and distance. Therefore a social group can be a stranger, even if they are ethnically the same as the insider in society. The study of Critical Theory about authoritarian personality reveals that prejudice justifies the hatred toward strangers. It is solidified in a way that reinforces the psychological desire of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that rejects the values of a democratic society. By examination of technique and operation form of propaganda as a socio-political mobilization of hatred, was suggested the necessity of an intelligent countermeasure to persuade people by showing the realistic consequences of prejudice and persecution along with exploring the social conditions of prejudice and its mobilization. The social hatred is a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at once because it is in a complex of interest and social psychological connection. Constant analysis and critique of the social hatred could be a beginning of an attempt to overcome >defeatist attitude< about social hatred. Y1 - 2020 ER - TY - JOUR A1 - Lee, Moon_Jung T1 - 권오상의 정물 조각에 나타난 구축과 해체의 공존 [Coexistence of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in Osang Gwon’s Still-Life Sculptur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3, No. 1 (2020), pp. 381-394. N2 - 본 논문은 구축과 해체의 공존에 초점을 맞춰 권오상의 정물 조각이 보여주는 형식과 주제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는 존재와 소유, 인간의 욕망, 자본주의와 소비사회에 관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이론과 기 드보르(Guy Debord)의 스펙터클(spectacle) 개념을선택했다. 스펙터클과 관련해 소비문화에 관한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논의도 일부 적용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형식적인 면에서 사진과 조각, 이미지와 물질, 가상과 실재의 경계를 해체하면서도 조각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이중성을 분석했다. 주제적인 면에서는 인간의 소유 욕망과 바니테(vanité)의 양가성을 고찰했다. 또한 고도로 추상화된 상품화가 일상생활에 침투하고 이미지 과잉이되어버린 사회를 지배하는 스펙터클의 재현과 해체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일상의 사물을 촬영한사진, 잡지나 인터넷에서 선택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작된 권오상의 정물 조각은 소비와 소유가 그자체로 욕망의 대상이 되고, 상품이 단순한 물적 대상이 아닌 자기 표현의 상징물로 존재하게 된 오늘날의 소비문화를 투영한다. 또한 소비문화의 견고한 위상을 확인시키는 동시에 그것의 허상을 드러내고, 인간의 욕망과 소유에 관한 근원적인 고찰뿐 아니라 스펙터클 시대에 대한 비판적 사유의 기회를제공한다. 이를 위해 권오상은 스펙터클의 압도적인 권력을 직관적으로 보여주지만, 실제 사물을 첨가하거나 이미지를 지워 물질성을 강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스펙터클과의 단절을 시도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시대에 반응하며 다양성의 공존과 차이를 창출하는 동시대 조각의 특성을 확인하고, 소비문화에 대한 예술적 성찰이 가져오는 의미 생성을 숙고할 수 있었다. N2 -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form and subject shown in Osang Gwon’s still-life sculptures by focusing on the coexistence of constructing and disassembling.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Erich Fromm’s theory on the existence and possession, human desire, capitalism, and consumer society, and Guy Debord’s concept of spectacle were selected. In relation to spectacle, some of Jean Baudrillard’s discussions of consumer society were also applied. In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duality that would solidify the identity of sculptures and also deconstruct the boundaries between photographs and sculptures, images and objects, and as well as virtuality and reality in the aspect of form. In the aspect of subject, this study considered human desire for possession and ambivalence of vanité.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presentation and deconstruction of spectacle that was dominating the society, filled with excessive images where the highly-abstracted commercialization penetrated into daily life. As a result, Osang Gwon’s still-life sculptures produced based on the images selected from photographs of daily objects, magazines, or internet, project today’s consumer culture in which both consumption and possession become the objects of desire, and goods exist as a symbol of self-expression rather than simple physical objects. Also, on top of verifying the solid status of consumer culture and revealing its emptiness, they provide an opportunity not only for the fundamental consideration of human desire and possession, but also for a critical interpretation on the spectacle era. For this, Osang Gwon intuitively shows the overwhelming power of spectacle while also attempting the severance from the spectacle through methods like emphasizing the materiality by adding an actual object or erasing an imag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sculptures that could create the coexistence of diversity and difference by responding to the time, and also to consider the formation of meanings brought by the artistic introspection on consumer culture. Y1 - 2020 ER - TY - JOUR A1 - Kim, Sun Ah T1 -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sychoanalytic >Subject of Desire<] JF - 기독교교육 논총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KSCRE)], No. 59 (2019), pp. 335-368. N2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필요성에 의해 시도되었다: 첫째로, 우리의 미래세대가 4차 산업의 혁명과 함께 도래하는 >초기술사회<에서 자신의 진짜 삶을 잃어버리지 않고 가정과 학교, 교회 공동체와 사회에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길인도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로, 그러한 교육은 인간을 >욕망의 주체<로 이해함과 동시에 >사랑의 소통<을 통해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랑의 존재<로서 이해하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로, 이러한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한 전인교육적인 사랑의 교육의 방향 및 과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우리의 미래세대가 진정한 사랑을 욕망하는 주체로서 진짜 삶을 살아가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우리의 미래세대가 진정한 사랑을 욕망하는 >주체>이자<사랑의 존재>로서 살아가도록 길인도 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을 연구한 본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독교 신앙을 무의식적 욕망과 관련하여 재해석한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학문적 논의의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둘째로, 소쉬르로 대표되는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주장하는 >기의의 우위성<을 전복하고 >기표의 우위성<을 제기한 라캉과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업적을 토대로, >주체의 인간화<로 인도하는 >기표<인 >사랑의 말<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진정한 사랑을 욕망하는 인간, Homo Desiderans를 제시함으로써 인간이해의 지평을 융복합적으로 확장하였다. 즉 무의식의 >욕망의 주체<로서 사랑을 >욕망하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존재이자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진정한 >사랑의 능력<을 키워나가는 인간존재인 정신분석학적 · 기독교적 Homo Desiderans를 제시하였다. 넷째로, 우리의 미래세대를 위한 사랑의 교육은 주체가 타자를 향한 사랑의 욕망을 따라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사랑을 나누며 살아갈 수 있도록 길인도 하는 전인격적 교육이어야 한다. 사랑의 교육의 전인격적인 가치를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롬의 사회심리학적 통찰과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통찰을 활용하였다. 다섯째로, 이러한 탐구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의 방향 및 과제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주체의 인간화<를 위한 사랑의 교육, >아가페적 사랑을 욕망하는< 사랑의 교육, 그리고 >치유(용서)와 모험(신앙)<을 위한 사랑의 교육이 신앙공동체 안에서 먼저 실천될 때 우리의 미래세대는 아가페적 사랑의 불꽃을 삶의 모든 영역에서 밝히는 첫걸음을 옮기게 될 것이다. N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attempt to address the following needs. First, we need a psychoanaly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humans as >subject of desire< to help future generations live as >subjects of desire< in their homes, schools, church communities, and society. Second, with this human understanding, we need to understand humans as >loving beings<, living spontaneous and creative lives through the >communication of love<. Third, there is a need to approach the problem of lov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and social psychology in order to establish the healing and holistic educational value of the education for love. This paper studied the education of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 psychoanalytical >subject of desire<, so that future generations can live as human beings who desire true love. First, Dolto’s psychoanalytic view of reinterpreting Christian beliefs in relation to unconscious desire was used as a resource for academic discussion in this paper. Second, based on the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sychoanalysis of Lacan and Dolto, who overthrew the >superiority of the signified< claimed in the structuralist linguistics, as represented by Ferdinand de Saussure, this study presented >the superiority of the signifier< in the symbolic leading to >humanization of the subject<. Thirdly, a new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human beings was presented. In other words, the understanding of humans in terms of Christian education was expanded by presenting a new concept of the human, Homo Desiderans, for the sake of Christian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Fourth, Homo Desiderans was presented as a human being who wants to live a >life of desire for love<, as the subject of unconsciousness and as a person who needs to develop the ability of love in his life. Fifth,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t was suggested that Christian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should be an education of love that helps the subject live a life that is harmonious with others, along with the desire for love for others. As its specific direction and task, they study proposed an education of love for the >humanization of subjects<, an education of love for the >desire for true love<, and an education of love for >healing (forgiveness)< and >adventure (faith)<. Ultimately, an education for lov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analytical >subject of desire< can help future generations to live as >subjects of desire for love< toward others within the community of love, especially, within the faith community of love. To this end, in-depth discussions on education for love should be promot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a psychoanalytical >subject of desire<, and related follow-up studies must also be continued. Y1 - 2019 ER - TY - JOUR A1 - Park, Jeong-Ae A1 - Oh, Ju-Won T1 - 사랑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ale of Love] JF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9, No. 3 (2019), pp. 439-448. N2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랑에 관한 기존 척도들의 한계를 보완하여 Fromm의 사랑의 개념을 이론적 바탕으로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하는 사랑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기존의 척도들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Fromm의 사랑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Fromm의 사랑에 대한 구성 개념으로 6개 하위영역(자기애, 모성애, 부성애, 형제애, 이성애, 신의 사랑)을 축출하였다. 6개 하위척도에 적합한 기초 100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거쳐 1차 예비문항에서 60문항이 선정되었다. 30~50대 기혼 남녀 32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거쳐 22문항이 제거되고, 868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거쳐 1문항이 제거되어 최종 38문항이 선정되었다. 개발된 사랑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72~.86 사이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사랑의 척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심리발달 단계와 다양한 인간관계의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국내외에서 처음으로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포함한 새로운 차원의 통합적 사랑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N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ove scale based on the concept of Fromm's love as a rationale for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50s. After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love for research purposes, we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ale and propose Fromm's concept of love as an alternative. Six subscales were extracted from the constitutional concept of Fromm. Six subscales included self-love, motherly love, fatherly love, erotic love, brotherly love, love of God. First, after developing 100 basic items, 60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preliminary question through expert discussion, and 324 married men and women were subjected to preliminary tests, followed by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22 items were removed. For this test, data were collected from 868 subjects, followed by item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ne item was removed and the final 38 items were sele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composed of six factors of self-love, motherly love, fatherly love, erotic love, brotherly love, love of God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orthogonal rotation method. Als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between the constituents of love.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developed love scale was found to be good between 72 – .86. The result of this study complemented the limits of the existing love scale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various human relations, and it is meaningful in terms of presenting a new concept of integrated love including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Y1 - 2019 ER - TY - JOUR A1 - Choo, Jung Wan T1 - 프롬의 사랑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romm's Love Theory] JF - 윤리교육연구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No. 48 (2018), pp. 33-58. N2 - 본 논문의 목적은 프롬이 제시한 사랑의 의미와 실천 방법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롬의 사상적 배경과 함께 그가 제시한 사랑론의 이론적 근거, 사랑론을 구성하는 주요 내용 및 프롬이 규정한 사랑의 대상, 그리고 사랑의 실천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행 고등학교 선택 과목인 『생활과 윤리』 교과에서는 ‘성과 사랑의 윤리’를 학습 주제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행 교육과정을 따르는 교과서들에서는 해당 영역에서 프롬의 사랑에 관한 입장을 학습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다루는 프롬의 사랑론에 대한 원전 중심의 종합적인 검토는 교과 내용 및 교수학습 과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N2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 the Fromm's love theory, which suggesting the meaning and practical methods of love. The current high school subject, >Life and Ethics< presents Fromm's love theory in the learning subject of the ethics of sex and love. So some textbooks handles the Fromm's theory. Therefore, specific understanding about the Fromm's theory will be expected to devote to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In this thesis, we will examine the Fromm's theoretical bases, the main idea about love and practical methods of love on his academic backgrounds. Y1 - 2018 ER - TY - JOUR A1 - Kim, Kwangsik T1 -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본 EXO의 >으르렁 [The Song >Eureureong< [Growl] of EXO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und E. Fromm]<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사회와 철학 [Social Philosophy], Vol. 35 (2018), pp. 45-66. N2 - >으르렁<은 젊은 세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노래 가운데 하나다. 이 노래는 젊 은 세대에게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노래는 철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노래다. 으르렁대는 야만적인 무한경쟁의 심리가 드러나 있다. 이 논문은 그 노랫말을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보고 그 철학적 까닭과 해법을 찾아보았다. 니체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시기, 곧 타자 부정이며, 그 해법은 긍 정, 곧 자기 긍정이다. 자기가 사랑하는 이성을 사랑하는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때문이며, 그 바탕에는 열등감과 시기심이 깔려 있다. 무엇보다 먼저 자기를 가치 있는 사람으로 긍정하면, 열등감과 시기심에 빠지지 않고,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해 불안이나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프롬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며, 그 해법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다.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이성을 독차지하려는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 때문이다. 무엇보다 먼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가지면, 사랑의 존재, 곧 사랑의 과정 및 경험 그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성을 독차지하지 못하거나 잃어버릴까봐 불안해할 필요가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으르렁<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우리 젊은 세대는 자긍심보다 열등감이나 시기 심이 강하고,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보다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 강한 경향이 있다. 우리 나이든 세대의 유산일 게다. 걱정되는 것은 그러한 경향이 더 노골적이고 거칠어졌다는 점이다. 철학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무한경쟁을 낳는 사회 구조적 원인이 가장 큰 탓이다. 하지만 철학자의 탓이기도 한 만큼 우리 철학자들이 젊은 세대의 자긍심이나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북돋우는 데 힘써야 한다. N2 - The song is one of the songs that represent the pop music of the young generation. Because the song has gained huge popularity among young people. This song is philosophically >so dangerous<. The song has the mentality of the growling barbarous unlimited competition. I analyzed the lyrics of the song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and E. Fromm and explored the philosophical reasons and solutions. In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 philosophical reason is the jealousy, this is the negation of others, and the solution is the pride, this is self-affirmation. The reason why he growls to other people who love his beloved partner is the anxiety or the fear to a man superior to himself, which is based on the inferiority feeling or the jealousy. First of all, if he affirms himself as a worthy person, he won't growl to others, because he don't have to feel inferior to or jealous of a man superior to himself and to feel anxious or fear. In the philosophy of Fromm, the philosophical reason is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and the solution is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The reason why he growls to others is because he has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which make him desire to monopolize his beloved partner. First of all, if he has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he won’t growl to others, because he regards the existence of love, namely the process or experience of love as important and therefore he don’t have to feel anxious or fear lest he can’t monopolize her or loses her. According to guessing from the song >Eureureong<, I guess that our younger generations tend to have inferiority feeling or jealousy rather than the pride and to have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rather than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It is the legacy of our old generation. Worrying is that such trends are more explicit and rough-hearted. It is not just a philosopher's fault. That is mainly due to social structural causes. However, as a philosopher, we must strive to encourage our young people to have the pride and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because it is also a philosopher's fault. Y1 - 2018 ER - TY - JOUR A1 - Hwang, Soo-Min A1 - et al., T1 - 웰라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트렌드 분석연구2014년에서 2018년까지 [Analysis of Hairstyling Trends in the Wella Collection: From 2014 to 2018]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rt], Vol. 19, No. 4 (2018) pp. 187-199. N2 - Entering the 21st century, new cultural trends have been formed after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and the environment. Social psychologist Erich Seligmann Fromm proposed that ‘the ability to predict the future and express subjects and acts in diverse ideas’ is an attribute that makes humans different from animals. There are very diverse ways and views to predict trends and experts from individual fields can predict trends by studying related laws. These trends can be viewed as a phenomenon that expresses the emotions and personality that exist in people’s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people want to create trendy and unique styles, using diverse elements and design factors by escaping from a conventional concept of beauty. Humans design and develop new tools that are both esthetic and functional through harmony between art and science. In fashion, art and cosmetology, trendy collections are suggested annually by predicting trends in advance. New and diverse trends that differ from past trends are always pursued.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furthermore, trends have become a large issue around the globe. Hairstyling is closely related to trend so that there should be continued studies on new trend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airstyle trends in the Wella Collection from 2014 to 2018. It analyzed these hairstyles by shape, texture and color, and the results ar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analyzing hair collections. It is hoped that they would be useful in predicting future trends. Y1 - 2018 ER - TY - JOUR A1 - Kwon, Hyuck-mi T1 - 토니 모리슨의 신앙 여정: 『가장 푸른 눈』과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를 중심으로 [Toni Morrison’s Path of Religion in >The Bluest Eye< and >God Help the Child<]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N2 - 본 논문에서는 토니 모리슨의 첫 번째 소설 『가장 푸른 눈』과 최근 소설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설명하는 두 가지 실존양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작가의 신앙관을 추적하였다. 1970년에 발표된 『가장 푸른 눈』에는 세 명의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인 폴린과 제럴딘 위트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고 피콜라의 정신분열 발생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2015년에 발표된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서 부커의 고모 퀸은 >존재양식의 신앙인<으로 브라이드가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부커와의 사랑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독교 신앙의 주요 속성을 >베푸는 사랑<으로 규정해온 토니 모리슨은 평생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을 질타하고 >존재양식의 신앙인<이 되도록 촉구하며 독자들의 정신적인 성숙을 이끌어온 >존재양식의 신앙인<이다. 작가는 말년의 작품에서 기독교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태아를 향한 축복 기도를 작품의 제목으로 삼을 만큼 신앙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N2 - This paper aims to trace Toni Morrison’s religious dimensio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s in her first novel and her latest novel based on Erich Fromm’s two modes of existence in >To Have or To Be<. In >The Bluest Eye<, her first novel, >the Having Mode< of religion characterizes three African-American characters, Pauline, Geraldine, and Elihue who exploit others and bring about the ruin of the protagonist Pecola, a young black girl. In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Queen is characterized by >the being mode< of religion. She plays a crucial role in helping Bride find her true identity and recover her love with Booker. Morrison who has understood the Christian religion as that of a gene< of religion. As depicted in her rendering of Queen, Morrison, who also has >the Being Mode< of religion, reveals optimistic faith in Christians to the point of ending her work with a player of blessing over the newborn as the title of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implies. Y1 - 2018 ER - TY - JOUR A1 - Park, Ju-taek T1 -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A Study on the Isolation of Kim Su-young’s Poem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 No. 74 (2018), pp. 175-207. N2 - 김수영은 1945년 등단한 뒤 현실과 자신과의 투쟁 속에서 고립과 무력감을 드러내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통찰로 가득한 절규들을 산문의 형식을 빌려 노래하 였다. 특히 김수영은 4.19를 기점으로 고립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유를 노래하며 현실의 처지를 설움이라고 상정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통일을 좁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소외는 근대의 비인간화와 함께 인간의 문제를 상정하는 중요한 부면을 지니며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소외를 >문단과 자신의 시로부터의 소외<, >생활로부 터의 소외<,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수영이 >조화와 통일<을 가치로 삼았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외는 헤겔과 마르크스를 거쳐 하이데거 그리고 프롬에 이르기까지 근대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하이데거는 기술 문명의 상황이 존재자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허무와 불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며 개인이 관계하고 있는 것이 허망하다는 생각에 빠져 소외에 직면 한다고 말한다. 김수영이 등단 초기 박인환과의 불화와 자신의 시에 대한 무력감을 표현한 것은 고립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또한 생활에 있어서 번역 일을 하면서 이를 청부 번역이라고 한 것이나 마포구 구수동으로 이사한 뒤 닭을 키우며 자신은 변두리 인생이라는 자조에 빠진 것도 소외 때문이었다. 이와는 달리 자기 소외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경증적 증후를 드러낸다. 해방과 4.19 그리고 5.16과 같은 시대적 상황은 김수영에게 있어 설움과 비애와 같은 감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자유, 정의, 양심과 같은 형이상학적 관념들을 요구했다. 그러나 김수영이 소외에 빠진 것은 결국 현실과 사유라는 비동일적 간극 때문이었다. 소외는 소외되기 전의 상황과 소외된 이후의 상황은 다르다. 김수영은 누구보다도 자신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한 시인이었다. 그는 한시도 자신을 방임하지 않았다. 현실과의 싸움만큼 자신과의 싸움을 멈추지 않았다. 현실과 시에 대해 상대적 완성과 절대적 완성을 탐색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을 나아가게 했다. 그 도정을 통해 그는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원리로 삼으며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이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두 이즘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 것도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궁극 원리로 삼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N2 - After Kim Su-young started his literature career in 1945, he wrote a prose of percent-filled cries with insights to confirm his identity by showing his isolation and helplessness in his struggle with himself and reality. Especially, since April 19, Kim Su-young has continued efforts to narrow the ga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by actively singing freedom to escape isolation and alienation, calling the situation as sorrow. With the dehumanization of modern world, Isolation has an important side of putting human issues on the table and means that humans must maintain their own nature. This paper divided the isolation of Kim Su-young into >Isolation from literary world and himself’s poem<, >Isolation from life<, >solation from himself<. After these works, this paper want to figure out that to overcome these isolation, Kim Su-young has valued on >harmony and unity<. Isol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modern issue from Hegel and Marx to Heidegger and Erich Fromm. Heidegger believes that the situation of technology civilization is bound to fall into vain and unstable when it does not recognize being. And also he said that individuals would encounter isolation indulging thinking that relationship is vain. When Kim Su-young expressed his feud with Park In-hwan and his lack of power over his poetry in the early days of his debut, Kim Su-young displayed his sense of isolation. While working as a translator for his life, he called it >contract translation< and while raising chickens after moving to Gusu-dong, Mapo-gu, he called himself as >Outsider life<, because of his isolation. On the other hand, self-isolation has neurological syndrome in that he sees himself negatively. Historical situations such as liberation, April 19, and May 16 called for metaphysical notions such as freedom, justice and conscience as well as emotional awareness such as sadness and sorrow to Kim Su-young. But the reason that Kim Su-young fall into isolation is, finally, a non-equally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Before and after situation of isolation is different. Kim Su-young was a poet who deeply reflected on himself. He never neglect himself for a moment. He did not stop struggling with himself like struggling with reality. He made himself constantly to explore relative and absolute completion of reality and poetry. Through this course, he sought to overcome isolation by making harmony and unification a principle of reality and poetry. Kim Su-young’s balance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was also possible because he took harmony and unification as the ultimate principles of reality and poetry. Y1 - 2018 ER - TY - JOUR A1 - Seo, Eun-ju T1 - 냉전의 지식문화 – 1960 &1970년대 소외론을 중심으로 [The Knowledge Culture of Cold War in the 1960s & 1970s Focusing on Discourses of Alienation] JF - 민족문학사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No. 67 (2018), pp. 397-430. N2 - 이 글은 1960∼1970년대 한국의 지식(문화)장에서 실현된 소외의 담론정치를 냉전의 지식문화사라는 계보 속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담론이 파편적이고도, 편의적으로 재단되어 수용되었던 한국 지식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에서 특히 프롬과 마르쿠제의 소외론이 냉전체제 아래에서 비판적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유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크리스찬아카데미의 『대화』를 통해 진보적 기독교 지식인들이 >인간화<라는 주제 아래 소외개념을 변용·확산시키는 과정과, 그들이 소외의 현장과 긴밀하게 접속됨으로써 반체제 인권운동으로 달려가는 상황도 분석한다. 또한 문학 영역의 소외론이 예술의 자율성을 둘러싼 오래된 논쟁으로 진영화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전질서 속에서 산업화를 진행하였던 1960∼1970년대 한국 담론 장에서, 과연 소외론이 >저항담론<으로서 지식사회의 의식적 각성에 기여하였는지, 혹은 궁극적으로 대중사회·산업사회를 절대화하는 >위장된 저항담론<으로 기능하였는지를 가늠해 본다. N2 - This article intends to read the discourse politics of alienation realized in Korea’s knowledge / culture field of 1960s & 1970s in the genealogy of the knowledge / culture history of the Cold War. It examine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Korean knowledge field, where the discourse of the Frankfurt School has been accepted as fragmented and cutting for convenience.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ritical intellectuals appropriated to the alienation theory of Fromm and Marcuse under the Cold War system. In addition, through the Christian Academy’s DAEHWA (Dialogue) it analyzes that progressive Christian intellectuals transformed and spreaded the alienation concept under the theme of >humanization<, and analyz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y committed them-selves to the human rights movements by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the alienated field. In the aspect of the alienation of literature field, it examines the old debate surrounding the autonomy of art. In the Korean discourse of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Cold War era was industrialized through such a process, it became clear that the alienation theory contributed to awakening the conscious of the knowledge society as >Discourse of Resistance<, or to absolutizing Mass society & Industrial society as >Disguised Discourse of Resistance<. Y1 - 2018 ER - TY - JOUR A1 - Moon, Sunghoon T1 - 태극기 군중의 탄생에 대한 사회 병리학적 탐구 [A Social-pathological Research of the Birth of Taegeukgi Crowd] JF - 사회와 철학 제 [Social Philosophy] No. 36 (2018), pp. 1-30. N2 - 본 논문의 목적은 에리히 프롬이 분석한 근대화의 역설을 모델로 삼아, 박근혜 탄핵 반대집회에서 모습을 드러낸 ‘태극기 군중’의 유래와 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첫째, 본 논문은 근대화의 역설에 대한 에리히 프롬의 분석을 통해 정치지도자에 대한 맹신이 등장하는 이유를 근대인의 심리적 구조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에리히 프롬의 분석을 모델로 삼아 태극기 군중의 역사적 기원을 1970년대에 ‘조국근대화’를 추진한 박정희의 지지층으로 보면서, 이들의 탄생이 근대화의 역설적 결과임을 보여줄 것이다. 셋째, 본 논문은 박정희 지지층 일부가 박근혜 등장 이후 태극기 군중으로 부활하게 된 것을 프로이트의 ‘가족로망스’와 ‘멜랑콜리’ 개념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태극기 군중의 등장을 사회 병리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질병’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지적할 것이다. N2 - In this paper, I will perform three tasks to reveal the identity and origins of the Taegeukgi Crowds, which appeared in the demonstration against the impeachment of Park Geun-Hye in 2017. First, I will explain why the crowd blindly trust the political leader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the individual caused by modernization, which Erich Fromm depicts (1), and secondly, I will find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Taegeukgi Crowd in the political supporters of Park Chung-Hee who promoted in the 1970s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and I will argue that the supporters is a paradoxical outcome of modernization (2). Third, I will explain based on Freud’s concept of family romance and melancholy that Park Chung-Hee’s supporters are revived as the Taegeukgi Crowd after the appearance of Park Geun-Hye (3). Finally, I will consider the emergence of Taegeukgi Crowd as a social pathological phenomenon, and I will point out what kind of social effort is needed to overcome it. Y1 - 2018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