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Lee, Sang Ik T1 - 자유주의의 人權論과 유교의 人倫 [Liberalist Human Rights and the Confucian Ethics of Human Relationships] JF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Vol. 14 (2013), pp. 33-68. [ISSN: 1976-1872] N2 - 전통유교와 현대 자유주의의 핵심적 대립은 ‘자아실현’에 대한 상이한 이해에서 비롯되는 것이었다. ‘자아실현’은 동서고금 누구나 원하는간절한 소망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자아실현’란 본래 두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실현하고자 원할 수도 있고,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실현하고자 원할 수도 있다. 그런데 개인의 독특한 개성만을 강조하고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무시한다면, 그 때의 자아실현이란 프롬⋅매킨타이어⋅테일러 등이 지적한 것처럼 ‘소외, 자아도취, 멋대로 자유’ 등 각종 폐단을 야기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기초하여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발휘할 때만이 참다운 자아실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인륜의 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를 누린다는 뜻이요, 또한 가치의 객관적 척도를 존중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그 모범적 사례를 공자의 ‘和而不同’이나 ‘從心所欲不踰矩’에서 찾을 수 있다. N2 - At the heart of the conflict between Confucianism and liberalism is their different understandings of self-realization. Self-realization is keenly desired by everyone, regardless of culture or era. The problem is that it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Some of us may want to realize our own unique personalities; others may want to realize universal human nature. If, however we emphasize only the unique personality of the individual while ignoring universal human nature, the self-realization that results will, as pointed out by Fromm, MacIntyre and Taylor, cause alienation, narcissism and reckless freedom. If this is the case, we can only achieve true self-realization by developing our unique, individual personalities based on universal human nature. This means enjoying freedom within the boundaries of Human Relations and respecting objective value yardsticks. We can find perfect examples of this in Confucius' notions of seeking harmony but not uniformity and following what the heart desires without transgressing what is right. Y1 - 2013 ER - TY - JOUR A1 - Lee, Sang Ik A1 - Jung, Seung Hyan T1 - 競爭論에 대한 근래의 비판들과 그 함의 [Contemporary Anti-competition Theories and Its Meaning] JF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Oriental Culture Studies], Vol. 17 (2014), pp. 89-127. N2 - 本考에서는 근대 서구사회에서 競爭論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경쟁론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고, 경쟁론에 대한 근래의 여러 비판들을 두루 살펴본 다음, 그들의 反競爭論이 함축하는 바를 정리해 보았다. 오늘날 우리가 경쟁론을 지양시키고자 한다면, >사회복지의 당위성<과 >경제적 효율성<의 문제는 물론 >올바른 세계관의 정립< 문제가 긴요한 것이요, 뿐만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 문제도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 살핀 여러 碩學들의 反競爭論이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것이라면,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전통 유교의 名分論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 한국의 근대화 과정은 전통적 名分論을 타파하고 서구의 競爭論을 도입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그런데 한 때는 진보의 원동력으로 기능했던 경쟁론이 이제는 숱한 폐단을 낳고 있다면, 우리는 전통적 사회운영론의 의의를 되돌아보아야 마땅한 것이다. N2 - In this paper, we have inquired two modern competition theories (Liberalism & Social Darwinism), and also have inquired various anti-competition theories. Anthony Giddens' The Third Way and Beyond Left and Right, Anatole Kaletsky's >Capitalism 4.0<, Robert H. Frank's >The Winner-Take-All Society and The Darwin Economy<, Robert Axelrod's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Fritjof Capra's >The Turning Point<, Jae C. Choe's >Homo Symbious<, Erich Fromm's >To Have or To Be?< are the most famous contemporary anti-competition theories in Korea. According to these guidance, if we want to overcome competition theories, we should consider economic utility and social welfare at the same.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s also the process of breaking Confucian right name theory and introducing western competition theories in Korea. Competition theories which have operated as the mainspring of progress at one time give rise to us many various problems now. In this context, we need to understand Confucian right name theory newly. Y1 - 2014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