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Song, Jai-ryong T1 - 정신분석학적 종교이해의 가능성과 한계: 에리히 프롬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Religion: Focusing on Erich Fromm] JF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20 (2002). Y1 - 2002 ER - TY - JOUR A1 - Shin, Minjoon T1 - 새로운 문명의 장력을 향하는 개체적 의지 — 루쉰(魯迅) 초기 잡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Will of Individual in Lu Xun’s Early Essay]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중국학논총 [Journal of Chinese Studies], No. 71 (2021), pp. 115-140. N2 - 루쉰(魯迅)은 자신의 초기 잡문을 통해 문명이 지닌 인류발전으로서의 과정 및 결과로서의 성격과 함께 문명이 지니는 규범화를 통해 발현되는 야만성 및 그로 인한 인간의 자기예속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루쉰은 이러한 문명의 양가적인 모습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서 새로운 개체적 의지를 찾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인류 사회의 조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바로 루쉰의 문학 창작이 지니는 의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루쉰의 창작은 곧 인간의 윤리성을 바탕으로 하는 개체적 의지와 인류 발전적인 문명의 공존에 대한 모색으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상기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루쉰의 초기 잡문에서 사회를 이루는 기성 문명의 장력 속에서 문명의 폭력적인 야만성을 제거한 새로운 문명의 장력을 찾고자 하는 인간의 개체적 의지와 그 가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루쉰의 초기 잡문 속 문명론을 아도르노(Theodor Wiesengrund Adorno),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 마르쿠제(Herbert Marcuse) 등의 비판이론가들의 문명에 대한 관점 및 그에 대응하는 인간의 태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고찰을 시도한다. N2 - This paper has several purposes. First, it examines the concepts of civilization in Lu Xun’s early essay. Luxun illustrated his perspective that the civilization is not only the process and result of human progress but also drives people into Self-subordination. Second, it seeks the way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in Lu Xun’s early essay. I argue that Luxun believed that people have the ethical power to escape from subordination in society and the creative ability to make a harmonious society. Finally, it seeks to find the means that makes human and civilization coexist together.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I challenge a comparison between Lu Xun’s perspective and Critical Theory that has been made and developed by Frankfurt School which includes Theodor Wiesengrund Adorno, Max Horkheimer, Herbert Marcuse, Erich Fromm, Walter Benjamin, etc. I argue that they have similarities in the perspective on >negative thinking<. For them, >negative< is essential factor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within civilization. They believed that >negative< attitude could lead people out of Self-subordination. Thus, I seek the way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and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civilization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Lu Xun’s perspective and Critical Theory. Y1 - 2021 ER - TY - JOUR A1 - Shim, Soo_Myung T1 -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 성숙한 인격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aturity in Personality in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JF - 성경과신학 [Bible and Theology], Vol. 68 (2013), pp. 83-113. N2 - 상담자는 내담자의 역기능을 탐색하여 내담자의 내적 요인인 핵심 인격을 올바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자이다. 상담이 내담자의 인격 변 화를 목표로 한다면 상담자는 바람직하고 성숙한 인격이 무엇인지 알고 있 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성숙한 인격은 어떤 특성이어야 하는 지 연구하기 위해 성경적 관점에서의 인격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 반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정신분석이론, 사회심리학, 그리고 성장상담학적 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으로는 몽고메리와 쉐릴, 그리고 심수명의 견해를 중심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인간은 이 땅에서는 은혜입은 죄인이기에 온전한 인격성숙에 도달 할 수 없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성숙한 사람은 십자가의 은혜와 하나님을 의지함이 없이는 한 순간도 살아갈 수 없음을 아는 자이다. 둘째, 성숙한 사람은 아가페 사랑을 근거로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는 자이다. 셋째, 성숙한사람은영성을중심으로지, 정, 의등전인의통합을추구하는 자이다.넷째, 성숙한 사람은 영적인 성숙을 바탕으로 가면적, 내면적, 관계적 인격이 조화롭게 균형 잡힌 자이다. 다섯째, 성숙한 사람은 신적 자존감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자이다.여섯째, 성숙한 사람은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미래에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이다.일곱째, 성숙한 사람은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며 현실 상황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이다.여덟째, 성숙한 사람은 성경에 근거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것을 최고 의 목표로 삼는 자이다. 위의 연구 결과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세우기 위한 과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N2 - Counselors must make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dysfunction of counselee’s and make their core personality healthy. If the purpose of counseling is the change of the personality of the counselee, the counselor must know what is right personality or what constitutes a mature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mature personality attributes on the Biblical perspective and general psychological concept. The general psychological concept is on the basis of Gordon Allport, Carl Rogers, Abraham Maslow and Erich Fromm’s theory. Biblical mature personality is on the ideas of Dan Montgomery, Lewis J. Sherrill, and Sim Soomyung to investigate personality traits of mature character of Christians. This study integrates the writer’s clinical and academic experience with mature personality to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mature person has a understanding without the grace of God, he can not live one moment. Second, they love others and self on the basis of the agape. Third, they are seeking the integration of whole person centered with spirituality and the knowledge, emotion, etc. Fourth, they have harmonies with persona, inner and outer character on the basis of spiritual maturity. Fifth, they respect self and others with the divine dignity from the God. Sixth, they can evaluate their past and present and have plans for their future with clear objectives. Seventh, they have a flexible and open mind allowing them to comprehend the reality around them. Eighth, their biggest goal is to follow God’s will on the Bible.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raise mature Christians. Y1 - 2013 ER - TY - JOUR A1 - Shim, Jae-Myung T1 - 에리히 프롬을 통해 본 여가의 의미 [Meaning of Leisure Implied in Erich Fromm] JF - 관광연구논총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 34, No. 2 (2022), pp. 3-27. N2 - 본 연구는 에리히 프롬의 글을 통해 철학적 관점에서 여가에 대해 탐구하였다. 역사적으로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인간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으며, 그 기반 위에서 인간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해 각자의 개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그러나 그 같은 체험을 하는 사람은 소수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로지 소극적 의미의 자유만을 경험함으로써 자유의 진정한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프롬의 저서들로부터 여가에 시사점을 준다고 판단되는 여덟 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것들은 현대자본주의 사회에 순응한 현대인에게서 어떻게 수동적 여가의 모습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현대사회의 노동은 인간이 능동적 존재가 될 수 없는 영역이며 생존의 필요를 가지는 인간이 노동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여가를 통해 인간이 능동적인 존재가 되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함으로써 개성을 실현하는 것이 여가가 삶에 줄 수 있는 진정한 보상이라는 것이 프롬이 던지는 메시지이다. N2 -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leisure based on Erich Fromm’s thesis of freedom. What we call democratic society has evolved such that people have been increasingly provided with more freedom, socially and politically, and it was expected that people actively would seek out to use that freedom to fulfill their potentials and individuality. But, most people have conformed to the existing social order and failed to achieve active use of it. Examination of a series of Fromm’s books resulted in eight themes, each of which may indicate how this failure took place, which, in turn, give implications in our understanding of leisure. Especially, they help us understand how modern leisure concedes to the norms of capitalist society and comes to only represent passive experiences in life. It is unlikely that people pursue an active existence in work, nor can they live without it. It is leisure therefore where people can exercise freedom, be a master of their own, build their identity, and be what they truly are. [Author's English version] Y1 - 2022 ER - TY - JOUR A1 - Seo, Eun-ju T1 - 냉전의 지식문화 – 1960 &1970년대 소외론을 중심으로 [The Knowledge Culture of Cold War in the 1960s & 1970s Focusing on Discourses of Alienation] JF - 민족문학사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No. 67 (2018), pp. 397-430. N2 - 이 글은 1960∼1970년대 한국의 지식(문화)장에서 실현된 소외의 담론정치를 냉전의 지식문화사라는 계보 속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담론이 파편적이고도, 편의적으로 재단되어 수용되었던 한국 지식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에서 특히 프롬과 마르쿠제의 소외론이 냉전체제 아래에서 비판적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유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크리스찬아카데미의 『대화』를 통해 진보적 기독교 지식인들이 >인간화<라는 주제 아래 소외개념을 변용·확산시키는 과정과, 그들이 소외의 현장과 긴밀하게 접속됨으로써 반체제 인권운동으로 달려가는 상황도 분석한다. 또한 문학 영역의 소외론이 예술의 자율성을 둘러싼 오래된 논쟁으로 진영화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전질서 속에서 산업화를 진행하였던 1960∼1970년대 한국 담론 장에서, 과연 소외론이 >저항담론<으로서 지식사회의 의식적 각성에 기여하였는지, 혹은 궁극적으로 대중사회·산업사회를 절대화하는 >위장된 저항담론<으로 기능하였는지를 가늠해 본다. N2 - This article intends to read the discourse politics of alienation realized in Korea’s knowledge / culture field of 1960s & 1970s in the genealogy of the knowledge / culture history of the Cold War. It examine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Korean knowledge field, where the discourse of the Frankfurt School has been accepted as fragmented and cutting for convenience.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ritical intellectuals appropriated to the alienation theory of Fromm and Marcuse under the Cold War system. In addition, through the Christian Academy’s DAEHWA (Dialogue) it analyzes that progressive Christian intellectuals transformed and spreaded the alienation concept under the theme of >humanization<, and analyz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y committed them-selves to the human rights movements by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the alienated field. In the aspect of the alienation of literature field, it examines the old debate surrounding the autonomy of art. In the Korean discourse of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Cold War era was industrialized through such a process, it became clear that the alienation theory contributed to awakening the conscious of the knowledge society as >Discourse of Resistance<, or to absolutizing Mass society & Industrial society as >Disguised Discourse of Resistance<. Y1 - 2018 ER - TY - JOUR A1 - Park, Youngkyun T1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론 정립을 위한 모색: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에 관한 속류화와 혼란들을 넘어 [The Study for the Function of Healing Theory on Historical Trauma: Beyond the Vulgarization and Confusion about th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JF - 시대와 철학 [Epoch and Philosophy –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Vol. 33, No. 1 (2022), pp. 115-144. N2 - 이 글은 우선, 역사적 트라우마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어떻게 다른가를 논의하는 데에서 출발하고 있다. 둘째로, 이 글은 정신분석학이라 는 범주 안에서 프로이트와 다른 정신분석학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논의하 면서 트라우마와 관련하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가진 문제점을 비판적 으로 다루고 있다. 셋째, 프롬의 사회심리학을 다루면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관한 정신분석이 가진 특징을 제시할 것이다. 이런 논의 하에 이 글은 넷 째,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①원초적 트라우마에 반해 후천적 트라우마이며 ②직접 체험하지 않은 2차적 트라우마화라는 점에서 간접적이고, ③체험 당사자 주변을 넘어서 세대 집단 간의 전이를 유발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정신 분석은 사회심리학과 다르다. 또한, 그렇기에 치유도 역사적 트라우마가 유 발하는 PTSD가 유발하는 장애로서 >트리거<들을 제거하는 것이자 민족공동 체 간의 리비도적 흐름을 창출하는 것이다. N2 - This article first starts with discussing how historical trauma differs from Freud's psychoanalysis. Second, this article critically deals with the problems of Freud's psychoanalysis in relation to trauma while discussing how Freud and other psychoanalysis differ within the category of psychoanalysis. Third, while dealing with Fromm's social psychology, we will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analysis of historical trauma. Based on these discussions, fourth, this article suggests the direction of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trauma present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1) In contrast to the original trauma, it is indirect in that it is an acquired trauma (2) It is an acquired trauma as opposed to the original trauma, (3) it is indirect in that it is a secondary trauma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directly, and (4) it causes a transfer between generation groups beyond those who experienced it. Therefore, psychoanalysis of historical trauma is different from social psychology. Also, for this reason, healing is removing the >triggers< as a disorder induced by PTSD caused by historical trauma and creating a libido flow between national communities. Y1 - 2022 ER - TY - JOUR A1 - Park, Ju-taek T1 -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A Study on the Isolation of Kim Su-young’s Poem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 No. 74 (2018), pp. 175-207. N2 - 김수영은 1945년 등단한 뒤 현실과 자신과의 투쟁 속에서 고립과 무력감을 드러내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통찰로 가득한 절규들을 산문의 형식을 빌려 노래하 였다. 특히 김수영은 4.19를 기점으로 고립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유를 노래하며 현실의 처지를 설움이라고 상정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통일을 좁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소외는 근대의 비인간화와 함께 인간의 문제를 상정하는 중요한 부면을 지니며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소외를 >문단과 자신의 시로부터의 소외<, >생활로부 터의 소외<,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수영이 >조화와 통일<을 가치로 삼았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외는 헤겔과 마르크스를 거쳐 하이데거 그리고 프롬에 이르기까지 근대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하이데거는 기술 문명의 상황이 존재자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허무와 불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며 개인이 관계하고 있는 것이 허망하다는 생각에 빠져 소외에 직면 한다고 말한다. 김수영이 등단 초기 박인환과의 불화와 자신의 시에 대한 무력감을 표현한 것은 고립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또한 생활에 있어서 번역 일을 하면서 이를 청부 번역이라고 한 것이나 마포구 구수동으로 이사한 뒤 닭을 키우며 자신은 변두리 인생이라는 자조에 빠진 것도 소외 때문이었다. 이와는 달리 자기 소외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경증적 증후를 드러낸다. 해방과 4.19 그리고 5.16과 같은 시대적 상황은 김수영에게 있어 설움과 비애와 같은 감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자유, 정의, 양심과 같은 형이상학적 관념들을 요구했다. 그러나 김수영이 소외에 빠진 것은 결국 현실과 사유라는 비동일적 간극 때문이었다. 소외는 소외되기 전의 상황과 소외된 이후의 상황은 다르다. 김수영은 누구보다도 자신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한 시인이었다. 그는 한시도 자신을 방임하지 않았다. 현실과의 싸움만큼 자신과의 싸움을 멈추지 않았다. 현실과 시에 대해 상대적 완성과 절대적 완성을 탐색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을 나아가게 했다. 그 도정을 통해 그는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원리로 삼으며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이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두 이즘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 것도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궁극 원리로 삼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N2 - After Kim Su-young started his literature career in 1945, he wrote a prose of percent-filled cries with insights to confirm his identity by showing his isolation and helplessness in his struggle with himself and reality. Especially, since April 19, Kim Su-young has continued efforts to narrow the ga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by actively singing freedom to escape isolation and alienation, calling the situation as sorrow. With the dehumanization of modern world, Isolation has an important side of putting human issues on the table and means that humans must maintain their own nature. This paper divided the isolation of Kim Su-young into >Isolation from literary world and himself’s poem<, >Isolation from life<, >solation from himself<. After these works, this paper want to figure out that to overcome these isolation, Kim Su-young has valued on >harmony and unity<. Isol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modern issue from Hegel and Marx to Heidegger and Erich Fromm. Heidegger believes that the situation of technology civilization is bound to fall into vain and unstable when it does not recognize being. And also he said that individuals would encounter isolation indulging thinking that relationship is vain. When Kim Su-young expressed his feud with Park In-hwan and his lack of power over his poetry in the early days of his debut, Kim Su-young displayed his sense of isolation. While working as a translator for his life, he called it >contract translation< and while raising chickens after moving to Gusu-dong, Mapo-gu, he called himself as >Outsider life<, because of his isolation. On the other hand, self-isolation has neurological syndrome in that he sees himself negatively. Historical situations such as liberation, April 19, and May 16 called for metaphysical notions such as freedom, justice and conscience as well as emotional awareness such as sadness and sorrow to Kim Su-young. But the reason that Kim Su-young fall into isolation is, finally, a non-equally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Before and after situation of isolation is different. Kim Su-young was a poet who deeply reflected on himself. He never neglect himself for a moment. He did not stop struggling with himself like struggling with reality. He made himself constantly to explore relative and absolute completion of reality and poetry. Through this course, he sought to overcome isolation by making harmony and unification a principle of reality and poetry. Kim Su-young’s balance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was also possible because he took harmony and unification as the ultimate principles of reality and poetry. Y1 - 2018 ER - TY - JOUR A1 - Park, Jeong-Ae A1 - Oh, Ju-Won T1 - 사랑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ale of Love] JF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9, No. 3 (2019), pp. 439-448. N2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랑에 관한 기존 척도들의 한계를 보완하여 Fromm의 사랑의 개념을 이론적 바탕으로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하는 사랑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기존의 척도들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Fromm의 사랑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Fromm의 사랑에 대한 구성 개념으로 6개 하위영역(자기애, 모성애, 부성애, 형제애, 이성애, 신의 사랑)을 축출하였다. 6개 하위척도에 적합한 기초 100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거쳐 1차 예비문항에서 60문항이 선정되었다. 30~50대 기혼 남녀 32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거쳐 22문항이 제거되고, 868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거쳐 1문항이 제거되어 최종 38문항이 선정되었다. 개발된 사랑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72~.86 사이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사랑의 척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심리발달 단계와 다양한 인간관계의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국내외에서 처음으로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포함한 새로운 차원의 통합적 사랑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N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ove scale based on the concept of Fromm's love as a rationale for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50s. After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love for research purposes, we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ale and propose Fromm's concept of love as an alternative. Six subscales were extracted from the constitutional concept of Fromm. Six subscales included self-love, motherly love, fatherly love, erotic love, brotherly love, love of God. First, after developing 100 basic items, 60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preliminary question through expert discussion, and 324 married men and women were subjected to preliminary tests, followed by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22 items were removed. For this test, data were collected from 868 subjects, followed by item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ne item was removed and the final 38 items were sele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composed of six factors of self-love, motherly love, fatherly love, erotic love, brotherly love, love of God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orthogonal rotation method. Als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between the constituents of love.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developed love scale was found to be good between 72 – .86. The result of this study complemented the limits of the existing love scale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various human relations, and it is meaningful in terms of presenting a new concept of integrated love including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Y1 - 2019 ER - TY - JOUR A1 - Park, In-Cheo T1 - 기술시대와 사랑의 윤리학: 후설, 하이데거, 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 [The Era of Technology and the Ethics of Love: Focusing on the Love Theory of Husserl, Heidegger, and Fromm] JF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N2 - 문】현대의 기술시대를 특징짓는 것은 기술에 의한 인간의 획일적 지배이다. 이 속에서 인간은 기술의 노예가 된 채 기술체제에 순응하며 살아가기를 강요받는다. 그럼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본성으로부터 멀어진 채 소외된 상태로 살아간다. 이러한 인간소외를 초래하는 기술시대의 극복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윤리학이 필요할 것인가? 전통적인 윤리학이 기반을 두고 있는 이성에 대한 강조만으로는 나름대로 매우 합리적이고 주지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기술시대의 전반적 경향에 대항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기술시대에 가장 결여되어 있는 것은 인간의 감성이다. 그리고 기술시대의 윤리학은 여기에 호소해야만 하나의 설득력 있는 윤리적 대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감성에 바탕을 두면서 동시에 기술시대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간의 능력은 사랑이다. 따라서 기술시대에 대한 하나의 효과적인 윤리적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사랑의 윤리학이다.그러면 기술시대에 적합한 사랑의 윤리학의 모델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여기서 본 글이 고려 대상으로 삼은 철학자는 후설, 하이데거, 프롬이다. 세 사람 모두 기술시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나름대로의 사랑론을 전개했다는 공통적 배경을 지닌다. 그러나 후설의 사랑론은 지나치게 이념적이고 추상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하이데거의 사랑론은 구체성과 현실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후설에 비해 발전적이나 소극적이고 비의지적이라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프롬의 사랑론은 양자의 단점이 비판적으로 극복된 것으로서 타자와의 결합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적 열망에 바탕을 두고 개인적 관념적 사랑이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프롬의 사랑론은 기술시대에서 황폐화되고 있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 있는 대안으로 적절하다. 기술시대의 사랑의 윤리학은 이러한 프롬식의 사랑론에 바탕을 둘 경우 타당한 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 N2 - What characterizes the modern age of technology is the uniform domination of humans by technology. In this context, humans are forced to live as slaves to technology and conform to the technological system. In this way, human beings are separated from their nature and live in an alienated state. What form of ethics will be needed to overcome the technological age that causes human alienation? The emphasis on reason, on which traditional ethics is based, is not convincing enough to oppose the general trend of the technological age, which is very rational and intellectualistic in its own way. What is most lacking in the age of technology is human sensibility. And the ethics of the technological age can only be accepted as a persuasive ethical alternative only by appealing to it. However, at the same time based on human sensibility, the most needed human ability in the age of technology is love. Therefore, it is the ethics of love that can be an effective ethical alternative to the age of technology. Then, where can we find a model of ethics of love suitable for the age of technology? The philosophers considered in this article are Husserl, Heidegger, and Fromm. All three have a common background in that they developed their own theory of love based on critical perceptions of the technological age. However, Husserl's theory of love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too ideological and abstract. In addition, Heidegger's theory of love is more advanced than Husserl in that it contains concreteness and reality, but it is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passive and unwilling. Fromm's love theor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love as a social phenomenon, not as a personal ideal love, based on the natural aspiration of human beings toward bonding with others as critically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both. Therefore, Fromm's theory of love is appropriate as a concrete and realistic alternative for restoring humanity, which is being ravaged in the age of technology. The ethics of love in the technological age can be established as a valid theory if it is based on Fromm's theory of love. [Google translator, 11/2022] Y1 - 2004 ER - TY - JOUR A1 - Park, Ho-jin T1 - 멕시코 사신 숭배(Culto a la Santa Muerte)의 성격과 盛行의 정신분석학적 원인 분석 [Las características del culto a la Santa Muerte y su análisis psicoanalítico] JF - 중남미연구 [KJLACS – Korean Journ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udies], Vol. 28, No. 1 (2009), pp. 245-276. N2 - El culto a la Santa Muerte es una creencia secular que se incrementa con gran rapidez en el México del 2009 actual y la presente tesina trata primeramente del origen de su culto, su relación con la iglesia católica- ortodoxa y sus características. Posteriormente, se analiza este tema desde un enfoque psicoanalítico. En base a la teoría de C.G. Jung, se aclara que el culto es la >sombra(término de Jung)< del neoliberalismo aparecida en el subconsciente colectivo mexicano.También se expone que los aztecas tenían una tendencia hacia la >necrofilia< en su religión primitiva según Erich Fromm. Y como conclusión, planteo cuatro premisas. Primero, el culto actual de Santa Muerte proviene de la tradición europea de la Danza Macabre, no obstante, la iglesia católica no reconoce su legitimidad. Segundo, el culto tiene cuatro principales características: 1. el sintetismo entre lo europeo y lo indígena, 2. el culto que se enfoca más en la vida mundana, 3. el culto como religión del mercado en el sentido de que se comercializa el culto, 4. el pánico por la muerte. Tercero, el culto se propaga por la crisis económica causada por el neoliberalismo. Los marginados que no fueron beneficiarios de la globalización han acogido este culto como >sombra< del neoliberalismo subconscientemente. A pesar de la tradición europea, la tendencia hacia la >necrofilia< ocultada en el subconsciente colectivo de los mexicanos resucita o intensifica esta >sombra<. Cuarto, el culto tiene ambivalencia como tabú. En otra palabras, tiene dos lados positivo y negativo. El positivo radica en que el culto absorbe y consuela a los marginados afectados por la globalización y el negativo es que el culto es una alerta roja a la sociedad mexicana. Y1 - 2009 ER - TY - JOUR A1 - Park, Goo-Yong T1 - 행복의 그림자: 자유와 폭력의 경계에서 [Shadow of Happiness: On the Boundary of Freedom and Violence] JF - 동서철학연구 (S.P.E.W)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SPEW), No. 70 (2013), pp. 5-33. [ISSN: 1225-1968] N2 - 이 글의 주된 목적은 행복 담론의 빛과 그림자를 밝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나는 자유의 최대화와 폭력의 최소화에 기여하는 행복론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자유와 폭력의 변증법적 관계를 기초로(1), 에피쿠로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나는 행복론이 불행한 의식에 빠지지 않으려면 행복과 불행의 이분법을 벗어나야 하며(2), 목적이나 수단이 아니라 과정으로서 행복을 권리의 지평에서 정당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한다(3). 나아가 나는 프롬과 마르쿠제의 긍정 심리학과 부정 심리학의 경계에서 행복론이 상실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논증한다(4). 마지막으로 나는 행복 담론이 자기침잠과 자기연민에서 나와 바깥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힌다(5). N2 - This article is designed to illuminate light and shadow in the discourse on happiness. In this process, I orient the discourse of happiness that maximizes freedom and minimizes the violence. To do this, I am first interested in the dialectical relation between freedom and violence (1). And I talk critically about Epicurus and Aristotle's position. In this conversation with them, I argue that the theory of happiness get out of the dichotomy of happiness and unhappiness, if it do not want to fall into the unfortunate sense (2). And from the horizon of the right, I attempt to justify the happiness as a process rather than the means and purpose (3). Furthermore, I try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happiness theory for the course to get back the lost ego from the boundary of the negative psychology and the positive psychology (4). Finally, I say that the discourse on happiness requires the process towards the outside out of self-pity and self-immersion (5). Y1 - 2013 ER - TY - JOUR A1 - Park, Chong Tai T1 - 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Pro‐lif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JF - 생명연구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19 (2011), pp. 11-48. N2 - 이 논문은 대학생의 생명을 위한 교육을 자아실현의 관점과 연결하여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그 실천적인 방법을 제안하려는데에 목적을 둔다. 나는 우선 삶의 목적, 자아실현, 행복개념등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다음으로 전통적 및 현대적 덕목들이 자아실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긍정 심리학<과 >행복 심리학<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한다. >생명개념<에 관한 정의나 이해방식은 참으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해야한다. >생명현상<은 생물학을 비롯한 자연과학과 의학등의 탐구대상이고 >생명의 본질<은 철학적 이론과 기타 인문과학의 연구대상이다. 물론 여러 고등 종교에서도 각기 경전과 교리에 토대를 두고 생명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오늘날 생명의 의의와 존엄성을 드높이려는 교육과 운동에서 내걸고 있는 >생명의 문화<는 >죽음의 문화<의 반대개념이다. 죽음의 문화는 모든 생명을 경시하는 의식과 풍조에서 싹트고 이기주의, 쾌락주의, 물질주의가 그 온상이다. 현대사회에서 만연된 죽음의 문화는 생명의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자의 도덕적 자각과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생명문화의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삶의 방식은 에리히 프롬이 말한대로 >소유의 삶<이 아니라 >존재의 삶<이어야 할 것이다. 생명을 위한 교육은 교양교육의 범위에서 모든 대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2 - This study is designed to theoretically discuss pro‐lif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and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First examined will be the relationship among objectives of life, self‐realization and the concept of happiness. Based on the examination, possibilities of applying >positive psychology< and >psychology of happiness< will be demonstrated as concrete measures to utilize conventional and modern virtues in achieving self‐realization. Considering that different studies have reached different definitions of the >concept of lif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hrough consilient research. The >phenomenon of life< is the subject on which natural science, including biology, and medicine fields have studied, and the >nature of life< has been that of philosophy and other humanities. Most advanced religions have also provided solutions to the question of the nature of life, based on their own scripture and theories. The >culture of life< that today’s education and movements proclaim to promote the importance and dignity of life stand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pectrum from the >culture of death<, which is born by the attitude of devaluing life, and raised by egoism, hedonism and materialism. It is time that the >life culture< should replace the >death culture< that is prevalent in the modern society.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pur to nourish the culture of life by morally enlightening ourselves and improving social institutions. As Erich Fromm said, the way of our life shall be a >life to be<, not a >life to possess<. It is desirable to provide pro‐life education to all college students as a general education. Y1 - 2011 ER - TY - JOUR A1 - Park, Chan-Kook T1 - 목적론적 입장에서 본 행복: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롬을 중심으로 [Happiness from a tele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Aristotle and Fromm] JF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N2 - 이 연구는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와 헤겔에 이르는 서양철학의 고전적 전통을 지배했던 목적론에 입각하여 행복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이러한 목적론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자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져 있는 본질적인 형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보는 본질실현의 목적론이다.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은 근대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자기보존의 목적론과는 달리 모든 존재자들은 단순한 자기보존이나 종족번식을 넘어서 자신에게 부여된 본질적인 형상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복은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을 전제로 할 경우에만 제대로 구명될 수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사실을 본질실현의 목적론에 입각하여 인간을 파악했던 가장 대표적인 사상가인 아리스토텔레스와 에리히 프롬의 행복관을 고찰함으로써 입증하고자 했다. N2 - This research aims to inquire into the issue of happiness on the basis of the teleology that dominated the history of the Western philosophy from Plato to Hegel. According to this teleology, all beings try to realize their essential forms given by the nature. I think that the happiness of the human beings can be brought to light well only if we presuppose the teleology. This research sought to prove this thought by considering the most representative thinkers, Aristotle and Erich Fromm that investigated the human beings on the basis of teleology. Y1 - 2011 ER - TY - JOUR A1 - Park, Chan-Kook T1 -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에리히 프롬과의 비교를 통해서 [A Critical Examination of Nietzsche’s View on Buddhism and Christianity -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rich Fromm’s View] JF - 현대유럽철학연구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No. 27 (2011), pp. 101-138. N2 - 이 글은 니체가 『안티그리스도』에서 개진하고 있는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견해를 프롬의 견해와 대조하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니체의 견해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있다. 니체는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현실을 고통에 가득 찬 부정적인 것으로 보면서내면으로의 도피나 피안으로의 도피를 주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허무주의적이라고 보며, 또한 양자가 모두 생명력의 약화와 퇴화에서 비롯되었으면서도생명력의 약화와 퇴화를 조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데카당스적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반해서 프롬은 종교를 크게 권위주의적인 종교와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대별하면서 불교를 대표적인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보는 반면에 그리스도교에는 두 가지 요소가 섞여 있다고 보고 있다. 프롬은 예수의 참된 정신과 그리스도교 신비주의는 인본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반면에, 이른바전지전능한 신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을 요구하는 제도화된 교회의 교리는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았다. 프롬이 이렇게 종교를 권위주의적 종교와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구별하고 있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니체가 종교를 힘에의 의지를 강건하게 만드는 종교와, 그것을 약화시키고 병들게 하는 종교로 구별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니체가 어떤 종교의 좋고 나쁨은 그 종교가 실재를 얼마나 반영하느냐가 아니라 인간을 얼마나 강건한 존재로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처럼, 프롬역시 어떤 종교의 좋고 나쁨은 그 종교가 인간을 얼마나 정신적으로 성숙한존재로 만드는지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프롬이 부처와 예수를 인류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가치를 제시하고구현한 인류의 사표로 보는 반면에, 니체는 부처와 예수를 결국은 힘에의 의지가 약했던 데카당으로 본다는 점에서 양자는 사실상 입장을 전적으로 달리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양자 간의 차이는 궁극적으로는 『안티그리스도』에서의 니체가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을 주창하는 계몽주의적인 휴머니즘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에 반해 프롬이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데에서 비롯된다. 니체가 계몽주의뿐 아니라 불교나 그리스도교에 나타나고 있는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을 힘이 약한 자들의 자기기만정도로 보는 반면에, 프롬은 오히려 진정한 내적인 힘에서 비롯되는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이 존재하며 그러한 정신적인 능력을 구현하는 것이야말로우리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N2 - This article examines Nietzsche’s views o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Anti-Christ< critically in contrast with Erich Fromm’s view and inquire into the positiv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Nietzsches’ view. Nietzsche regards Buddhism and Christianity as nihilistic, because he thinks that they see this world as filled with pains and advocate the escape from this world. Moreover, he regards them as decadent, because he thinks that they came into being from weakening and degeneration of life and promotes weakening and degeneration of life. On the contrary, Fromm divides the religions into authoritarian and humanistic religions largely. He sees Buddhism as a representative humanistic religion, while he thinks that in Christianity two elements are mixed. Fromm sees Buddha and Jesus as the ideal men which presented and realized the values that the mankind should realize, while Nietzsche sees them as the decadent men whose will to power was weak and tired. The difference between Nietzsche and Fromm is grounded on the fact that Fromm accepts the enlightenment humanism that advocates the cosmopolitan love, while Nietzsche is critical against it. Y1 - 2011 ER - TY - JOUR A1 - Park, Chan-Kook T1 -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적 욕망론에 대한 고찰 [Schopenhauer’s Metaphysical View of Desire] JF - 철학사상[The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No. 36 (2010), pp. 85-119. N2 - 이 글은 쇼펜하우어의 욕망관과 그것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존재자들이 자기보존에의 욕망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욕망들은 물자체로서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쇼펜하우어는 각 개체들과 종족들은 자신들의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투쟁하고 갈등하는 바 이러한 세계는 생각할 수 있는 세계 중에서 최악의 세계라고 보았다. 쇼펜하우어는 욕망을 극복하는 궁극적인 방법으로 이성에 의한 의지부정을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이는 이성을 자기보존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의 도구로 보는 자신의 철학적 입장과 모순될 뿐 아니라 그의 철학이 이성과 욕망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이원론의 입장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인간의 욕망을 고찰하는 보다 설득력있는 입장으로서 이 글에서는 말미에서 프롬의 욕망관을 간략히 살펴보고 있다. 프롬은 쇼펜하우어나 서양의 전통적인 이원론적인 입장이 주장하는 것처럼 이성과 욕망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건강한 이성에 대해서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병적인 이성이 대립한다고 보았다. N2 - This article examines Schopenhauer’s view of desire, its problems and how we can cope with these problems. According to Schopenhauer, the lives of all beings inclusive of human beings are determined by their desire for preservation of the self and species; these desires are expressions of the cosmic Will as the thing-in-itself. In the world, all individual beings and species struggle against each another in order to satisfy their own infinite desires, and so this world is the worst world among the worlds that can be conceived. The way that Schopenhauer is advocating as the ultimate way of overcoming this desires is to negate desire by reason. However, this is not only contradictory to his own philosophical position, in which reason is see as an instrument of desire for the preservation of self and species, but also means that his philosophy is degraded to the traditional dualism that opposes the reason for desires. At the end of this article, we examine Erich Fromm’s view of desire briefly as a more persuasive position that copes with these problems. Fromm considered that reason is not opposed to desire, as Schopenhauer did; additionally western traditional dualism insists, that the productive and affirmative desires combined with sound reason are opposed to the destructive and negative desires combined with unsound reason. Y1 - 2010 ER - TY - JOUR A1 - Park, Ah-cheong T1 -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A psychological review on personality structure in female] JF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Vol 8, No. 1 (2003), pp. 1-17. [Print ISSN 1229-0726] [accesson.kr/kswp/assets/pdf/14003/journal-8-1-1.pdf] N2 -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접근을 여성의 심리 내지 성격에 대한 접근으로 시도되었다. 여성의 자아구조를 논의함에 있어서 프로이트를 위시하여 융, 아들러와 같은 정신의학자들은 물론 여성심리학자로 하는 호나이와 같은 여성심리학자들 조차 여성의 자아구조를 논의함에 있어서 남성을 염두에 둔 생물학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 면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여성의 자아와 정신구조에 대한 이해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임으로 생리적이고 심리적인 측면만으로 단순화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종전의 ‘남성 아니면 여성’이란 식으로 여성을 논할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간으로서의 여성론이 전개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면서 여성의 자아에 대한 심리학적 측면을 연구함에 있어서도 여성의 생리적, 심리적 측면 이외에 사회적, 역사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N2 - In this article, those psychological aspects of ego in woman was examined 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an investigation of female identity formation. Especially psychanalytic approaches including Freud, Jung Adler, Horney, Fromm and Erikson on the development of female ego which emphasized on sex difference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ose theories were wrong biases and had obvious weaknesses due to the biological basis for woman's inferior. From viewing the previous studies we can concluded that although women may view themselves as inadequate compared the man, the to so for societal reasons, not because they were born female, and if women feel unworthy, it is because they have been treated that way in male-dominated culture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asonal and desirable approach of female ego have to consider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of the feminine psyche. Y1 - 2003 ER - TY - JOUR A1 - Moon, Sunghoon T1 - 태극기 군중의 탄생에 대한 사회 병리학적 탐구 [A Social-pathological Research of the Birth of Taegeukgi Crowd] JF - 사회와 철학 제 [Social Philosophy] No. 36 (2018), pp. 1-30. N2 - 본 논문의 목적은 에리히 프롬이 분석한 근대화의 역설을 모델로 삼아, 박근혜 탄핵 반대집회에서 모습을 드러낸 ‘태극기 군중’의 유래와 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첫째, 본 논문은 근대화의 역설에 대한 에리히 프롬의 분석을 통해 정치지도자에 대한 맹신이 등장하는 이유를 근대인의 심리적 구조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에리히 프롬의 분석을 모델로 삼아 태극기 군중의 역사적 기원을 1970년대에 ‘조국근대화’를 추진한 박정희의 지지층으로 보면서, 이들의 탄생이 근대화의 역설적 결과임을 보여줄 것이다. 셋째, 본 논문은 박정희 지지층 일부가 박근혜 등장 이후 태극기 군중으로 부활하게 된 것을 프로이트의 ‘가족로망스’와 ‘멜랑콜리’ 개념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태극기 군중의 등장을 사회 병리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질병’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지적할 것이다. N2 - In this paper, I will perform three tasks to reveal the identity and origins of the Taegeukgi Crowds, which appeared in the demonstration against the impeachment of Park Geun-Hye in 2017. First, I will explain why the crowd blindly trust the political leader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the individual caused by modernization, which Erich Fromm depicts (1), and secondly, I will find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Taegeukgi Crowd in the political supporters of Park Chung-Hee who promoted in the 1970s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and I will argue that the supporters is a paradoxical outcome of modernization (2). Third, I will explain based on Freud’s concept of family romance and melancholy that Park Chung-Hee’s supporters are revived as the Taegeukgi Crowd after the appearance of Park Geun-Hye (3). Finally, I will consider the emergence of Taegeukgi Crowd as a social pathological phenomenon, and I will point out what kind of social effort is needed to overcome it. Y1 - 2018 ER - TY - JOUR A1 - Min, Yoon Young A1 - Chang, Haram T1 -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 목적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정신분석학적 고찰 [Legal Psychoanalytical Considerations on the Genetic Enhancement of Human Life before Birth] JF - 법학논총 [Dankook Law Review], Vol. 42, No.4 (2018), pp. 95-132. N2 - 이 글은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에 관한 현재의 담론이 도덕적 현기증에 빠져있다는 샌델의 지적에 공감하며, 이 문제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을 시도하여 도덕적 현기증을 극복한 법규범의 확립을 위한 토대를 놓는 것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출생이전 인간생명의 증강 목적 유전자 편집 문제와 관련하여 크게 두 가지 입장이 있는데, 하나는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을 찬성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이고 다른 하나는 반대하는 생명보수주의이다. 이 글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주장의 중요한 오류들을 비판하고, 생명보수주의자들의 논증은 보완하고 강화한다. 각 장의 중심 주제를 간략히 밝히자면, 제II장에서는 부모의 자녀를 위한 >합리적 선택<이 무의식을 고려한다면 허무한 신화일 수 있기에, 불가역적 변화인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을 부모의 선택에 맡기는 것이 크게 위험할 수 있음을 밝히는데 주안점을 둘 것이고, 제III장은 >완벽<을 향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욕망의 파괴적 위험성을, 제IV장은 출생 이전 인간생명에 대한 유전자 편집의 욕망이 생명을 존중하는 바이오필리아적인 것이 아니라 통제를 갈구하는 네크로필리아적인 것임을 다룰 것이다. 제II장은 프로이트와 현대의 역동심리치료 이론들이, 제III장은 융의 분석심리학이, 제IV장은 프롬의 정신분석학이 중심적인 이론적 틀이 되며, 생명보수주의자로는 샌델과 하버마스가, 트랜스휴머니스트로는 보스트롬과 사블레스쿠가 주로 고찰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균형 있는 관점을 가진 바이오필리아적 법의 확립을 위한 기초적 토대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N2 - In >The Case against Perfection<, Sandel argues that we are experiencing moral vertigo as genetics move faster than our moral understanding. In that same vein, this paper aims to import the language of psychoanalysis to help clear the moral confusion induced by the technologies of gene-editing. The reason why this paper claims psychoanalytic vocabulary would be useful is that it believes there are unconscious desires intertwined with genetics. The moral unease can only be correctly understood if and when we consider these unconscious desires. This paper focuses on arguments from both sides of transhumanism and bio-conservatism. It further tries to provide support from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in favor of the bio-conservatives' claims. The paper's main aim is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laws and regulations that concern the area of genetic enhancement of human life before birth. If successful, it will provide a more balanced insight into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aspects of human beings which will better equip our moral and legal vocabulary. Theories from Freud, Jung and Fromm are used in this argument with specific focuses on the issues of human irrationality, psychological dangers of the pursuit of perfection, and the desire to control. Y1 - 2018 ER - TY - JOUR A1 - Min, Yoon Young T1 - 한국의 부부간 심리적 폭력의 실태와 형사정책적 함의 – 강압적 통제론과 네크로필리아(necrophilia) 개념을 활용하여] [Psychological Violence between Spouses and its Implications for Criminal Justice Policy in Korea – Using Coercive Control Theory and the Concept of Necrophilia] JF - 형사정책 [Korean Journal of Criminology], Vol. 29, No. 3 (2017), pp. 93-125. N2 - 가정폭력처벌법과 가정폭력방지법이 제정된 이후 20년이 흘렀음에도 가정폭력은 여전히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가정폭력 가해자의 체포우선주의나 상담조건부 기소유예제도의 폐지 등 법적 개선의 논의가 활발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이 2015년 Serious Crime Act를 개정하여 신체적 폭력이 없는 패턴화된 강압적이고 통제적인 행위를 독립적인 범죄로 처벌할 수 있게 한 것은 인상 깊은 사건이다. 형법상 범죄를 구성하지 않는 심리적 폭력들도 가족구성원 사이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행해지고 피해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면 범죄로 처벌될 수 있게 된 것이다. 가정폭력에 대처하는 영국법의 이러한 새로운 입장은 미국의 Evan Stark 교수의 강압적 통제론(coercive control)을 바탕으로 가정폭력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스타크 교수의 강압적 통제론은 가정폭력의 핵심은 ‘통제’이고, 가정폭력은 피해자의 자유에 대한 침해라고 재정의하였다. 즉, 그 자체로는 폭력성이 낮은 행위라도 강압적이고 통제적인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행해질 때에는 통제의 패턴을 이룸으로써 피해자의 자유를 구속하는 폭력이 될 수 있다는 이론이다. 가정은 매우 친밀한 공동체이기 때문에 폭력성의 수위 자체는 낮은 통제적 행위라 하더라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행해질 때 그 해악이 크다. 따라서 형법적 범죄를 구성하는 수준에 이르지 않는 통제적 행위들이 꾸준히 가해져서 통제적 패턴이 형성되는 상황을 법적으로 규제할 필요성이 충분하다. 이 글에서는 영국이 가정폭력의 개념과 규제 방식을 바꾼 취지를 수용하여, 영국의 SCA Part 5 Section 76을 소개하고(II), 2016년에 실시한 한국의 부부간 심리적 폭력의 실태조사와 부부간 심리적 폭력의 범죄화에 대한 여론조사의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한국의 상황에서도 영국의 문제의식이 유효한 것임을 고찰해보았다(III). 나아가 강압적 통제 행위의 해악을 프롬(Fromm)이 제시한 네크로필리아(necrophilia)의 개념을 활용해 재해석함으로써 이러한 유형의 가정폭력이 심각한 해악을 미치는 것임을 새롭게 이해해보고자 하였다(IV). 마지막으로는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가정폭력 관련 형사정책이 부부간 심리적 폭력에 관심을 더욱 둠으로써 더욱 실효적으로 되기를 제안하면서 글을 마무리 한다(V). N2 - This article aims at improving Korean criminal justice policy on domestic violence through adopting Evan Stark's theory of coercive control. It introduces U.K.'s Serious Crime Act 2015 which fully implemented Stark's concept of coercive control into its criminal law regime, and compares its underlying philosophy with that of Korean domestic violence laws. It also discusses the result of 2016 national survey which examined the reality of psychological violence between spouses in Korea in light of coercive control. Additionally, it analyses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violence between spouses through the concept of necrophilia from Fromm's psychoanalysis, in order to argue further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ercive control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criminal justice policy on domestic violence issues. Y1 - 2017 ER - TY - JOUR A1 - Min, Yoon Young T1 - 인간, 동물, 로봇 그리고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법 –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상을 중심으로 [Human, Animal, Robot and the Law of Biophilia – Focusing on the Thoughts of Erich Fromm] JF - 법철학연구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Vol. 20, No.1 (2017), pp. 299-332. N2 - 이 글은 프롬의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 개념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법이 가져야 할 방향성을 고찰한다. 바이오필리아는 생명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고 네크로필리아는 죽음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데, 프롬의 이론에서 네크로필리아는 기계적인 것에 대한 사랑으로 새롭게 해석된다. 흥미로운 것은 프롬에게서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가 심리적이면서 도덕적인 문제로 설정된다는 점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이 글은 인간의 로봇화, 로봇의 인간화가 말해지고 인공지능 로봇의 발전으로 인해 >쓸모없는 인간 계급<이 등장할 가능성마저 말해지는 지금의 상황에서,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가 법의 방향성을 모색할 유용한 개념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법이 과학의 발전을 도모하면서도 기계적인 것에 대한 사랑이 생명에 대한 사랑을 대체하지 않도록 하는 파수꾼으로서 기능할 때, 바이오필리아를 확대시키는 생명의 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특히 법적 상징계에 인공지능 로봇 등의 기계를 위치시킴에 있어서 지능적 기계와 동물이 비교되는 상황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인간-비인간(non-human)<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생명-비생명(non-life)<의 패러다임으로 나아갈 것을 촉구한다. 또한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법적으로 규율하는 미래적 과제에 임할 때에, 그 관계가 자기애적이고 네크로필리아적인 것일 가능성을 인식할 필요성도 제안해보았다. N2 -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Fromm’s concepts of biophilia and necrophilia into the field of jurisprudence. In Fromm’s theory, biophilia means the love of life and necrophilia means the love of death. Fromm linked necrophilia with the love of machines by contrasting mechanical things and organic life, and suggested the distinction between biophilia and necrophilia is not only psychologically but also morally fundamental. The article argues that such moral distinction is something law should be fully aware of at the dawn of the 4th revolution. We are facing a critical challenge to defend the value of human life against the emergence of smart machines, such as AIs or intelligent robots. It is even said that a mass of useless humans might appear as AIs or intelligent robots replace humans at work. At this peril, law needs to provide itself with the right tools neede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such new situation correctly and to prepare for the future. The article claims Fromm’s concepts of biophilia and necrophilia could provide useful perspective for that end. Applying Fromm’s theory, this article argues that law should shift its paradigm from the binary of human and non-human to that of life and non-life, embracing its new role as the promoter of biophilia. In addition, it analyzes the necrophilous tendencies in current Korean legal system through the example of its treatment of animals, and also warns the danger of metaphorically comparing robots to animals in legal discourse related to robots. It also suggests it is necessary for law to recognize the potential necrophilous tendencies of human-robot relationships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robot regulations in a way that promotes biophilia. Y1 - 2017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