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Lee, Jaeil T1 - 루돌프 옷토의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 [A Study on Educational Implication of Rudolf Otto's Religious Experience] JF - 종교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KJRE)], Vol. 32 (2010), pp. 249-262. N2 -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루돌프 옷토가 말하는 종교적 감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종교 체험은 종교를 이해하는 주요한 대상이다. 종교 체험은 매우 다양하지만 공통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종교 체험의 감정적 측면에 주목한 옷토는 종교 체험을 성스러움의 체험으로 이해한다. 그는 이를 피조물 감정, 두려운 신비감, 매혹성, 어마어마함, 장엄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성스러움의 체험 내용은 두려움과 매혹으로 대비되어 이해할 수 있다. 바하는 옷토가 종교 체험을 두려움과 매혹성으로 구분한 것을 높게 평가하였다. 필자는 두려움과 매혹의 양극성으로 구분되는 종교적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주목한다. 종교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부성애와 모성애의 교육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두려움과 매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교육적 작동방식을 살펴보았다. 프롬에 의하면 부성애는 조건적이고 인위적인 것이고 모성애는 무조건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유아에게 부성애는 존경심을 형성하고 모성애는 안정감을 형성한다. 유아는 이러한 마음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관계를 맺어가게 된다. 카를 융은 인간은 양극적 요소를 통합하면서 인격을 성숙하게 된다고 하였다. 옷토가 주장하는 종교체험도 인격의 형성과 관계된다. 두려움은 인간이 자신을 반성하고 바로잡아가도록 하고, 매혹성은 성스러운 존재에게 다가가 평온과 행복에 취하게 한다. 결국 두려움과 매혹성의 종교 체험은 부성과 모성의 사랑과 유사한 교육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N2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educational implication of religious experience. Religious experience is the major subject to understand religions. Although religious experience has various aspects, it may be explained by essential elements. Rudolf Otto concentrated his attention on the emotional aspect of religious experience. He named religious feelings >creature-feeling< which may be divided into terrifying (tremendum) and fascinating (fascinans). Joachim Wach valued Otto’s idea about it highly. I am also interested in Otto’s idea which is divided into terrifying and fascinating. I especially concentr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errifying and fascinating. Firstly, I tried to understand paternal love and maternal love in order to explain the educational implication about polarity. Secondly, I explained the educational mechanism of terrifying and fascinating .According to Erich Fromm, paternal love is conditional and unnatural, maternal love is unconditional and natural. Children’s respects are molded by paternal love and their stability are molded by maternal love. Children build various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these. Carl Jung said that human beings form their character through unifying polarity. Religious experience is also related to building character. Terrifying makes human beings reflect on themselves and correct their behavior, fascinating makes them get close to the Holy and be intoxicated with peace and happiness. In conclusion, it can be described that religious experience with terrifying and fascinating has educational influence on human beings as paternal love and maternal love do on children. Y1 - 2010 ER - TY - JOUR A1 - Kim, Kwangsik T1 -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본 EXO의 >으르렁 [The Song >Eureureong< [Growl] of EXO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und E. Fromm]<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사회와 철학 [Social Philosophy], Vol. 35 (2018), pp. 45-66. N2 - >으르렁<은 젊은 세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노래 가운데 하나다. 이 노래는 젊 은 세대에게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노래는 철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노래다. 으르렁대는 야만적인 무한경쟁의 심리가 드러나 있다. 이 논문은 그 노랫말을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보고 그 철학적 까닭과 해법을 찾아보았다. 니체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시기, 곧 타자 부정이며, 그 해법은 긍 정, 곧 자기 긍정이다. 자기가 사랑하는 이성을 사랑하는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때문이며, 그 바탕에는 열등감과 시기심이 깔려 있다. 무엇보다 먼저 자기를 가치 있는 사람으로 긍정하면, 열등감과 시기심에 빠지지 않고,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해 불안이나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프롬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며, 그 해법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다.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이성을 독차지하려는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 때문이다. 무엇보다 먼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가지면, 사랑의 존재, 곧 사랑의 과정 및 경험 그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성을 독차지하지 못하거나 잃어버릴까봐 불안해할 필요가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으르렁<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우리 젊은 세대는 자긍심보다 열등감이나 시기 심이 강하고,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보다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 강한 경향이 있다. 우리 나이든 세대의 유산일 게다. 걱정되는 것은 그러한 경향이 더 노골적이고 거칠어졌다는 점이다. 철학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무한경쟁을 낳는 사회 구조적 원인이 가장 큰 탓이다. 하지만 철학자의 탓이기도 한 만큼 우리 철학자들이 젊은 세대의 자긍심이나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북돋우는 데 힘써야 한다. N2 - The song is one of the songs that represent the pop music of the young generation. Because the song has gained huge popularity among young people. This song is philosophically >so dangerous<. The song has the mentality of the growling barbarous unlimited competition. I analyzed the lyrics of the song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and E. Fromm and explored the philosophical reasons and solutions. In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 philosophical reason is the jealousy, this is the negation of others, and the solution is the pride, this is self-affirmation. The reason why he growls to other people who love his beloved partner is the anxiety or the fear to a man superior to himself, which is based on the inferiority feeling or the jealousy. First of all, if he affirms himself as a worthy person, he won't growl to others, because he don't have to feel inferior to or jealous of a man superior to himself and to feel anxious or fear. In the philosophy of Fromm, the philosophical reason is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and the solution is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The reason why he growls to others is because he has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which make him desire to monopolize his beloved partner. First of all, if he has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he won’t growl to others, because he regards the existence of love, namely the process or experience of love as important and therefore he don’t have to feel anxious or fear lest he can’t monopolize her or loses her. According to guessing from the song >Eureureong<, I guess that our younger generations tend to have inferiority feeling or jealousy rather than the pride and to have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rather than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It is the legacy of our old generation. Worrying is that such trends are more explicit and rough-hearted. It is not just a philosopher's fault. That is mainly due to social structural causes. However, as a philosopher, we must strive to encourage our young people to have the pride and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because it is also a philosopher's fault. Y1 - 2018 ER - TY - JOUR A1 - Kim, Kweon Hwan T1 - 논어』의 군자와 소인: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상 [Jūnzǐ and Xiǎoré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a Human Character orienting for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JF - 동양철학연구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No. 78 (2014) pp. 37-68. N2 - 본 논문은 『논어』의 군자와 소인이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임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의 군자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당위적 덕목을 나열하고 그 덕목을 갖추기 위해 수양하라는 지극히 간단한 구조였다. 그런 연구는 >군자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나름대로의 성과를 내고 있지만 군자 모습의 형상화만으로는 군자의 총체적 의미를 다 살려냈다고 보기 힘들다. 왜냐하면 군자는 완전한 인간으로 우뚝 선 결과적 모델이 아니라 완성을 지향하는 과정적 인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 그 반대편에 있는 소인도 같은 논리로 과정적 인간이 된다. 이런 과정적 인간의 모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연구가 에리히 프롬 『인간의 마음』이다. 그는 인간의 마음이 세 가지 정향에 따라 성장 증후군을 나타내거나 쇠퇴 증후군을 나타내는 쪽으로 변하는 것으로 모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그 모형에 착안하여 군자, 소인, 중인의 관계도를 완성하였다. 보통사람으로 지칭될 수 있는 중인을 가운데 배치하고 여기서 출발하여 위로 성장하는 정향을 가진 사람을 군자로 보고, 아래로 쇠퇴하는 정향을 가진 사람을 소인으로 보았다. 그리고 성장의 최고 단계에 도달한 사람을 성인으로, 쇠퇴의 극한에 이른 사람을 폭군으로 보았다. 또 성장과 쇠퇴를 결정하는 정향을 각각 세 가지 제시함으로써 관계 모형의 타당성을 높였다. 그 세 가지는 성장의 정향으로 인의, 예악, 학습 정향을, 쇠퇴의 정향으로 불인, 비례, 자포자기의 정향을 제시했다. 본 논문의 이런 모형을 통해 군자와 소인에 대한 다음과 같은 새로운 관점과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군자와 소인은 고정적 인간형 모델이 아니라 어딘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과정적 인간이라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성장 정향을 가진 군자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쇠퇴의 정향을 가진 소인의 위험성을 경고할 수 있다. 셋째, 성장과 쇠퇴의 정향 사이에서 유동하고 있는 보통 사람에 주목하게 되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N2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iscate that Jūnzǐ (君子) and Xiǎorén (小人)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progressive human who have orienting for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So far, the research for Jūnzǐ in academic world was so simple structure which listed items of virtue as moral obligation and gave an advice for the discipline one's mind to obtain them. That kind of research has been contributed by succeeding to give an image of Jūnzǐ, but It is hard to acknowledge only for the image itself to present overall understanding of Jūnzǐ. Because Jūnzǐ is not a final model who became a perfect human being but a human being who is in the progress toward orienting completion of himself. And Xiǎorén in opposite side is also progressive human being. We can see good diagram of The progressive human being in >The Heart of Man< by Erich Fromm. He presents diagram that human's mind changes to growth syndrome or deterioration syndrome depends on three kinds of orienting. This thesis has been completed the diagram of relationship between Jūnzǐ, Xiǎorén, and a middle person (zhōngrén; 中人) by referring Erich Fromm's diagram. I've placed the middle person who could be considered an average person in the center, from there the human who has orienting the growth toward upside are considered Jūnzǐ, the human who has orienting the deterioration toward downward are considered Xiǎorén. And the human who reached to the highest level is called saint, the human who reached to the limit of lowest level is called tyrannizer. And I enhance the validity of the diagram of relationship by putting forward three orientations which determine the direction for growth or deterioration. The three orienting for the growth are rényì [仁义; humanity and righteousness], lǐyuè [礼 乐]; propriety and music], xuéxí[ 学习; learning], for the retrogression are bùrén [不仁; inhumanity], fēilǐ[ 非礼]; uncourteous], abandon oneself were presented. We can get new point of view for Jūnzǐ and Xiǎorén through this diagram of the relationship. The first, we can get a point of view that Jūnzǐ is not a final model who became a perfect human being but a human being who is in the progress toward orienting completion of himself. The second, we can emphasis not only for the importance of Jūnzǐ but also the dangerousness of Xiǎorén. The third, we can the point of view to focus on the middle person who moves up and down between orienting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Y1 - 2014 ER - TY - JOUR A1 - Kim, Mee Jin T1 - 노인자살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대한 분석과 소외 극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 [Christian Consultation for the Analysis and Overcoming of Alienation,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s] JF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N2 - 본 연구는 노년기 자살에서 자살의 원인이 되는 소외에 관한 연구이다. 소외가 노인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에 착안하여 노인자살의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아울러 소외에 관하여는 Irvin Yalom의 실존주의 심리학적 관점과 Erich Fromm의 사회심리학적 관점, Paul Tillich 실존신학적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소외 개념을 통합하여 노인자살 문제에 적용했으며 또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현상은 네 가지로 나타났는데, 자기소외, 대인관계의 소외, 사회심리적 소외, 신과의 소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소외 극복을 위한 상담 방법적 결론은 상담자와의 참 만남을 통하여 소외에 직면할 힘을 가지게 됨의 중요성과, 죽음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죽음에 직면함으로 죽음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소외 극복을 위한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년기 자살의 수동적인 유형으로 죽음에 대해 소망하는 것을 궁극적 관심에 대한 소망으로의 전환과 전인적인 기독교 상담을 통한 소외 극복 방안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N2 - This research is on alienation, the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 This research has studied on alienation as cause of the suicide in aged people considering that fact that alienation is the main cause of the suicide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he research has been done from Yalom’s existential psychological and Fromm’s socio–psychological and Tillich’s existential theology point of view. This research also has applied and proved clinically the creative concept that has been derived by integrating and applying these concept of alienation to the suicide of the elderly through quantitative study and qualitative study. The important conclusion showed 4 elements as the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 self–alienation, alien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 socio–psychological alienation and alienation from the God. The conclusion of the consultive method to overcome the alienation was that the participants could overcome the uneasiness about death by confronting death and they get the force to confront alienation through the truthful meeting with the consultant, and that confronting the alienation not evading it was the very overcoming of the alienation. The end result obtained through the christian consultive conside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alienation, the cause of the suicide in the elderly, is the suggestion the new being for overcoming the alienation and the desire for death, as the passive type of suicide during old age,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desire for the ultimate interest. Also it is important to plan the way of overcoming the alienation by a wholesome consultation. Y1 - 2014 ER - TY - JOUR A1 - Seo, Eun-ju T1 - 냉전의 지식문화 – 1960 &1970년대 소외론을 중심으로 [The Knowledge Culture of Cold War in the 1960s & 1970s Focusing on Discourses of Alienation] JF - 민족문학사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No. 67 (2018), pp. 397-430. N2 - 이 글은 1960∼1970년대 한국의 지식(문화)장에서 실현된 소외의 담론정치를 냉전의 지식문화사라는 계보 속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담론이 파편적이고도, 편의적으로 재단되어 수용되었던 한국 지식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에서 특히 프롬과 마르쿠제의 소외론이 냉전체제 아래에서 비판적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유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크리스찬아카데미의 『대화』를 통해 진보적 기독교 지식인들이 >인간화<라는 주제 아래 소외개념을 변용·확산시키는 과정과, 그들이 소외의 현장과 긴밀하게 접속됨으로써 반체제 인권운동으로 달려가는 상황도 분석한다. 또한 문학 영역의 소외론이 예술의 자율성을 둘러싼 오래된 논쟁으로 진영화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전질서 속에서 산업화를 진행하였던 1960∼1970년대 한국 담론 장에서, 과연 소외론이 >저항담론<으로서 지식사회의 의식적 각성에 기여하였는지, 혹은 궁극적으로 대중사회·산업사회를 절대화하는 >위장된 저항담론<으로 기능하였는지를 가늠해 본다. N2 - This article intends to read the discourse politics of alienation realized in Korea’s knowledge / culture field of 1960s & 1970s in the genealogy of the knowledge / culture history of the Cold War. It examine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Korean knowledge field, where the discourse of the Frankfurt School has been accepted as fragmented and cutting for convenience.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ritical intellectuals appropriated to the alienation theory of Fromm and Marcuse under the Cold War system. In addition, through the Christian Academy’s DAEHWA (Dialogue) it analyzes that progressive Christian intellectuals transformed and spreaded the alienation concept under the theme of >humanization<, and analyz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y committed them-selves to the human rights movements by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the alienated field. In the aspect of the alienation of literature field, it examines the old debate surrounding the autonomy of art. In the Korean discourse of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Cold War era was industrialized through such a process, it became clear that the alienation theory contributed to awakening the conscious of the knowledge society as >Discourse of Resistance<, or to absolutizing Mass society & Industrial society as >Disguised Discourse of Resistance<. Y1 - 2018 ER - TY - JOUR A1 - Park, Ju-taek T1 -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A Study on the Isolation of Kim Su-young’s Poem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 No. 74 (2018), pp. 175-207. N2 - 김수영은 1945년 등단한 뒤 현실과 자신과의 투쟁 속에서 고립과 무력감을 드러내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통찰로 가득한 절규들을 산문의 형식을 빌려 노래하 였다. 특히 김수영은 4.19를 기점으로 고립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유를 노래하며 현실의 처지를 설움이라고 상정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통일을 좁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소외는 근대의 비인간화와 함께 인간의 문제를 상정하는 중요한 부면을 지니며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소외를 >문단과 자신의 시로부터의 소외<, >생활로부 터의 소외<,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수영이 >조화와 통일<을 가치로 삼았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외는 헤겔과 마르크스를 거쳐 하이데거 그리고 프롬에 이르기까지 근대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하이데거는 기술 문명의 상황이 존재자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허무와 불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며 개인이 관계하고 있는 것이 허망하다는 생각에 빠져 소외에 직면 한다고 말한다. 김수영이 등단 초기 박인환과의 불화와 자신의 시에 대한 무력감을 표현한 것은 고립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또한 생활에 있어서 번역 일을 하면서 이를 청부 번역이라고 한 것이나 마포구 구수동으로 이사한 뒤 닭을 키우며 자신은 변두리 인생이라는 자조에 빠진 것도 소외 때문이었다. 이와는 달리 자기 소외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경증적 증후를 드러낸다. 해방과 4.19 그리고 5.16과 같은 시대적 상황은 김수영에게 있어 설움과 비애와 같은 감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자유, 정의, 양심과 같은 형이상학적 관념들을 요구했다. 그러나 김수영이 소외에 빠진 것은 결국 현실과 사유라는 비동일적 간극 때문이었다. 소외는 소외되기 전의 상황과 소외된 이후의 상황은 다르다. 김수영은 누구보다도 자신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한 시인이었다. 그는 한시도 자신을 방임하지 않았다. 현실과의 싸움만큼 자신과의 싸움을 멈추지 않았다. 현실과 시에 대해 상대적 완성과 절대적 완성을 탐색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을 나아가게 했다. 그 도정을 통해 그는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원리로 삼으며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이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두 이즘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 것도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궁극 원리로 삼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N2 - After Kim Su-young started his literature career in 1945, he wrote a prose of percent-filled cries with insights to confirm his identity by showing his isolation and helplessness in his struggle with himself and reality. Especially, since April 19, Kim Su-young has continued efforts to narrow the ga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by actively singing freedom to escape isolation and alienation, calling the situation as sorrow. With the dehumanization of modern world, Isolation has an important side of putting human issues on the table and means that humans must maintain their own nature. This paper divided the isolation of Kim Su-young into >Isolation from literary world and himself’s poem<, >Isolation from life<, >solation from himself<. After these works, this paper want to figure out that to overcome these isolation, Kim Su-young has valued on >harmony and unity<. Isol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modern issue from Hegel and Marx to Heidegger and Erich Fromm. Heidegger believes that the situation of technology civilization is bound to fall into vain and unstable when it does not recognize being. And also he said that individuals would encounter isolation indulging thinking that relationship is vain. When Kim Su-young expressed his feud with Park In-hwan and his lack of power over his poetry in the early days of his debut, Kim Su-young displayed his sense of isolation. While working as a translator for his life, he called it >contract translation< and while raising chickens after moving to Gusu-dong, Mapo-gu, he called himself as >Outsider life<, because of his isolation. On the other hand, self-isolation has neurological syndrome in that he sees himself negatively. Historical situations such as liberation, April 19, and May 16 called for metaphysical notions such as freedom, justice and conscience as well as emotional awareness such as sadness and sorrow to Kim Su-young. But the reason that Kim Su-young fall into isolation is, finally, a non-equally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Before and after situation of isolation is different. Kim Su-young was a poet who deeply reflected on himself. He never neglect himself for a moment. He did not stop struggling with himself like struggling with reality. He made himself constantly to explore relative and absolute completion of reality and poetry. Through this course, he sought to overcome isolation by making harmony and unification a principle of reality and poetry. Kim Su-young’s balance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was also possible because he took harmony and unification as the ultimate principles of reality and poetry. Y1 - 2018 ER - TY - JOUR A1 - Kim, Keum-Dong T1 - 김기영의 <하녀>에 나타난 장르 연구 [A Study on Genres in Kim Giyoung’s Film >Hanye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문학과 영상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Vol. 7, No. 2 (2006), pp. 37-68. N2 - In 1960s, realist films such as >The Coachman< by Gang Daejin and >An Aimless Bullet< by Yu Hyeonmok depicted with sympathy the poverty-stricken life and desperate circumstances of working class in urban area after war whereas >Hanyeo< [>The Housemaid<] by Kim Giyoeng sternly and sharply analyzed the middle class as well as the working class without emotional involvement as to what kind of economic relationship they had in industrial capitalism and as to what kind of psychological symptoms were induced by the economic relationship. Moreover, the characters in >The Coachman< and >A Aimless Bullet< were those who could not get away from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life style whereas the characters in The Housemaid were completely new people who were cut off from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life style. >Hanyeo< presented that all desires and impulses of the characters who lived in the society of industrial capitalism were completely dominated by the principles of capitalism. Unfortunately,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 movie were not aware of such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theirs at all, and consequently, they could not avoid their misery and devastation. It is not easy to find a film using such an unique mo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s. Moreover … Y1 - 2006 ER - TY - JOUR A1 - Park, In-Cheo T1 - 기술시대와 사랑의 윤리학: 후설, 하이데거, 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 [The Era of Technology and the Ethics of Love: Focusing on the Love Theory of Husserl, Heidegger, and Fromm] JF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N2 - 문】현대의 기술시대를 특징짓는 것은 기술에 의한 인간의 획일적 지배이다. 이 속에서 인간은 기술의 노예가 된 채 기술체제에 순응하며 살아가기를 강요받는다. 그럼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본성으로부터 멀어진 채 소외된 상태로 살아간다. 이러한 인간소외를 초래하는 기술시대의 극복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윤리학이 필요할 것인가? 전통적인 윤리학이 기반을 두고 있는 이성에 대한 강조만으로는 나름대로 매우 합리적이고 주지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기술시대의 전반적 경향에 대항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기술시대에 가장 결여되어 있는 것은 인간의 감성이다. 그리고 기술시대의 윤리학은 여기에 호소해야만 하나의 설득력 있는 윤리적 대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감성에 바탕을 두면서 동시에 기술시대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간의 능력은 사랑이다. 따라서 기술시대에 대한 하나의 효과적인 윤리적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사랑의 윤리학이다.그러면 기술시대에 적합한 사랑의 윤리학의 모델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여기서 본 글이 고려 대상으로 삼은 철학자는 후설, 하이데거, 프롬이다. 세 사람 모두 기술시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나름대로의 사랑론을 전개했다는 공통적 배경을 지닌다. 그러나 후설의 사랑론은 지나치게 이념적이고 추상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하이데거의 사랑론은 구체성과 현실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후설에 비해 발전적이나 소극적이고 비의지적이라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프롬의 사랑론은 양자의 단점이 비판적으로 극복된 것으로서 타자와의 결합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적 열망에 바탕을 두고 개인적 관념적 사랑이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프롬의 사랑론은 기술시대에서 황폐화되고 있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 있는 대안으로 적절하다. 기술시대의 사랑의 윤리학은 이러한 프롬식의 사랑론에 바탕을 둘 경우 타당한 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 N2 - What characterizes the modern age of technology is the uniform domination of humans by technology. In this context, humans are forced to live as slaves to technology and conform to the technological system. In this way, human beings are separated from their nature and live in an alienated state. What form of ethics will be needed to overcome the technological age that causes human alienation? The emphasis on reason, on which traditional ethics is based, is not convincing enough to oppose the general trend of the technological age, which is very rational and intellectualistic in its own way. What is most lacking in the age of technology is human sensibility. And the ethics of the technological age can only be accepted as a persuasive ethical alternative only by appealing to it. However, at the same time based on human sensibility, the most needed human ability in the age of technology is love. Therefore, it is the ethics of love that can be an effective ethical alternative to the age of technology. Then, where can we find a model of ethics of love suitable for the age of technology? The philosophers considered in this article are Husserl, Heidegger, and Fromm. All three have a common background in that they developed their own theory of love based on critical perceptions of the technological age. However, Husserl's theory of love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too ideological and abstract. In addition, Heidegger's theory of love is more advanced than Husserl in that it contains concreteness and reality, but it is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passive and unwilling. Fromm's love theor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love as a social phenomenon, not as a personal ideal love, based on the natural aspiration of human beings toward bonding with others as critically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both. Therefore, Fromm's theory of love is appropriate as a concrete and realistic alternative for restoring humanity, which is being ravaged in the age of technology. The ethics of love in the technological age can be established as a valid theory if it is based on Fromm's theory of love. [Google translator, 11/2022] Y1 - 2004 ER - TY - JOUR A1 - Shim, Soo_Myung T1 -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 성숙한 인격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aturity in Personality in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JF - 성경과신학 [Bible and Theology], Vol. 68 (2013), pp. 83-113. N2 - 상담자는 내담자의 역기능을 탐색하여 내담자의 내적 요인인 핵심 인격을 올바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자이다. 상담이 내담자의 인격 변 화를 목표로 한다면 상담자는 바람직하고 성숙한 인격이 무엇인지 알고 있 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성숙한 인격은 어떤 특성이어야 하는 지 연구하기 위해 성경적 관점에서의 인격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 반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정신분석이론, 사회심리학, 그리고 성장상담학적 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으로는 몽고메리와 쉐릴, 그리고 심수명의 견해를 중심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인간은 이 땅에서는 은혜입은 죄인이기에 온전한 인격성숙에 도달 할 수 없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성숙한 사람은 십자가의 은혜와 하나님을 의지함이 없이는 한 순간도 살아갈 수 없음을 아는 자이다. 둘째, 성숙한 사람은 아가페 사랑을 근거로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는 자이다. 셋째, 성숙한사람은영성을중심으로지, 정, 의등전인의통합을추구하는 자이다.넷째, 성숙한 사람은 영적인 성숙을 바탕으로 가면적, 내면적, 관계적 인격이 조화롭게 균형 잡힌 자이다. 다섯째, 성숙한 사람은 신적 자존감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자이다.여섯째, 성숙한 사람은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미래에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이다.일곱째, 성숙한 사람은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며 현실 상황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이다.여덟째, 성숙한 사람은 성경에 근거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것을 최고 의 목표로 삼는 자이다. 위의 연구 결과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세우기 위한 과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N2 - Counselors must make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dysfunction of counselee’s and make their core personality healthy. If the purpose of counseling is the change of the personality of the counselee, the counselor must know what is right personality or what constitutes a mature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mature personality attributes on the Biblical perspective and general psychological concept. The general psychological concept is on the basis of Gordon Allport, Carl Rogers, Abraham Maslow and Erich Fromm’s theory. Biblical mature personality is on the ideas of Dan Montgomery, Lewis J. Sherrill, and Sim Soomyung to investigate personality traits of mature character of Christians. This study integrates the writer’s clinical and academic experience with mature personality to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mature person has a understanding without the grace of God, he can not live one moment. Second, they love others and self on the basis of the agape. Third, they are seeking the integration of whole person centered with spirituality and the knowledge, emotion, etc. Fourth, they have harmonies with persona, inner and outer character on the basis of spiritual maturity. Fifth, they respect self and others with the divine dignity from the God. Sixth, they can evaluate their past and present and have plans for their future with clear objectives. Seventh, they have a flexible and open mind allowing them to comprehend the reality around them. Eighth, their biggest goal is to follow God’s will on the Bible.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raise mature Christians. Y1 - 2013 ER - TY - JOUR A1 - Han, Hyong-Jo T1 - 기氣의 자연과 인간 – 주자학의 미분화적 교호적 사고 논구 [Man and Nature in the Way of Qi – A Study of Zhu Xi’s Undifferentiated and Correlational Thinking] JF - 다산학 [Journal of TASAN Studies], No. 14 (2009), pp. 111-140. N2 - 이 논문은 주자학의 근본적 곤혹 하나를 파고든 시도이다. 이제까지의 접근과는 달리 혹시 자연과 인간의 엄밀한 이분법 자체가 역사적 산물이 아닐까 하고 접근한다. 세계는 하나이지만 세계관은 여럿이다. 인간은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는 수많은 방식을 갖고 있기에, 누구도 독점적 정당성을 고집할 수 없다. 다룰 논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인간과 자연의 상관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자연과 윤리의 미분화이다. 1) 자연의 의인화와 자연-인간동형론의 연원은 오래되었다. 주자학은 기氣의 풀 속에서 인간과 자연은 물리적으로 교환되고 있다고 말한다. 인식론적으로 사태는 주관을 통해서만 알려지며, 그런 점에서 사실과 가치 사이에 엄밀한 선을 그을 수 없다는 것을 참고하자고 했다. 2) 자연과 도덕의 엄밀한 구분은 인간 본성의 불신에 기반하고 있다. 과연 윤리는 자연성의 억압 혹은 극복에서 자라는가. 도덕을 자연적 본성의 확인과 그 실현이라고 생각한 동서의 현자들이 많다. 그들은 주자가 이理를 사물의 질서이자 도덕적 지향으로 읽는 데 거부감을 갖지 않을 것이다. 보통은 납득하기 어렵다. 자신의 본성에 대해 무지하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N2 - This paper is a bold and unconventional apology of one of the fundamental confusions in the main idea of Zhu Xi, which has been criticized by almost all scholars, past and present. The bipolar li-qi framework as adopted by Zhu Xi describes natural order and moral selection as on par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morality is the >manifestation< of the natural process. I approach this issue with some skepticism: Did not the relative perspective of the strict dichotomy between Man and Nature form historically? There are many ways in which Man understands himself and his environment, and two things are at issue here: undifferentiated Man and Nature, and undifferentiated Nature and Morality. 1) Correlation of Man and Nature: Nature is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Man, and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tiation between Nature and Man. Zhu Xi’s thinking through qi advocates that Man obtains life from the reservoir of qi, Man’s life is preserved through qi and, ultimately, Man returns to qi. >It (qi) is the master, and I am a guest<. Qi’s the result of pluralistic, multi-level dualism, and as such, Man is not an exception in this framework. >Nature is within Man, and Man is within Nature.< 2) Furthermore, thinking through qi claims that Man is provided with the ability to do good as prepared by Nature and with the Way to realize it. In other words, morality is considered to be the verification of Nature and its achievement. Differentiation of fact and >oughtness< is an unconscious practice of reading Morality as resistance against, or conquering the natural tendency of, self-centeredness. Ancient sages prior to modern individualism agreed with such thought. In the case of Asia, this is precisely why D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define the Way of Man as the discovery of Nature and its realization. If Morality emerges from within Nature, then it is natural for Zhu Xi to understand li as the principle of things as well as the Moral ideal. Of course, self-reflection and pilgrimage of the Way must be experienced in order to obtain agreement. Erich Fromm’s social psychological findings support Zhu Xi’s thought. Man’s instincts are not limited to animal impulses, but rather, they are sympathetic and self-sacrificing. Man’s happiness depends on the realization of this >human nature<. Y1 - 2009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