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Suh, Yusuk T1 -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성찰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Crisis of Democracy in Korea] JF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50, No. 3 (2008), pp. 1-20. N2 - 본고는 근자에 이슈가 되고 있는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반성으로서 다음 네 가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본고는 >한국 민주주의 위기<의 근원을 다름 아닌 <개혁의 실패 내지는 지체>에서 찾고자 한다. 둘째로, 민주주의 위기론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민주세력 무능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여기서는 민주 세력의 중요한 실책으로 >시민적 동의획득의 실패<를 지적하고 그 의미를 탐색해 보겠다. 세 번째로 보수화의 군중심리에 나타나고 있는 >박정희 신드롬<의 위험에 대해서 그리고 참여민주주의의 당위적 과제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결론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진보 세력 일반의 과제로서 >대안적 사회모델의 정립<, >국민적 동의획득의 노력<, >참여와 연대 문화의 확산<을 지적하고 이러한 상황이 철학에 부과하는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N2 - This paper is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crisis of democracy in Korea<. Its investigation consists in the following 4 points. 1) The crisis of democracy in Korea has been caused by the failure or lag of reformation. 2) One of the main failures of >the Roh’s participatory government< exists in the failure to get the consensus from citizen, to obtain the >hegemony< in Gramsci’s sense of the term. 3) >Appeal to the Dictator Park’s leadership<, conscious or unconscious, is one of the social >diseases<, similar with the psychological regression as it already was analyzed by E. Fromm in his Escape from Freedom. 4) Philosophy-engagers should be in charge of enlightening the people for them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nd insight, along with the efforts to help them to gain an insight into a new vision of Korean society. Y1 - 2008 ER - TY - JOUR A1 - Choo, Jung Wan T1 - 프롬의 사랑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romm's Love Theory] JF - 윤리교육연구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No. 48 (2018), pp. 33-58. N2 - 본 논문의 목적은 프롬이 제시한 사랑의 의미와 실천 방법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롬의 사상적 배경과 함께 그가 제시한 사랑론의 이론적 근거, 사랑론을 구성하는 주요 내용 및 프롬이 규정한 사랑의 대상, 그리고 사랑의 실천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행 고등학교 선택 과목인 『생활과 윤리』 교과에서는 ‘성과 사랑의 윤리’를 학습 주제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행 교육과정을 따르는 교과서들에서는 해당 영역에서 프롬의 사랑에 관한 입장을 학습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다루는 프롬의 사랑론에 대한 원전 중심의 종합적인 검토는 교과 내용 및 교수학습 과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N2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 the Fromm's love theory, which suggesting the meaning and practical methods of love. The current high school subject, >Life and Ethics< presents Fromm's love theory in the learning subject of the ethics of sex and love. So some textbooks handles the Fromm's theory. Therefore, specific understanding about the Fromm's theory will be expected to devote to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In this thesis, we will examine the Fromm's theoretical bases, the main idea about love and practical methods of love on his academic backgrounds. Y1 - 2018 ER - TY - JOUR A1 - Kwon, Hyuck-mi T1 - 토니 모리슨의 신앙 여정: 『가장 푸른 눈』과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를 중심으로 [Toni Morrison’s Path of Religion in >The Bluest Eye< and >God Help the Child<]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N2 - 본 논문에서는 토니 모리슨의 첫 번째 소설 『가장 푸른 눈』과 최근 소설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설명하는 두 가지 실존양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작가의 신앙관을 추적하였다. 1970년에 발표된 『가장 푸른 눈』에는 세 명의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인 폴린과 제럴딘 위트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고 피콜라의 정신분열 발생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2015년에 발표된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서 부커의 고모 퀸은 >존재양식의 신앙인<으로 브라이드가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부커와의 사랑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독교 신앙의 주요 속성을 >베푸는 사랑<으로 규정해온 토니 모리슨은 평생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을 질타하고 >존재양식의 신앙인<이 되도록 촉구하며 독자들의 정신적인 성숙을 이끌어온 >존재양식의 신앙인<이다. 작가는 말년의 작품에서 기독교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태아를 향한 축복 기도를 작품의 제목으로 삼을 만큼 신앙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N2 - This paper aims to trace Toni Morrison’s religious dimensio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s in her first novel and her latest novel based on Erich Fromm’s two modes of existence in >To Have or To Be<. In >The Bluest Eye<, her first novel, >the Having Mode< of religion characterizes three African-American characters, Pauline, Geraldine, and Elihue who exploit others and bring about the ruin of the protagonist Pecola, a young black girl. In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Queen is characterized by >the being mode< of religion. She plays a crucial role in helping Bride find her true identity and recover her love with Booker. Morrison who has understood the Christian religion as that of a gene< of religion. As depicted in her rendering of Queen, Morrison, who also has >the Being Mode< of religion, reveals optimistic faith in Christians to the point of ending her work with a player of blessing over the newborn as the title of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implies. Y1 - 2018 ER - TY - JOUR A1 - Moon, Sunghoon T1 - 태극기 군중의 탄생에 대한 사회 병리학적 탐구 [A Social-pathological Research of the Birth of Taegeukgi Crowd] JF - 사회와 철학 제 [Social Philosophy] No. 36 (2018), pp. 1-30. N2 - 본 논문의 목적은 에리히 프롬이 분석한 근대화의 역설을 모델로 삼아, 박근혜 탄핵 반대집회에서 모습을 드러낸 ‘태극기 군중’의 유래와 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첫째, 본 논문은 근대화의 역설에 대한 에리히 프롬의 분석을 통해 정치지도자에 대한 맹신이 등장하는 이유를 근대인의 심리적 구조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에리히 프롬의 분석을 모델로 삼아 태극기 군중의 역사적 기원을 1970년대에 ‘조국근대화’를 추진한 박정희의 지지층으로 보면서, 이들의 탄생이 근대화의 역설적 결과임을 보여줄 것이다. 셋째, 본 논문은 박정희 지지층 일부가 박근혜 등장 이후 태극기 군중으로 부활하게 된 것을 프로이트의 ‘가족로망스’와 ‘멜랑콜리’ 개념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태극기 군중의 등장을 사회 병리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질병’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지적할 것이다. N2 - In this paper, I will perform three tasks to reveal the identity and origins of the Taegeukgi Crowds, which appeared in the demonstration against the impeachment of Park Geun-Hye in 2017. First, I will explain why the crowd blindly trust the political leader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the individual caused by modernization, which Erich Fromm depicts (1), and secondly, I will find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Taegeukgi Crowd in the political supporters of Park Chung-Hee who promoted in the 1970s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and I will argue that the supporters is a paradoxical outcome of modernization (2). Third, I will explain based on Freud’s concept of family romance and melancholy that Park Chung-Hee’s supporters are revived as the Taegeukgi Crowd after the appearance of Park Geun-Hye (3). Finally, I will consider the emergence of Taegeukgi Crowd as a social pathological phenomenon, and I will point out what kind of social effort is needed to overcome it. Y1 - 2018 ER - TY - JOUR A1 - Ahn, Joon-Suk T1 - 카를로스 히메네즈의>House and Studio<에 보이는 생장성(生長性)의 지역적 의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Growth in Carlos Jiménez's >House and Studi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ol. 14, No. 2, (2012), pp. 11-18. N2 - Carlos Jimenez’s >House and Studio< was self-designed to fully function as both a home and workplace.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3, the installation has been continuously updated for almost 30 years solely under the guidance of the owner’s life occurrences and routine needs. The additions and alterations succeeding the building’s erection were executed to incorporate small yet symbolic fragments of the resident’s memories and life episodes. The particularity of the >House and Studio< can be compared with other residential remodeling and expansion projects in regards to certain key aspects. These means of comparis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uilding strictly under the direction of a master plan of development vs. allowing natural adaptations that comply with the resident’s needs, rapid development vs. gradual advancement, the ornamenting by exposing showy features vs. the enhancing by addition of modest natural components, sustainability vs. sustenance, systematic room divisions vs. ambiguous spatial organization, possession as a materialized asset vs. preservation as a recollection of memories, and finally the recognition as one example of signature architecture vs. the witnessing of a maturing animated shelter. The given propositions can be further explained with the comprehension of Erich Fromm’s theory of the >Having< mode and >Being< mode, two mechanisms that categorize the essence of human life. The >Having< mode is described by the human greed for wealth, power, and influence, whereas the >Being< mode is comprised of compassion, joy, and productivity. Fromm’s thesis applies to the general sense of human life, but the ideas can be narrowed to accommodate the architectural standpoint. In architecture, the >Having< mode can be translated to be the conspicuous form-oriented and self-contained object. The ‘Being’ mode, on the other hand, is transposed as the more natural form, incorporating the needs of the owner before commercialization. The growth of Jimenez’s >House and Studio< can be perceived as an architectural suggestion to the overcoming of human indifference caused by fixation on the >Having< mode. Y1 - 2012 ER - TY - JOUR A1 - Min, Yoon Young A1 - Chang, Haram T1 -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 목적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정신분석학적 고찰 [Legal Psychoanalytical Considerations on the Genetic Enhancement of Human Life before Birth] JF - 법학논총 [Dankook Law Review], Vol. 42, No.4 (2018), pp. 95-132. N2 - 이 글은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에 관한 현재의 담론이 도덕적 현기증에 빠져있다는 샌델의 지적에 공감하며, 이 문제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을 시도하여 도덕적 현기증을 극복한 법규범의 확립을 위한 토대를 놓는 것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출생이전 인간생명의 증강 목적 유전자 편집 문제와 관련하여 크게 두 가지 입장이 있는데, 하나는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을 찬성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이고 다른 하나는 반대하는 생명보수주의이다. 이 글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주장의 중요한 오류들을 비판하고, 생명보수주의자들의 논증은 보완하고 강화한다. 각 장의 중심 주제를 간략히 밝히자면, 제II장에서는 부모의 자녀를 위한 >합리적 선택<이 무의식을 고려한다면 허무한 신화일 수 있기에, 불가역적 변화인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을 부모의 선택에 맡기는 것이 크게 위험할 수 있음을 밝히는데 주안점을 둘 것이고, 제III장은 >완벽<을 향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욕망의 파괴적 위험성을, 제IV장은 출생 이전 인간생명에 대한 유전자 편집의 욕망이 생명을 존중하는 바이오필리아적인 것이 아니라 통제를 갈구하는 네크로필리아적인 것임을 다룰 것이다. 제II장은 프로이트와 현대의 역동심리치료 이론들이, 제III장은 융의 분석심리학이, 제IV장은 프롬의 정신분석학이 중심적인 이론적 틀이 되며, 생명보수주의자로는 샌델과 하버마스가, 트랜스휴머니스트로는 보스트롬과 사블레스쿠가 주로 고찰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균형 있는 관점을 가진 바이오필리아적 법의 확립을 위한 기초적 토대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N2 - In >The Case against Perfection<, Sandel argues that we are experiencing moral vertigo as genetics move faster than our moral understanding. In that same vein, this paper aims to import the language of psychoanalysis to help clear the moral confusion induced by the technologies of gene-editing. The reason why this paper claims psychoanalytic vocabulary would be useful is that it believes there are unconscious desires intertwined with genetics. The moral unease can only be correctly understood if and when we consider these unconscious desires. This paper focuses on arguments from both sides of transhumanism and bio-conservatism. It further tries to provide support from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in favor of the bio-conservatives' claims. The paper's main aim is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laws and regulations that concern the area of genetic enhancement of human life before birth. If successful, it will provide a more balanced insight into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aspects of human beings which will better equip our moral and legal vocabulary. Theories from Freud, Jung and Fromm are used in this argument with specific focuses on the issues of human irrationality, psychological dangers of the pursuit of perfection, and the desire to control. Y1 - 2018 ER - TY - JOUR A1 - Lee, Moon_Jung T1 -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 [The Ambivalence and Religiosity of Human Beings Represented in Uram Choe’s Kinetic Sculptur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2, No. 5 (2021), pp. 307-320. N2 - 최우람은 움직이는 기계생명체를 보여주는 키네틱 조각(kinetic sculpture)을 통해 기계 문명과 인간사회를 고찰한다. 상상력과 기계의 결합으로 탄생한, 유기체 같은 정교한 움직임의 기계생명체들은 과학기술의 전개와 발전을 보여주는 동시에 기계생명체가 인간과 자연스럽게 공존할지도 모르는 미래에대한 작가적 상상을 담아낸다. 이와 같은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이 전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인간의 본질에 관한 고찰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인간 존재에 관한 탐구와 관련해 양가성과 종교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한이론적 바탕으로 삶과 죽음을 다룬 철학적 논의들, 바니타스(Vanitas)의 개념, 종교에 관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이론과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의 기술종교(techno-religion) 등을 다루었다. 우선 양가성과 관련해서는 지배자와 공유자, 삶과 죽음에 초점을 맞췄다. 최우람의 기계생명체는 마치 신처럼 생명을 창조하고 지배하려는 인간의 도전을 은유하며, 인본주의와 문명의 발전을 근거로 위계질서를 정당화했던 역사에 대한 자기반성이다. 또한 모든 생명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절대적 부재인 죽음을 통해 인간의 존재 원리를 숙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종교성의 경우 최우람이 창안한시간 신과 네트워크의 신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최우람은 인간의 지향체계이자 헌신의 대상인종교를 다룸으로써 인간의 욕망뿐 아니라 과학기술 시대를 반영하는 종교와 신앙의 변화를 숙고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최우람의 작품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을 살펴보는 본 연구를통해 역사적으로 미술의 주된 주제였던 인간에 관한 탐구가 동시대 미술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N2 - Uram Choe examines the mechanical civilization and human society through kinetic sculptures that show moving machine life(Anima Machine). Created by a combination of imagination and machine with sophisticated movements like an organism, machine life forms show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capture the artist’s exploration of the future where the machine life forms may naturally coexist with humans. The most important message conveyed by Choe’s kinetic sculptures is the examination of the human nature. This study thus focuses on the topic of ambivalence and religiosity in relations to the exploration of human existence,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Choe’s kinetic sculptur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philosophical issues dealing with life and death, the concept of Vanitas, Erich Fromm’s theory about religion, Yuval Noah Harari’s techno-religion, and the like were covered. First, in terms of ambivalence, the focus was on two aspects, one is about the ruler and the sharer, the other is about life and death. Choe’s Anima Machine is a metaphor for the challenge of humans to create and rule over all life forms as if they were gods and is a self-reflection regarding history that has justified hierarchy based on humanism and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t also contemplates on the principles of human existence through death, an absolute absence of what exists in all life. As for the religiosity, his analysis is centered around the God of Time and the God of Network for which he created. Through religion, the center of human orientation and the object of devotion, Choe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not only on the human desire but also techno-religion in reflection of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examining the ambivalence and religiosity of human existence in Uram Choe’s work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xploration of human beings, which has historically been the main subject of art, is represented in contemporary art. Y1 - 2021 ER - TY - JOUR A1 - Han, Sun-Young T1 - 집단상담에서의 힘의 변형 연구 – 권위적인 힘으로부터 상호적인 힘으로의 변형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ower in Group Counseling – Transformation from Authoritarian Power to Reciprocal Power] JF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No. 123 (2022), pp. 301-336. N2 - 본 연구의 목적은 힘의 변형 관점에서 집단상담 이론을 재이론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폭력성이 집단상담 과정을 통해 변형된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집단상담이 힘의 변형 자원이 있음을 논증하고, 힘의 변형 관점에서 권위주의가 뿌리 깊은 한국의 목회 영역에 유의미한 실천적 적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힘은 관계의 맥락 안에서 권위적인지, 혹은 상호적인지 정의되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힘의 변형이란, 대인관계과정에서 권위적인 힘이 상호적인 힘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진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의 이론과 과정을 힘의 변형 관점에서 다시 구조화했다는 점에서 그 주요한 성과가 있다. 또한 집단상담의 힘의 변형 자원을 신학적으로 조명하여 오늘날 한국교회의 리더십 유형과 공동체의 관계성 유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N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eorize the group counseling theory from a perspective of power transformation, and to analyze cases in which adolescent violence is transformed through the group counseling proces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demonstrate that group counseling has a transformative resource of power. The researcher also attempted to seek a meaningful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pastoral field in Korea, where authoritarianism is deeply root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ing power. Power can be defined as authoritative or reciprocal within the context of a relationship. The transformation of power in this study means that the authoritative power is transformed into a reciprocal power in the interpersonal process.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is study has a major achievement in that it restructured the theory and process of group counseling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transform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is research explores the leadership style of the Korean church today and the relationship style of the community by theologically illuminating the transforming resources of the power of group counseling. Y1 - 2022 ER - TY - JOUR A1 - Kwon, Oh-yong T1 - 증오의 생산, 대상, 정당화 – 프롬, 짐멜, 아도르노를 중심으로 [Production, Reproduction, Legitimation of Hatred: Focusing on Fromm, Simmel and Adorno] JF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58 (2020), pp. 409-450. N2 - 이 연구는 개인과 전체사회 간의 변증법적 연관에 주목하여 개인적 증오가 사회적으로 발현되고 재생산되는 과정과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증오에 대한 효과적 대응양식을 프롬과 짐멜, 아도르노의 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프롬이 제시한 성격에 의한 증오 개념을 통해 개인적인 감정이지만 사회적으로 조건지어진 생활경험에 의해 생성되는 증오의 사회적 성격을 확인하였다. 또한 짐멜의 이방인 개념을 통해 친밀감과 거리감의 동시성이 이방인의 특성이며, 민족적으로 동일한 집단 속에서도 특정 집단이 이방인으로 지목되어 증오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증오를 정당화하는 편견과 이를 사회적-정치적으로 동원하는 선전선동에 대한 아도르노의 연구를 통해 편견이 민주사회의 가치를 거부하는 권위주의적 인성을 가진 사람의 소망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을 밝히고, 편견을 동원하는 선전선동의 기술과 작동방식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편견과 그 동원의 사회적 조건 탐구와 편견과 박해의 현실적 결과를 알려 사람들을 설득하는 지성적 대항수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증오가 복잡한 이해관계와 사회심리학적 연관 속에서 단번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임을 지적하였으며, 꾸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증오에 대응할 것을 제안한다. N2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forms of (re)production of social hatred focused on dialectical processe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hole society. Through Fromm's concept of character conditioned hatred, generated by socially conditioned life experiences, was clarified that hatred as a personal emotion has also his social character. In Simmel's concept of strangers who are members of the same society, but not internally assimilated, exist a tendency that makes the stranger an object of social hatred because of his synchronicity of intimacy and distance. Therefore a social group can be a stranger, even if they are ethnically the same as the insider in society. The study of Critical Theory about authoritarian personality reveals that prejudice justifies the hatred toward strangers. It is solidified in a way that reinforces the psychological desire of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that rejects the values of a democratic society. By examination of technique and operation form of propaganda as a socio-political mobilization of hatred, was suggested the necessity of an intelligent countermeasure to persuade people by showing the realistic consequences of prejudice and persecution along with exploring the social conditions of prejudice and its mobilization. The social hatred is a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at once because it is in a complex of interest and social psychological connection. Constant analysis and critique of the social hatred could be a beginning of an attempt to overcome >defeatist attitude< about social hatred. Y1 - 2020 ER - TY - JOUR A1 - Kim, Hwang Gee T1 -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Art as the Grounds of the Lived Experience of Being] JF - 미술교육논총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Vol. 21, No. 3 (2007), pp. 1-22. N2 - 존재란 소유하거나 소유하려고 탐하지 않고 기쁨에 차서 자신의 능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고 세계와 하나가 되는, 그런 실존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교육은 미술을 통해서 가능한데 그 이유는 미술이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물음의 내적 과정이고, 존재론적 한계상황과 이를 극복하려는 성찰적 과정이 미술적 과정이고 이것은 자신의 경험일반에 자리하지 않기에 초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미술교육은 다양한 앎의 방식을 제공하고, 통합을 추구하고, 열정을 경험하고, 자신을 발견하고, 내재적이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도 가진다. 그런 점에서 미술교육이 지식의 습득 정도 보다는 미술활동을 통한 의미체험이나 인간의 성장과 완성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열림은 우리 아이들로 하여금 전환적 계기를 맞이하고 자신의 존재와 마주하게 하는 것이다. N2 - Becoming true artist is discovering the meaning to himself/herself and writing unique little narratives about it. According to Fromm(1976), >by being referred to the mode of existence in which one neither has anything nor craves to have something, but is joyous, employs one's faculties productively, is oned to the world< (18-19). In the mode of being, knowledge is nothing but the penetrating activity of thought. In this mode, one experiences oneself as the subject of one's activity. However, in the mode of having, what is restricted is free, spontaneous experience of the children's and the adolescents' will, their thirst for knowledge and truth, their wish for affection. The growing person is focused to give up most of his or her autonomous, genuine desires and interest, and his or her will, and to adopt a will and desires and feelings that are not autonomous but superimposed by the social patterns of thought and feeling. If the pressure and the boredom are removed and material is presented in an alive way, remarkable activity and initiatives are mobilized. Therefore, busyness, example, art activity separated from students's spiritual ground is not the knowledge and not to having meaning. Y1 - 2007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