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1 - Yi, Hyun Oak A1 - Kim, Man Eui T1 - 인간의 공격성과 스포츠 [Sport and Human Aggression] JF - 학술지명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1, No. 4 (2002), pp. 43-52. [Online ISSN 2508-7029] N2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ggression, human`s instinct as the new essence of sport. Through the psychological approach it could be found that the aggression which is human instinct is deeply related with the origin of sport. In relation to the instinct of death Freud has proved that there exists the aggression in human mentality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aggression of sport is related with Thanatos, the instinct of death that Freud said. Fromm, a sociopsychologist expanded the concept of Freud`s aggression and divided the aggression in human mentality as the defensive and positive aggression and destructive and malignant aggression and he saw that sport is related with the malignant aggression. I think we have to discard the attitude just to try to adapt the methodical value of sport although the value of sport exists with human instinct. Sport is the only thing to express and purify the aggression and it is expected to play the important role to create the future culture. Y1 - 2002 ER - TY - JOUR A1 - Wehr, Helmut T1 - Biophile Alternativen in der Weiterentwicklung der Schule (Korean) JF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ä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41-168. Y1 - 2003 ER - TY - JOUR A1 - Wang, Ting-Ting A1 - Lee, Jong Han T1 - 영화 >체르노빌 다이어리< 중 체르노빌 공간의 권력구조 연구 [A Study of Chernobyl’s Spatial Power Structure in the Film Named >Chernobyl Diary<]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애니메이션연구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 Vol. 17, No. 21 (2021), 141-166. N2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생명안전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대, 특히 코로나19의 배경 아래에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재난의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은 미룰 수 없는 임무이다. 체르노빌 원전폭발은 이미 역사로 남았지만 그것이 남긴 문제는 아직도 적절하게 해결되지 않았다. >체르노빌<이라는 이 금기된공간을 어떻게 적절하게 처리할지는 현대사회의 문제 중 하나이다. 본문은 브래들리 파커(Bradley Parker) 감독의 <체르노빌 다이어리>(2012)를 사례로 현대에서 체르노빌의 공간적 표현을 고찰한다. 이 영화는 자극을추구하는 여행객들이 금지구역인 체르노빌로 진입하면서 겪는 끔찍한 상황을 그렸으며, 영화에서 나타난 체르노빌은 실제 체르노빌의 공간 상태와 부합한다. 영화에서 묘사한 체르노빌은 무인구역, 소비구역, 정치권력 규제구역 세 공간이 혼합된 장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공간이 작동하는 메커니즘과 상호 관계를 탐구하여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이 말한 건전한 사람과 건전한 사회의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체르노빌은 무인구역, 소비구역, 정치권력 규제구역 세 공간이 혼합되어 서로를 제약한다. 체르노빌이라는 이 공간에서 국가는 주도적위치를 차지하며, 무인구역과 소비구역의 운영 배후에는 국가의 정치권력이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다. 원전폭발로 인해 체르노빌은 정치당국에 의해 >예외상태<로 운영되면서, 이 운영 체제 하에서 국가법, 인권, 도덕윤리 등문명사회의 체제와 규범이 사라지게 되었고, 이 공간에 들어온 개인의 생명은 순식간에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이 말한 >벌거벗은 생명<으로 전락해 타인에 의해 생존권을 박탈당했다. 따라서 >건전한 사회<를 만들어 >건전한 개인의 생명<을 살리는 길을 고민하는 것은 매우 절실하다. N2 - In the contemporary era when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caused many life safety issue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new crown pneumonia (Coronavirus 19) epidemic, it is the unshirkable responsibility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to learn from historical experience and make every effort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disasters. Although the Chernobyl nuclear disaster has become history, the problems left over from history are far from being properly resolved. How to properly handle the taboo space of >Chernobyl< is one of the leftover problems of disasters facing contemporary society. This article takes Bradley Parker’s thriller >Chernobyl: A Record of Ghost Towns< (2012, Chernobyl Diaries) as an example to examine the contemporary spatial presentation of Chernobyl. The film tells the horror experience of a group of tourists seeking excitement after entering the exclusion zone Chernobyl. The Chernobyl presented in the film fits well with the contemporary real-life Chernobyl space. The Chernobyl constructed by the film is a mixed field of no man’s land, consumer space, and political power discipline space. The author tries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their respective oper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 believe that from Erich Fromm) the sound man and the construction of a sound society in the mouth contribute a little. Chernobyl is a mixed and mutually restricted field of no-man’s land, consumption area, and political power discipline area; State political power occupies a dominant position in the Chernobyl space. Behind the operation of no-man’s land and consumer zone is the default and permission of state political power to a certain extent. Due to the nuclear disaster, Chernobyl was operated in an >exceptional state< by the political management department. Under this operating mechanism, civilized social systems and norms such as national laws, human rights, morals and ethics have disappeared. Individual lives instantly become what Agamben calls >bare life<, and they can be deprived of the right to survive by anyone else. Therefore, we urgently need to think about the path of constructing a >sound society< and then cultivating a >sound individual life<. Y1 - 2021 ER - TY - JOUR A1 - Suh, Yusuk T1 -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성찰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Crisis of Democracy in Korea] JF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50, No. 3 (2008), pp. 1-20. N2 - 본고는 근자에 이슈가 되고 있는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반성으로서 다음 네 가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본고는 >한국 민주주의 위기<의 근원을 다름 아닌 <개혁의 실패 내지는 지체>에서 찾고자 한다. 둘째로, 민주주의 위기론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민주세력 무능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여기서는 민주 세력의 중요한 실책으로 >시민적 동의획득의 실패<를 지적하고 그 의미를 탐색해 보겠다. 세 번째로 보수화의 군중심리에 나타나고 있는 >박정희 신드롬<의 위험에 대해서 그리고 참여민주주의의 당위적 과제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결론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진보 세력 일반의 과제로서 >대안적 사회모델의 정립<, >국민적 동의획득의 노력<, >참여와 연대 문화의 확산<을 지적하고 이러한 상황이 철학에 부과하는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N2 - This paper is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crisis of democracy in Korea<. Its investigation consists in the following 4 points. 1) The crisis of democracy in Korea has been caused by the failure or lag of reformation. 2) One of the main failures of >the Roh’s participatory government< exists in the failure to get the consensus from citizen, to obtain the >hegemony< in Gramsci’s sense of the term. 3) >Appeal to the Dictator Park’s leadership<, conscious or unconscious, is one of the social >diseases<, similar with the psychological regression as it already was analyzed by E. Fromm in his Escape from Freedom. 4) Philosophy-engagers should be in charge of enlightening the people for them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nd insight, along with the efforts to help them to gain an insight into a new vision of Korean society. Y1 - 2008 ER - TY - JOUR A1 - Song, Jihyun T1 - [E.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고찰] A Study on E. Fromm's Escape from Freedom JF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38, No. 3 (2005), pp 209-237 N2 - 우리는 외부 권력으로부터의 자유, 즉 소극적 자유의 신장에 매혹되어, 자유와 그것의 전통적인 적들에게 대항해 얻은 승리의 의미를 훼손할 수 있는 내적인 억압, 강제, 두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는 자유의 문제란 오로지 근대사의 과정에서 얻은 소극적 자유를 훨씬 더 많이 얻는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리고 그런 자유를 부정하는 힘들에 대항해서 자유를 지키는 것이 필요한 전부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이제까지 쟁취한 자유 모두가 최대의 힘으로 지켜져야 하지만, 자유의 문제는 양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질적인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잊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전통적인 자유를 지키고 늘려가야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류의 자유, 즉 우리 자신의 개인적인 자아를 실현하고 이 자아와 삶을 믿을 수 있게 해주는 자유도 획득해야만 한다는 것을 잊고 있다. 따라서 나는 소극적 자유의 실현뿐만 아니라 적극적 자유(개인적 자아실현)의 실현을 위해, 프롬(Fromm, E.)이 분석한 자유로부터의 도피심리와 사회현상을 살펴보고, 프롬이 말한 >적극적 자유<의 의미는 무엇이며, 또한 적극적 자유의 개념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벌린(I. Berlin)의 >자유의 두 개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현대인들이 왜 그렇게 신흥종교에 매료(자유로부터의 도피 수단)되는지를 분석한 앨빈 토플러(Albin Toffler)의 생각도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보다 나은 자유 민주주의 시민을 형성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N2 - We are fascinated by the growth of freedom from powers outside ourselves and are blinded to the fact of inner restraints, compulsions, and fears, which tend to underline the meaning of the victories freedom has won against its traditional enemies. We therefore are prone to think that the problem of freedom is exclusively that of gaining still more freedom of kind we have gained in the course of modern history, and to believe that the defense of freedom against such powers that deny such freedom is all that is necessary. We forget that, although each of the liberties which have been won must be defended with utmost vigor, the problem of freedom is not only a quantitative one, but a qualitative one; that we not only have to preserve and increase the traditional freedom, but that we have to gain a new kind of freedom, one which enables us to realize our own individual self, to have faith in this self and in life. Therefore I want to research the mental tendency of the escape from freedom and social phenomenon analyzed by Erich Fromm and see if there are some problems of the meaning of positive freedom in order to realize not only negative freedom but also positive freedom (self-actualization). For this purpose I want to look into Berlin's thought of >the two conceptions of freedom<. In addition, I'd like to take into consideration Alvin Toffler's thoughts which analyzed the reason why modern citizens are interested in the newly-risen religion. I believe that these researches would be helpful to the formation of much better citizens of free democracy. Y1 - 2005 ER - TY - JOUR A1 - Song, Jai-ryong T1 - 정신분석학적 종교이해의 가능성과 한계: 에리히 프롬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Religion: Focusing on Erich Fromm] JF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20 (2002). Y1 - 2002 ER - TY - JOUR A1 - Shin, Minjoon T1 - 새로운 문명의 장력을 향하는 개체적 의지 — 루쉰(魯迅) 초기 잡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Will of Individual in Lu Xun’s Early Essay]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JF - 중국학논총 [Journal of Chinese Studies], No. 71 (2021), pp. 115-140. N2 - 루쉰(魯迅)은 자신의 초기 잡문을 통해 문명이 지닌 인류발전으로서의 과정 및 결과로서의 성격과 함께 문명이 지니는 규범화를 통해 발현되는 야만성 및 그로 인한 인간의 자기예속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루쉰은 이러한 문명의 양가적인 모습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서 새로운 개체적 의지를 찾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인류 사회의 조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바로 루쉰의 문학 창작이 지니는 의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루쉰의 창작은 곧 인간의 윤리성을 바탕으로 하는 개체적 의지와 인류 발전적인 문명의 공존에 대한 모색으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상기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루쉰의 초기 잡문에서 사회를 이루는 기성 문명의 장력 속에서 문명의 폭력적인 야만성을 제거한 새로운 문명의 장력을 찾고자 하는 인간의 개체적 의지와 그 가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루쉰의 초기 잡문 속 문명론을 아도르노(Theodor Wiesengrund Adorno),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 마르쿠제(Herbert Marcuse) 등의 비판이론가들의 문명에 대한 관점 및 그에 대응하는 인간의 태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고찰을 시도한다. N2 - This paper has several purposes. First, it examines the concepts of civilization in Lu Xun’s early essay. Luxun illustrated his perspective that the civilization is not only the process and result of human progress but also drives people into Self-subordination. Second, it seeks the way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in Lu Xun’s early essay. I argue that Luxun believed that people have the ethical power to escape from subordination in society and the creative ability to make a harmonious society. Finally, it seeks to find the means that makes human and civilization coexist together.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I challenge a comparison between Lu Xun’s perspective and Critical Theory that has been made and developed by Frankfurt School which includes Theodor Wiesengrund Adorno, Max Horkheimer, Herbert Marcuse, Erich Fromm, Walter Benjamin, etc. I argue that they have similarities in the perspective on >negative thinking<. For them, >negative< is essential factor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within civilization. They believed that >negative< attitude could lead people out of Self-subordination. Thus, I seek the way to find the new will of individual and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civilization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Lu Xun’s perspective and Critical Theory. Y1 - 2021 ER - TY - JOUR A1 - Shim, Soo_Myung T1 -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 성숙한 인격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aturity in Personality in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JF - 성경과신학 [Bible and Theology], Vol. 68 (2013), pp. 83-113. N2 - 상담자는 내담자의 역기능을 탐색하여 내담자의 내적 요인인 핵심 인격을 올바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자이다. 상담이 내담자의 인격 변 화를 목표로 한다면 상담자는 바람직하고 성숙한 인격이 무엇인지 알고 있 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성숙한 인격은 어떤 특성이어야 하는 지 연구하기 위해 성경적 관점에서의 인격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 반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정신분석이론, 사회심리학, 그리고 성장상담학적 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으로는 몽고메리와 쉐릴, 그리고 심수명의 견해를 중심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인간은 이 땅에서는 은혜입은 죄인이기에 온전한 인격성숙에 도달 할 수 없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성숙한 사람은 십자가의 은혜와 하나님을 의지함이 없이는 한 순간도 살아갈 수 없음을 아는 자이다. 둘째, 성숙한 사람은 아가페 사랑을 근거로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는 자이다. 셋째, 성숙한사람은영성을중심으로지, 정, 의등전인의통합을추구하는 자이다.넷째, 성숙한 사람은 영적인 성숙을 바탕으로 가면적, 내면적, 관계적 인격이 조화롭게 균형 잡힌 자이다. 다섯째, 성숙한 사람은 신적 자존감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자이다.여섯째, 성숙한 사람은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미래에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이다.일곱째, 성숙한 사람은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며 현실 상황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이다.여덟째, 성숙한 사람은 성경에 근거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것을 최고 의 목표로 삼는 자이다. 위의 연구 결과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세우기 위한 과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N2 - Counselors must make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dysfunction of counselee’s and make their core personality healthy. If the purpose of counseling is the change of the personality of the counselee, the counselor must know what is right personality or what constitutes a mature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mature personality attributes on the Biblical perspective and general psychological concept. The general psychological concept is on the basis of Gordon Allport, Carl Rogers, Abraham Maslow and Erich Fromm’s theory. Biblical mature personality is on the ideas of Dan Montgomery, Lewis J. Sherrill, and Sim Soomyung to investigate personality traits of mature character of Christians. This study integrates the writer’s clinical and academic experience with mature personality to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mature person has a understanding without the grace of God, he can not live one moment. Second, they love others and self on the basis of the agape. Third, they are seeking the integration of whole person centered with spirituality and the knowledge, emotion, etc. Fourth, they have harmonies with persona, inner and outer character on the basis of spiritual maturity. Fifth, they respect self and others with the divine dignity from the God. Sixth, they can evaluate their past and present and have plans for their future with clear objectives. Seventh, they have a flexible and open mind allowing them to comprehend the reality around them. Eighth, their biggest goal is to follow God’s will on the Bible.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raise mature Christians. Y1 - 2013 ER - TY - JOUR A1 - Shim, Jae-Myung T1 - 에리히 프롬을 통해 본 여가의 의미 [Meaning of Leisure Implied in Erich Fromm] JF - 관광연구논총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 34, No. 2 (2022), pp. 3-27. N2 - 본 연구는 에리히 프롬의 글을 통해 철학적 관점에서 여가에 대해 탐구하였다. 역사적으로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인간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으며, 그 기반 위에서 인간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해 각자의 개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그러나 그 같은 체험을 하는 사람은 소수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로지 소극적 의미의 자유만을 경험함으로써 자유의 진정한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프롬의 저서들로부터 여가에 시사점을 준다고 판단되는 여덟 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것들은 현대자본주의 사회에 순응한 현대인에게서 어떻게 수동적 여가의 모습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현대사회의 노동은 인간이 능동적 존재가 될 수 없는 영역이며 생존의 필요를 가지는 인간이 노동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여가를 통해 인간이 능동적인 존재가 되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함으로써 개성을 실현하는 것이 여가가 삶에 줄 수 있는 진정한 보상이라는 것이 프롬이 던지는 메시지이다. N2 -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leisure based on Erich Fromm’s thesis of freedom. What we call democratic society has evolved such that people have been increasingly provided with more freedom, socially and politically, and it was expected that people actively would seek out to use that freedom to fulfill their potentials and individuality. But, most people have conformed to the existing social order and failed to achieve active use of it. Examination of a series of Fromm’s books resulted in eight themes, each of which may indicate how this failure took place, which, in turn, give implications in our understanding of leisure. Especially, they help us understand how modern leisure concedes to the norms of capitalist society and comes to only represent passive experiences in life. It is unlikely that people pursue an active existence in work, nor can they live without it. It is leisure therefore where people can exercise freedom, be a master of their own, build their identity, and be what they truly are. [Author's English version] Y1 - 2022 ER - TY - JOUR A1 - Seo, Eun-ju T1 - 냉전의 지식문화 – 1960 &1970년대 소외론을 중심으로 [The Knowledge Culture of Cold War in the 1960s & 1970s Focusing on Discourses of Alienation] JF - 민족문학사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No. 67 (2018), pp. 397-430. N2 - 이 글은 1960∼1970년대 한국의 지식(문화)장에서 실현된 소외의 담론정치를 냉전의 지식문화사라는 계보 속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담론이 파편적이고도, 편의적으로 재단되어 수용되었던 한국 지식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에서 특히 프롬과 마르쿠제의 소외론이 냉전체제 아래에서 비판적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유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크리스찬아카데미의 『대화』를 통해 진보적 기독교 지식인들이 >인간화<라는 주제 아래 소외개념을 변용·확산시키는 과정과, 그들이 소외의 현장과 긴밀하게 접속됨으로써 반체제 인권운동으로 달려가는 상황도 분석한다. 또한 문학 영역의 소외론이 예술의 자율성을 둘러싼 오래된 논쟁으로 진영화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전질서 속에서 산업화를 진행하였던 1960∼1970년대 한국 담론 장에서, 과연 소외론이 >저항담론<으로서 지식사회의 의식적 각성에 기여하였는지, 혹은 궁극적으로 대중사회·산업사회를 절대화하는 >위장된 저항담론<으로 기능하였는지를 가늠해 본다. N2 - This article intends to read the discourse politics of alienation realized in Korea’s knowledge / culture field of 1960s & 1970s in the genealogy of the knowledge / culture history of the Cold War. It examine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Korean knowledge field, where the discourse of the Frankfurt School has been accepted as fragmented and cutting for convenience.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ritical intellectuals appropriated to the alienation theory of Fromm and Marcuse under the Cold War system. In addition, through the Christian Academy’s DAEHWA (Dialogue) it analyzes that progressive Christian intellectuals transformed and spreaded the alienation concept under the theme of >humanization<, and analyz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y committed them-selves to the human rights movements by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the alienated field. In the aspect of the alienation of literature field, it examines the old debate surrounding the autonomy of art. In the Korean discourse of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Cold War era was industrialized through such a process, it became clear that the alienation theory contributed to awakening the conscious of the knowledge society as >Discourse of Resistance<, or to absolutizing Mass society & Industrial society as >Disguised Discourse of Resistance<. Y1 - 2018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