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LiLi, author = {Li, Yuyan and Li, Jia}, title = {>Having< is not >Being<: Fromm's Theory of Alienated Consumption and Its Sublation}, series = {Journal of Inner Mongolia Minzu University (Social Sciences), No. 2 (2022), pp. 75-81.}, journal = {Journal of Inner Mongolia Minzu University (Social Sciences), No. 2 (2022), pp. 75-81.}, abstract = {Fromm divided the value orientation of human beings into two kinds: emphasis on >having< and emphasis on >being<, and distinguished the essence of the two. He pointed out that alienated consumption is a way of existence of emphasis on having, which leads to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s and nature, between people and people as well as individual human beings, so that people are more and more far away from the >being<. He believes that only by changing the value orientation of people can we abandon the alienated consumption and return to the nature of human existence.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consumer society, alienated consumption is also spreading in our country. At this critical time, Fromm's criticism of alienated consump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us to cultivate the correct consumption concept, imple¬ment the correct consumption behavior, and realize the sustainable utilization of resources, social harmony and the all-round development of human beings [Translation: www.cnki.net, 4/2023]}, language = {zh} } @article{Lim, author = {Lim, Chai-Kuang}, title = {소외개념에 대한 프롬과 마르쿠제의 정신분석학적 해명 [Technik und Entfremdung: Eine psychologische Untersuchung nach Fromm und Marcuse]}, series = {동서철학연구 [S.P.E.W -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No. 67 (2013), pp. 385-407.}, journal = {동서철학연구 [S.P.E.W -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No. 67 (2013), pp. 385-407.}, abstract = {프롬과 마르쿠제에 의하면 우리사회의 소외문제가 심각히 대두된 배후에는 기술과 과학의 전체주의적 속성과 자본주의적 산업논리가 기술을 동원하여 인간과 사회를 폭력적으로 지배하는데 그 핵심에 있다고 보았다. 아울러 두 철학자간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1, 사회과학적 방법론과 정신분석학을 접목시키는 학제간 연구를 연구방법론으로 채택, 2, 존재론적 측면에서 현실과 초월적 세계의 2원론적 구조를 취함, 3. 현대 기술사회를 반이성적이고 반생명적으로 봄. 또한 이들은 건전한 사회를 위한 구상 및 전망에 있어서도, 혁명적 인간상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데 그 유사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마르쿠제와 프롬 사이의 이견에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1, >소외< 개념에 있어서 마르쿠제는 일종의 퇴행이자 해결해야하는 사회구조적 병폐로 보고 있는 반면에 프롬은 마르쿠제와 달리 >사회적 병폐로서의 소외<로만 분류하지 않고 >존재론적 문제로서의 소외<로도 이해하고 있다.2, >자연< 개념을 두고 볼 때, 마르쿠제는 자연 낙관주의적 관점을 갖지만 프롬은 인간이 극복해야하는 대상으로서 인간의 삶에 부정적 대상으로 파악한다. 3, 마르쿠제는 >기술<을 원칙적으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단지, 선진 산업사회의 제도적 합리성이 기술의 사용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보았던 것에 반해, 프롬은 기술 자체를 일종의 중립적 대상으로 보고 있다.}, language = {ko} } @misc{Jiarong, author = {Jiarong, Lin}, title = {The Exploration Into the Influence of Social Unconscious on the Individual Through Cyberpunk, Master of Fine Arts in Illustr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Fine Arts in Illustration), Fine Arts, Syracuse University, New York, USA 2021, 22 + 6 pp. [surface.syr.edu/cgi/viewcontent.cgi?article=1583\&context=thesi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abstract =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unconscious on human beings in a future context. In psychoanalyst Erich Fromm's view, the social unconscious refers to Individuals who are afraid of being separated from the society they live in, they often adapt and distort their human need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our social system. However, with the strengthening of personality and self-awareness in our present society, how wil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bconscious and people's self-awareness change in the future? This is the key issue of this thesis. In the first part, by studying the definition of the social unconscious and related works, this thesis tries to understand the root 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social unconscious and how it affects people's behavior and decision-making. In the second part, this thesis makes an in-depth study of Cyberpunk and objective imagery in related works, revealing that Cyberpunk is a projection of the real world, and clues for many problems in the real world can be found in the Cyberpunk world. In the third part, this thesis explores the changes in people's consciousness in the Cyberpunk world. Finally, this thesis concludes people will not be rid of the influence of the social unconscious whether in the real world or the future world. Even as people's self-awareness is constantly enhanced, self-awareness and social unconscious will always exist as contradictory to one another.}, language = {en} } @article{LimPark, author = {Lim, Sungmin and Park, Meegnee}, title = {유행을 따르게 되는 내적 에너지에 대한 연구 - Masochism 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Inner Energy for Following the Fashion Trend - Focusing on Masochism 션에서]}, series = {한국의류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32, No. 3 (2008), pp. 362-372.}, journal = {한국의류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32, No. 3 (2008), pp. 362-372.}, abstract = {The remarkable tendency shown in recent fashion can be the customer's passiveness, not only their feeling desire for product but also needs for product seem to be made by mass media. So this condition can be thought as the currency of energy for being subjected. The public of fashion eagerly want the fashion style to be suggested for following it. The late Freudian, Erich Fromm said that the reason why individuals demand themselves to follow the masses' move could be explained as the hope against the fear of feeling not being from staying isolated and having no direction. Escaping from this fear, individuals ought to believe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in public. The fashion is willing to be defined as the united condition by individuals in the hope being consolidate in masses against being solitude. Nowadays, people can share many information with internet, the fastest medium, which makes the individuals impatient not to be isolate, thinking other people must contact the information and should feel pressure of taking part in the currency. Even though the style is considered to be awkward for following it, it is frequent exposure on mass media by celebrities wearing the style could soon make a fashion. This is able to show that many customers should incline to consider less about their style or taste, whereas lean to pursue after masses' authority. Recent consumers have propensity to avoid feeling concern about others' criticism, on the other side, they try to chase of the fashion as masses' choice for feeling peaceful. The reason why people recognize not to have clothing to wear in spite of a large wardrobe, it must reflect their needs promoted from outside influence of introducing for new styles.}, language = {ko} } @article{Lin, author = {Lin, Jinbo}, title = {Fromm's Discussion and Development of Marx's >Alienation< [弗洛姆对马克思>异化<的探讨与发展]}, series = {Modern Communication [现代交际], No. 22 (2021), pp. 191-193,155.}, journal = {Modern Communication [现代交际], No. 22 (2021), pp. 191-193,155.}, abstract = {弗洛姆作为法兰克福学派的重要成员,在思想上继承法兰克福学派的重要观点,认为批判性是马克思主义的灵魂,而同时,其推崇弗洛伊德的相关学说,也由此具有较为浓厚的人道主义色彩。他在对社会现实的考察当中继承了马克思的一系列思想,特别是在对资本主义社会的批判上,多次采用马克思对于异化的批判,逐步构建自己的理论体系。随着资本主义社会的发展,异化现象开始走出经济领域,迈向了更广阔的空间,弗洛姆也注意到了这一点,从多个角度入手进行了一定的批判。同时,弗洛姆也非常欣赏弗洛伊德,在分析的过程中也融入了弗洛伊德的精神分析学说,提出了社会性格学说。本文将重点分析其对资本主义文化现象的一系列批判,从中汲取一定的宝贵经验。}, language = {zh} } @article{Lin, author = {Lin, Jinbo}, title = {The Self and the Other - From the Perspective of Fromm [自我与他者——从弗洛姆的视角切入]}, series = {Journal of Social Science of Jiamusi University [佳木斯大学社会科学学报], No. 3 (2022), pp. 15-18.}, journal = {Journal of Social Science of Jiamusi University [佳木斯大学社会科学学报], No. 3 (2022), pp. 15-18.}, abstract = {个体自由是自文艺复兴以来不断被探讨的一个问题,传统的人与人的依赖关系逐渐被剥离,个体呈现出了>原子化<的特征,也因此,个体与个体之间的矛盾与冲突逐步加剧。针对这一问题,弗洛姆作为西方马克思主义和弗洛伊德主义的一位结合者,基于他对于人本主义和精神分析心理学的多重分析,从人道化社会的角度阐述了社会对于人的重要作用。而其思想路径也彰显了探索人与社会关系动态平衡的新角度。}, language = {zh} } @article{Liang, author = {Liang, Zhifeng}, title = {Cultivation of Sound Personal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小学生健全人格的培养]}, series =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教育导刊], No. 12 (2007), p. 58.}, journal =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教育导刊], No. 12 (2007), p. 58.}, abstract = {完整的人格是指实现了知、意、情统一的人格。弗洛姆认为,只有把人的情感与智力相结合,才能培养出健全完整的人格。小学生人格是一个复杂、多侧面、多层次的统一体,小学生人格教育的得失关系到他们的身心健康、学习效率以及社会适应能力的发展。因此人格教育必须坚持全面整体、持续统一、个体特色和社会化的原则。}, language = {zh} } @misc{Li, author = {Li, Zhuoyue}, title = {A Study on Southern American Society in >Clock Without Hands< from the Perspective of Fromm's Alienation Theory, Master thesis, World Literature, Xi'an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Xi'an, Shaanxi, China 2022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abstract = {Carson McCullers is an important female writer in the history of American Southern literature, and her works are full of description of Southern society. >Clock Without Hands<, her last novel, describes the Southern people and events in the mid-twentieth century. Most research outcomes focus on characters and mental description in the novel, a few are concerned with its social discourse, but few literary critics probe the alienation and its connection with society and history. This thesis explores the characters' alienation condition in the Sou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lienation theory, which Fromm also emphasizes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social elements, so as to reveal the panorama of Southern American society in >Clock Without Hands<. This thesis concludes that McCullers' description on social alienation and social changes of the novel presents Southern advancement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it provides a new way to understand Southern society in >Clock Without Hands<, with the analysis of its theme of alienation. [Translation: www.cnki.net, 7/2023]}, language = {zh} } @misc{Lichtenberg, author = {Lichtenberg, Philip}, title = {Review Fromm, E.: The Crisis of Psychoanalysis (1970a, English)}, series = {Social Work, Vol. 16, No. 1 (Jan., 1971), pp. 111-112.}, journal = {Social Work, Vol. 16, No. 1 (Jan., 1971), pp. 111-112.}, language = {en} } @article{Mahnkopf, author = {Mahnkopf, Birgit}, title = {>Green Deal< als Pfad {\"o}kologischer Transformation im Kapitaloz{\"a}n?}, series = {Fromm Forum (Deutsche Ausgabe - ISSN 1437-0956), 27 / 2023, Tuebingen (Selbstverlag), pp. 145-161.}, volume = {d27/2023k}, journal = {Fromm Forum (Deutsche Ausgabe - ISSN 1437-0956), 27 / 2023, Tuebingen (Selbstverlag), pp. 145-161.}, language = {de} } @article{Malinowska, author = {Malinowska, Alina}, title = {For Nature with Love: >Fuck for Forest< - An >Unromantic< Perspective [Przyrodzie, z miłością: >Fuck For Forest< - oblicze nieromantyczne] [Pro Natur mit Liebe: >Fuck For Forest< - keine romantische Perspektive]}, abstract = {Celem artykułu jest analiza problem{\´o}w związanych z działalnością na rzecz ochrony środowiska w świetle metod ochrony przyrody związanych z afektywnym podejściem do zagadnień natury. Artykuł omawia zjawisko >Fuck For Forest<, związane z działalnością międzynarodowej organizacji ekologicznej, pozyskującej środki na wspieranie przedsięwzięć pro-ekologicznych za pomocą pornografii. Działalność grupy ujawnia złożoność przedsięwzięć ekologicznych, obnażając problemy związane z wolontariatem, r{\´o}żnicami kulturowymi, kulturową tożsamością oraz kulturowo uwarunkowanym pojęciem natury. Wskazuje na liczne dylematy związane z biofilią, jakie ujawniają się we wsp{\´o}łczesnych formach ochrony środowiska.}, language = {en} } @article{Maliszewski, author = {Maliszewski, Krzysztof}, title = {To not nurture a war - education against violence (Girard - Patočka)}, series = {Studia z Teorii Wychowania, Vol. 14, No. 2 (43) (2023), pp. 357-368. [Online ISSN 2719-4078] [sztw.chat.edu.pl/resources/html/article/details?id=613665]}, journal = {Studia z Teorii Wychowania, Vol. 14, No. 2 (43) (2023), pp. 357-368. [Online ISSN 2719-4078] [sztw.chat.edu.pl/resources/html/article/details?id=613665]}, abstract = {The author is primarily interested in violence in the form of joining Girard's persecution crowd. Thus, the text concerns violence not in the general sense as the use of force to break resistance, nor symbolic violence in the sense of Pierre Bourdieu, but in the sense of human disposition to retaliate and persecution - in other words, violence is analyzed here in terms similar to what Erich Fromm called malignant aggression - the tendency to destroy and gain unlimited control over other people and the world. In the text, the author radicalizes the question about the pedagogical context of violence, treating the tendency to hasty curricular and organizational changes (which often occur after events of escalating violence in schools), as well as the utilitarian search for effective preventive evidence-based measures, as illusions and part of the problem we face with violence. He recognizes that pedagogical reflection must go much deeper. He seeks knowledge about the sources of violence and the cultural formations that foster it in the works of the French anthropologist Ren{\´e} Girard and the Czech philosopher Jan Patočka. The ideas of mimetic rivalry and the 20th century as war can give us insight into the phenomenon of violenc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transformation. The author conducts the analysis in several steps. After a critical introduction to the contemporary reaction of education to violence, he first outlines Girard's concept of the mimetic mechanism, then emphasizes three ideas present in it (with references to the nowadays): violence as an anthropological feature embedded in the human condition, unawareness of one's own violence and unanimity of the persecuting crowd. In the end, these three accents become the basis for the postulate of existential reorientation of education, based on Patočka's concept of forces of the day and the night.}, language = {en} } @article{Malkaf, author = {Malkaf, Aladdin}, title = {The Theory of the Perfect Human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Morteza Motahari and Erich Fromm (Farsi)}, series = {Danesh Pazhoohan - A Scientific Student Journal, Vol. 11, No. 28 (Spring 2013), pp. 111-125.}, journal = {Danesh Pazhoohan - A Scientific Student Journal, Vol. 11, No. 28 (Spring 2013), pp. 111-125.}, language = {mul} } @article{Maiwald, author = {Maiwald, Florian}, title = {The Burden of Freedom: Sartre's Sleep and Fromm's Awakening}, series = {Epoch{\´e} Magazine, Issue \#56, October 2022.}, journal = {Epoch{\´e} Magazine, Issue \#56, October 2022.}, language = {en} } @article{Kwon, author = {Kwon, Hyuck-mi}, title = {토니 모리슨의 신앙 여정: 『가장 푸른 눈』과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를 중심으로 [Toni Morrison's Path of Religion in >The Bluest Eye< and >God Help the Child<]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journal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토니 모리슨의 첫 번째 소설 『가장 푸른 눈』과 최근 소설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설명하는 두 가지 실존양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작가의 신앙관을 추적하였다. 1970년에 발표된 『가장 푸른 눈』에는 세 명의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인 폴린과 제럴딘 위트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고 피콜라의 정신분열 발생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2015년에 발표된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서 부커의 고모 퀸은 >존재양식의 신앙인<으로 브라이드가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부커와의 사랑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독교 신앙의 주요 속성을 >베푸는 사랑<으로 규정해온 토니 모리슨은 평생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을 질타하고 >존재양식의 신앙인<이 되도록 촉구하며 독자들의 정신적인 성숙을 이끌어온 >존재양식의 신앙인<이다. 작가는 말년의 작품에서 기독교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태아를 향한 축복 기도를 작품의 제목으로 삼을 만큼 신앙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won, author = {Kwon, Hyuck-mi}, title = {사랑에서 토니 모리슨의 사랑의 정의 [Toni Morrison's Definition of Love in >Lov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journal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abstract = {사랑에는 성공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업가 빌 코지 가족들의 부정적인 행위들이 난무하여 사랑의 상반되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가족들의 불화의 원인 제공자는 빌 코지이다. 52세의 빌 코지는 11살 히드와 결혼을 하고 이 결혼 이후, 가족들은 고통당한다. 특히 가족들의 싸움에 지쳤다면서, 빌 코지는 전 재산을 내연녀에게 유산으로 남긴다는 유언장을 작성하여 가족 모두를 배반한다. 빌 코지와 그의 가족의 불화한 모습들은 호텔 주방장인 엘의 사랑을 부각한다. 엘은 작품 속 주요 등장인물 중 유일하게 빌 코지에 대응하는 인물이다. 엘은 어머니가 부재한 빌리 보이와 크리스틴을 양육한다. 그녀는 코지 가족들의 심정을 이해하고, 재치 있는 대처로 각종 갈등상황을 해결하고, 누구의 편도 들지 않고 불행에 빠진 사람을 돕는다. 또한 조금도 불법적인 금전상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엘의 사랑은 빌 코지의 살해와 대체 유언장 만들기로 완성된다. 엘을 통해 모리슨은 사랑이란 고린도 전서 13장의 부정적인 행위들 즉 투기, 자랑, 교만, 무례함, 이기주의에 굴복하지 않는 것이고, 에리히 프롬이 설명했듯이, 보호하고 책임지며, 상대를 존중하고 그의 처지에서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행위이며, 이에 더해 긍정적인 결과를 위해 계산 없이 과감하게 정의를 실천하는 행위임을 주장하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won, author = {Kwon, Hyeoknam}, title = {고독사 예방 및 극복을 위한 기독교 사회윤리적 기초 [Christian Social Ethics for Preventing and Overcoming Solitary Death]}, series = {권혁남 [Theology and Praxis], No. 38 (2014), 441-452.}, journal = {권혁남 [Theology and Praxis], No. 38 (2014), 441-452.}, abstract = {현대사회는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 및 가족의 축소, 도시환경의 변화, 가치관의 혼란 등으로 인해 사람들의 >유대<(혹은 친밀감)가 점점 약화되어가고 있다. 그래서 최근 사회 및 학계의 각 영역에서 >유대<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우리사회에서 >유대<라는 개념이 크게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인간관계의 왜곡 현상이 이제는 간과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문제라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에 대한 조사가 일부 진행되기는 했으나 축적된 연구가 매우 빈약하고, 그 정책적 대응 또한 매우 미비하다. 얼마 전부터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한 이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 영역의 접근은 단순히 실태보고와 현상적 대응에 대한 논의만 이루어질 뿐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고찰이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간관계의 상실 및 왜곡에 따른 결과적 현상이 사회적 고립에 의한 >고독사<와 같은 충격적인 형태로 나타나다보니 이론적 고찰보다는 대응책 마련이 더 시급한 선결과제가 되어버렸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눈앞의 문제에 급급한 나머지 그 심원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요인을 밝히는 작업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이 문제는 계속 우리사회에 잠복해 있다가 언제든지 다시 그 현상을 표출시킬 것임은 자명하다. 이는 우리사회가 이미 경험한 바다. 현재 사회적으로 고독사 현상의 양적⋅질적 변화에 맞는 다양한 대책이 강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독사와 관련하여 여전히 과거의 현상과 다를 바 없는 언론의 보도가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고독사< 문제의 예방 및 극복은 다양한 차원의 제도적 대책마련에 앞서 기본적(이론적) 접근을 통해 근본적 해결을 위한 요인을 밝히고, 그에 따라 접근해야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선 >기본<으로서의 인간관계인 >유대<와>사랑<의 관계를 에드문트 후설과 에리히 프롬의 견해에 기대어 윤리적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마틴 루터와 존 웨슬리의 논설을 따라 >기독교적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인 >이웃사랑<이 고독사 예방 및 극복을 위한 윤리 사상적 토대임을 제안하였다.}, language = {ko} } @article{Kuznetsow, author = {Kuznetsow, Ilya Olegovich}, title = {Экзистенциальные вызовы постсовременного общества: анализируя Эриха Фромма [Existential challenges of post-modern society: analyzing Erich Fromm]}, series = {Южный полюс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 истории современной западной философии [South Pole Studies in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Vol. 8, No. 1-2 (2022), pp. 76-80. [doi.org/10.18522/2415-8682-2022-8-76-80]}, journal = {Южный полюс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 истории современной западной философии [South Pole Studies in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Vol. 8, No. 1-2 (2022), pp. 76-80. [doi.org/10.18522/2415-8682-2022-8-76-80]}, abstract = {в статье приводится попытка показать и доказать, что, несмотря на прошедшее время, Эрих Фромм говорит с нами о нашей соци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на нашем языке. >Диагнозы< больной ткани постсовременного гражданского общества, а также оценки феноменов социальной и экзистенци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поражают своей точностью и актуальностью. В статье анализируются работы Фромма, а также комментирующая литература современных западных авторов.}, language = {ru} } @article{LamlabaBerutuetal, author = {Lamlaba Berutu, Duma and et al.,}, title = {L'autoritarisme et la Libert{\´e} Positive de Personnage Principal dans le Roman >Sans Famille< d'Hector Malot (Une Etude Psychologie d'Erich Fromm)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Lingua Litteria Journal, Vol. 7, No. 1 (2020), pp. 0-5. [Print ISSN 2252-6730] [journal.unnes.ac.id/sju/index.php/lel/article/view/38816/16139]}, journal = {Lingua Litteria Journal, Vol. 7, No. 1 (2020), pp. 0-5. [Print ISSN 2252-6730] [journal.unnes.ac.id/sju/index.php/lel/article/view/38816/16139]}, abstract =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authoritarianism and positive freedom on the main character in the novel >Sans Famille<. The theory in this study used humanistic psychology of Erich From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to describe the existence of the main character in the novel. Data of this study is the novel >Sans Famille< by Hector Malot. The method of the study is the qualitative descriptive method. Data analysis in this study in three pieces: The authoritarianism on the main character; the positive freedom on the main character, relation between of the authoritarianism and positive freedom on the main character.}, language = {fr} } @article{Kwon, author = {Kwon, Oh-yong}, title = {증오의 생산, 대상, 정당화 - 프롬, 짐멜, 아도르노를 중심으로 [Production, Reproduction, Legitimation of Hatred: Focusing on Fromm, Simmel and Adorno]}, series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58 (2020), pp. 409-450.}, journal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58 (2020), pp. 409-450.}, abstract = {이 연구는 개인과 전체사회 간의 변증법적 연관에 주목하여 개인적 증오가 사회적으로 발현되고 재생산되는 과정과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증오에 대한 효과적 대응양식을 프롬과 짐멜, 아도르노의 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프롬이 제시한 성격에 의한 증오 개념을 통해 개인적인 감정이지만 사회적으로 조건지어진 생활경험에 의해 생성되는 증오의 사회적 성격을 확인하였다. 또한 짐멜의 이방인 개념을 통해 친밀감과 거리감의 동시성이 이방인의 특성이며, 민족적으로 동일한 집단 속에서도 특정 집단이 이방인으로 지목되어 증오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증오를 정당화하는 편견과 이를 사회적-정치적으로 동원하는 선전선동에 대한 아도르노의 연구를 통해 편견이 민주사회의 가치를 거부하는 권위주의적 인성을 가진 사람의 소망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을 밝히고, 편견을 동원하는 선전선동의 기술과 작동방식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편견과 그 동원의 사회적 조건 탐구와 편견과 박해의 현실적 결과를 알려 사람들을 설득하는 지성적 대항수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증오가 복잡한 이해관계와 사회심리학적 연관 속에서 단번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임을 지적하였으며, 꾸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증오에 대응할 것을 제안한다.}, language = {ko} } @article{Laskin, author = {Laskin, Alexander V}, title = {Defining propaganda: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series = {Communication and the Public, Vol. 4, No. 4 (2019), pp. 305-314 [Online ISSN 2057-0481] [doi.org/10.1177/2057047319896488]}, journal = {Communication and the Public, Vol. 4, No. 4 (2019), pp. 305-314 [Online ISSN 2057-0481] [doi.org/10.1177/2057047319896488]}, abstract = {Propaganda is a centuries-old term, and yet scholars and practitioners are still having a hard time defining it and pinpointing what makes propaganda unique. Many existing definitions fail to distinguish between propaganda and marketing, public relations, advertising, or even mass communications, in general. This essay proposes to define propaganda through psychoanalytical research pioneered by Erich Fromm on symbiotic relations. Symbiotic relations, when transferred from biology to psychology and sociology, describe a process of allowing a person to merge with something big and important, therefore creating meaning beyond an individual's life. As a result, following its religious roots, propaganda acts similar to religion - asking for a sacrifice of individualism in the name of something bigger - god, country, society, or political party. In the end, people willingly engage in propaganda because, although sacrificing something, they receive unity with the bigger powers of other people, organizations, political parties, countries, and so on. As a result, such persons are not alone against the world; they are now a part of a bigger and stronger union.}, language = {en} } @article{Lai, author = {Lai, Yanjun}, title = {Analysis of the Neurotic Image of the Main Character of >A Clockwork Orange< [《发条橙》主人公的神经症形象分析]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JinGu Creative Literature [今古文创], No. 10 (2023), pp. 19-21.}, journal = {JinGu Creative Literature [今古文创], No. 10 (2023), pp. 19-21.}, abstract = {《发条橙》(1962)是英国作家伯吉斯的代表性作品。本文通过文本细读的方式,从主人公亚历克斯的神经症人物形象入手,重点运用卡伦·霍尼和弗洛姆的神经症人格等理论,揭示青年主人公激烈反叛的成长历程,这在《发条橙》研究中是新尝试,为小说文本提供新的解读空间。《发条橙》是20世纪中期西方现代小说的现象级作品,分析其主人公的神经症形象的塑造,既是对当时社会文化的反思和批判,也能为当下个体自由和健康发展提供启示,以人文关怀的视角观照当代文化的建构。}, language = {zh} } @article{Krenzlin, author = {Krenzlin, Kathleen}, title = {>Schreibe mir nur immer viel<. Der Briefwechsel zwischen Hans und Lea Grundig}, series = {K. Krenzlin (Hg.), >Schreibe mir nur immer viel<. Der Briefwechsel zwischen Hans und Lea Grundig. Ein Werkstattbericht Im Auftrag der Akademie der K{\"u}nste, Berlin, und der Rosa-Luxemburg-Stiftung hg. von Kathleen Krenzlin, Berlin und M{\"u}nchen (Deutscher Kunstverlag), 2022, pp. 015-048.}, journal = {K. Krenzlin (Hg.), >Schreibe mir nur immer viel<. Der Briefwechsel zwischen Hans und Lea Grundig. Ein Werkstattbericht Im Auftrag der Akademie der K{\"u}nste, Berlin, und der Rosa-Luxemburg-Stiftung hg. von Kathleen Krenzlin, Berlin und M{\"u}nchen (Deutscher Kunstverlag), 2022, pp. 015-048.}, language = {de} } @article{Lee, author = {Lee, Hak Jun}, title = {살림의 관계회복: 지도자와 장애선수의 참 만남 [Salim's Relationship Recovery: The Good Matching between Coach and Disabled Athlete]}, series = {한국체육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56, No. 6 (2017), pp. 1-10.}, journal = {한국체육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56, No. 6 (2017), pp. 1-10.},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와 장애선수의 참 만남을 위하여 부버, 프롬, 하이데거의 관점을 가지고 살림의 관계회복을 탐구하는 것이다. 관계는 죽임의 관계와 살림의 관계 맺음이 가능하다. 어떤 관계 맺음을 하느냐에 따라서 관계는 달라진다. 지도자가 장애선수를 소유와 도구적 대상이라고 인식하는 것은 잘못된 만남(죽임의 관계)의 시작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해법은지도자가 장애선수를 실존, 인격, 목적의 주체로서 인식하고(부버) 존재적 삶의 태도(프롬)와 심려라는 마음씀(하이데거)을유지하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관계 맺음은 살림의 관계회복으로 신뢰회복과 참 만남을 가능하게 한다.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부버, 프롬,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얻을 수 있는 살림의 관계회복이다. 장애선수의 능력과 개성과 창의성을 죽이는 죽임의 관계가 아니라 개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살림의 관계회복이 요구된다. 지도자 역시 장애선수와 함께 지도철학과 꿈을 실현하는 살림의 관계를 형성한다면, 현장에서 지도자와 장애선수의 참 만남은 현실화될 것이다.}, language = {ko} } @misc{LechhabMende, author = {Lechhab, Hamid and Mende, Claudia}, title = {Erich Fromm-Boom in der arabischen Welt. Lebenshilfe in Zeiten des Umbruchs. Claudia Mende im Gespr{\"a}ch mit Hamid Lechhab}, series = {Onlineausgabe von Qantara.de, 22. 5. 2023.}, journal = {Onlineausgabe von Qantara.de, 22. 5. 2023.}, language = {de} } @article{Laskin, author = {Laskin, Alexander V.}, title = {Symbiotic relations as the foundation of propaganda: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series = {In Analysis, Vol. 5, No. 2 (2021), pp. 183-187. [Online ISSN 2542-3606] doi.org/10.1016/j.inan.2021.06.003]}, journal = {In Analysis, Vol. 5, No. 2 (2021), pp. 183-187. [Online ISSN 2542-3606] doi.org/10.1016/j.inan.2021.06.003]}, abstract = {Context: Propaganda seems to be around us all the time, yet many people would find it difficult to provide a definition of propaganda. It becomes one of those words that are easy to use, but hard to define. Scholars have been writing on propaganda for centuries, yet the definition still remains illusive. Lay people simply call propaganda all communications they disagree with. Propaganda becomes brainwashing or, even worse, psychological warfare. Objectives: The article seeks to address this problem of identifying propaganda. Method: The article develops a theoretical argument by bringing a psychological and psychoanalytic work of Fromm into the real of communication sciences. Results: The author argues that propaganda is more than just a profanity for communication activities we disagree with. In fact, this essay suggests that propaganda is best understood through a psychoanalytical research on sadism and masochism by Fromm. Fromm using a biological concept of symbiosis explained sadism and masochism as a way of building symbiotic relations making an individual bigger than just oneself. Applying this theory to a society makes propagandist and propagandee not that different from a sadist and masochist, both gaining meaning for their lives through propaganda and becoming parts of something bigger. Propaganda's symbiotic relations rely on groupthink and participatory rhetoric focusing on building group cohesion and establishing >us versus them< mentality. Conclusion: The article concludes that propaganda's symbiotic relations work through groupthink and participatory rhetoric focusing on building group cohesion and establishing >us versus them< mentality. Propaganda removes an individual, focusing instead on many; propaganda eradicates individual's desires focusing instead on needs of the group; and propaganda draws sharp boundaries where own group ends and the enemy territory begins. Propaganda becomes an aggressive symbiosis aimed at its own survival and protection from the others. The study, building on this explicating of propaganda through symbiotic relations, proposes several areas for future research on propaganda to better understand its connection to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language = {en} } @misc{LechhabSiebert, author = {Lechhab, Hamid and Siebert, Jasmin}, title = {Komplizierte Themen in sch{\"o}ner Sprache, Interview mit Jasmin Siebert}, series = {>deutschland.de< am 18. 07. 2023 (https://www.deutschland.de/de/topic/kultur/erich-fromm-in-der-arabischen-welt-religionen-hinterfragen)}, journal = {>deutschland.de< am 18. 07. 2023 (https://www.deutschland.de/de/topic/kultur/erich-fromm-in-der-arabischen-welt-religionen-hinterfragen)}, language = {de} } @article{Layton, author = {Layton, Lynne}, title = {Social Psychoanalysis: From Theory to Practice}, series = {Frosh, S., Vyrgioti, M., Walsh, J. (Eds.): The Palgrave Handbook of Psychosocial Studies, Cham (Palgrave Macmillan) 2023, pp. 1-19. [Online ISBN 978-3-030-61510-9] [doi.org/10.1007/978-3-030-61510-9_61-2]}, journal = {Frosh, S., Vyrgioti, M., Walsh, J. (Eds.): The Palgrave Handbook of Psychosocial Studies, Cham (Palgrave Macmillan) 2023, pp. 1-19. [Online ISBN 978-3-030-61510-9] [doi.org/10.1007/978-3-030-61510-9_61-2]}, abstract = {While many psychosocial theorists have drawn on psychoanalysis to explore conscious and unconscious connections between the psychic and the social, most such efforts have been in the realm of >applied psychoanalysis,< that is, the exploration of unconscious process in group relations, institutions, cultures, historical eras. Few, but increasingly more psychosocial psychoanalytic writers are taking up how socially shaped unconscious processes emerge and are worked with in the clinic.- In this chapter, I review some of the psychosocial psychoanalytic theory that has informed clinical work, including the work of Fanon, Fromm, liberation psychologists, psychoanalytic feminist theorists, and critical race theorists. My focus is on how concepts that bridge the psychic and the social, without reducing one to the other, have found their way into clinical theory and practice.- The chapter surveys a few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f what is meant by clinical social psychoanalysis and then focuses more specifically on what I have called >normative unconscious processes,< my own attempt conceptually to bridge these domains. Extending Fromm's concepts of social unconscious and social character, I argue that a properly psychosocial psychoanalysis must account for the ways that patients' and therapists' intersectional social locations (e.g., class, race, gender, sexuality), as they are lived and enacted within particular power relations and histories, unconsciously and consciously emerge in the clinic, at times reproducing, and at times countering what Fromm called the >pathology of normalcy.< Given the current conjuncture, particular attention will be paid to neoliberal subject formations as they are met with in the clinic. The chapter concludes with a review of recent clinical papers that offer ways to counter the reproduction of normative unconscious processes.}, language = {en} } @article{LeeSmith, author = {Lee, Austina Frances and Smith, Gareth Dylon}, title = {Where is the Love, y'all? Punk Pedagogy in High School Choir}, series = {Research in Education, Vol. 115, No. 1 (2023), pp. 100-115. [Online ISSN 2050-4608] [doi.org/10.1177/00345237231152605]}, journal = {Research in Education, Vol. 115, No. 1 (2023), pp. 100-115. [Online ISSN 2050-4608] [doi.org/10.1177/00345237231152605]}, abstract = {Capitalism and its offspring, neoliberalism, are omnipresent in modern and postmodern societies. Illich, Giroux, and McLaren, among others, point to the futility and inequity of current models of education that focus on standardization, vocationalism, and conformity. Running counter to these powerful hegemonic systems, critical pedagogues and educational philosophers such as hooks and Silverman follow philosophers Frankfurt and Wolf in identifying a teaching approach rooted in love. Such an ethic embodies a robust, punk confrontation to potentially damaging, dehumanizing institutional norms perpetrated by current systems of schooling (Hewitt \& Smith, 2020). The authors present and discuss vignettes as a duo-ethnographic study of one teacher's work with a high school choir in Colorado Springs, USA, through which she works to engage young people as compassionate artistic citizens (Elliott \& Silverman, 2015; Hendricks 2018). By teaching with love and by modeling love, she teaches young people to love, embracing what Noddings (2005) identifies as an ethic of care. This choral community demonstrates the messy, anarchist ideal that Wright (2019) highlights as a necessary future for music education, wherein the educator diverts from teaching solely to standardized expectations to address the affiliative needs of her students through a love that desires good for her students (Fromm, 1956; Noddings, 2005)}, language = {en} } @article{Layton, author = {Layton, Lynne}, title = {Erich Fromm: Ancestor of Social Psychoanalytic Practice}, series = {Psychoanalytic Inquiry, Routledge, Vol. 44 (No. 1, 2024), pp. 026-036.}, journal = {Psychoanalytic Inquiry, Routledge, Vol. 44 (No. 1, 2024), pp. 026-036.}, abstract = {Erich Fromm offered two key psychoanalytic concepts that bridge the psychic and the social: social unconscious and social character. In his view, these concepts are not only critical for understanding socio-historical phenomena but also ought to inform psychoanalytic clinical practice such that it might resist unconsciously encouraging patients to adapt to inequitable social conditions. This essay pays tribute to Fromm's thinking while elaborating some of the differences between Fromm's understanding of social unconscious/social character and my own. I argue that >social unconscious< does not quite capture the dynamic and conflictual nature of unconscious process, the ongoing conflict that social demands for conformity create in subject formation. To address that conflict, I propose the bridging concept of normative unconscious processes, processes that are always in conflict with counter-normative resistances. Points of both conflict and dissociation are precisely where analysts can challenge the psychic effects of oppressive social norms. Further, while agreeing with Fromm that analyzing social character ought to be central to clinical work, I argue that various and overlapping systemic oppressions - e.g. racism, heterosexism, classism - create, in any given society, multiple social characters and not just one dominant type. In agreement with Fromm's argument that analysts themselves need to reckon with their own social character, I stress the importance for all of us to be as aware as possible of our own identity investments and social locations within unequal and overlapping power hierarchies.}, language = {en} } @article{Le, author = {Le, Thao N.}, title = {A measure of immature love}, series = {Individual Differences Research, Vol. 3, No. 2 (2005), pp. 72-87. [ISSN 1541-745X]}, journal = {Individual Differences Research, Vol. 3, No. 2 (2005), pp. 72-87. [ISSN 1541-745X]}, abstract =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Fromm, Maslow, and Sorokin, this study described the empirical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love. In its immature form, love is conceptualized as being rooted in self-other distinctions, and can be selfish and instrumental. In its mature form, love becomes autotelic and is expressed as a form of being, independent of others and relationships. Four separate studies revealed 4-6 items for an immature love scale, and were supported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mong college students. The robustness of the scale was demonstrated in its consistent findings with other constructs (personality, other love measures, self-transcendence) regardless of assessment style (true/false, forced-choice). The scale was also found to have satisfactory validity but fairly low reliability, suggesting caution in using it.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language = {en} } @article{Lee, author = {Lee, Jaeseung}, title = {Disobedience, Resistance and Democracy [불복종, 저항 그리고 민주주의]}, series = {민주법학[Democratic Legal Studies], No. 55 (2014), pp. 13-51.}, journal = {민주법학[Democratic Legal Studies], No. 55 (2014), pp. 13-51.}, abstract = {롤즈에 따르면, 거의 정의로운 사회에서의 시민은 예외적인 부정의를 시정하기 위한 항의행동으로서 법을 위반할 수 있다. 그러한 행동은 비폭력적이고 공개적이어야 하고, 불복종자는 법위반의 대가로서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 반면 당국은 불복종자와 통상적인 범법자를 구별하고 불복종자를 우호적으로 취급해야 한다. 그러나 롤즈의 모형은 현실에서 일반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핵심적인 문제는 >거의 정의로운 상태<가 개념적으로 명료하지 않으며 내용적으로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또 동일한 정치질서도 계급, 인종, 성, 종교, 세계관에 따라 상이하게 평가될 수밖에 없다. 한편 >거의 정의로운 상태<를 서구 민주주의와 동일시한다면 특정한 정치질서를 특권화하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나아가 거의 정의로운 상태가 평등한 자유의 원칙이나 공정한 기회의 원칙을 통해서 도달 가능한 체제보다 우월한 정치적 상태라고 상정한다면, 불복종의 이유를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공정한 기회의 원칙에 대한 심각한 위배에 국한시키는 롤즈의 방침은 불충분하다. 롤즈는 경제적 불평등을 시민불복종의 직접적인 사유로 취급하지 않고 정치적 과정에 맡길 문제로 상정한다. 그러나 경제적 불평등, 빈곤의 심화는 고착된 사회경제적・정치적 권력의 필연적인 결과이므로 불복종의 이유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 경우 불복종과 저항은 특정한 법과 정책이 아니라 지배 체제에 대한 저항의 성격을 띠게 된다. 신자유주의 체제의 어떤 개별적인 악법이나 나쁜 정책이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체제 전체의 근본적 부정의가 문제되기 때문이다. 롤즈가 <공정으로서 정의: 재진술> 및 <정의론> 수정판에서 제안한 재산소유 민주주의는 복지국가형태보다는 정의로운 정치체제이므로 >거의 정의로운 상태<에 근접한다. 따라서 재산소유 민주주의 체제는 롤즈의 불복종이론이 가동되기 적합한 상태라고 추정할 수 있다. 그밖에 롤즈가 시민불복종의 요건으로 제시한 비폭력성, 법에 대한 충실성으로서 양심성은 본질적으로 저항의 목표 달성이라는 정치적 시각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 달성과 무관한 양심적 비폭력주의는 정치적으로 바람직하지도 않으며 때로는 심각한 파국을 초래할 수 있다. 결국 사회의 근본적 개혁에 대한 열망만이 불복종을 추동하고 정당화한다. 또한 현실세계에서 정치적 권력, 경제적 권력, 문화적 권력은 서로 강고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지배체제를 이루고 있으므로 불복종을 특정한 부분에 한정할 수도 없다. 권력이 있는 곳이라면 불복종은 언제나 필요하다. 불복종은 대의제의 결함을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본질적인 부분이자 국민의 주권을 증명하는 행동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Hongkyun}, title = {사회 압력으로서 일반화된 타자들의 사회 기대 [The Social Expectation of Generalized Others as a Form of Social Pressure]}, series = {사회와 이론 [Society and Theory], No. 16 (2010), pp. 47-78.}, journal = {사회와 이론 [Society and Theory], No. 16 (2010), pp. 47-78.}, abstract = {에밀 뒤르케임이 사고와 행위의 집합적 양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위대한 사회학적 대상의 발견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사고와 행위의 집합적 양식을 도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과 동일시했다. 이후 조지 허버트 미드나 악셀 호네트 등의 사회학 이론가들 역시 >일반화된 타자들의 집합적 힘<을 도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과 동일시하고 있다. 반면 허버트 마르쿠제, 에리히 프롬, 알랭 투렌 등의 학자들은 개인이 사회로부터 비합리적인 강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주장을 하면서, 시장이나 국가에 의한 강제를 문제시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두 학자군에 의해서 조명되지 못한, 사회의 영향에 의한 개인의 행위 부분이 있음을 논증한다. 일반화된 타자들이 공유하는 비합리적 집합적 힘 역시 강하게 작동되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가부장적 권위주의, 사회적 과시, 인종차별, 연고·연줄주의 등의 형태로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집합적 힘이 존재하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Moon_Jung}, title =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 [The Ambivalence and Religiosity of Human Beings Represented in Uram Choe's Kinetic Sculptur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2, No. 5 (2021), pp. 307-320.}, journal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2, No. 5 (2021), pp. 307-320.}, abstract = {최우람은 움직이는 기계생명체를 보여주는 키네틱 조각(kinetic sculpture)을 통해 기계 문명과 인간사회를 고찰한다. 상상력과 기계의 결합으로 탄생한, 유기체 같은 정교한 움직임의 기계생명체들은 과학기술의 전개와 발전을 보여주는 동시에 기계생명체가 인간과 자연스럽게 공존할지도 모르는 미래에대한 작가적 상상을 담아낸다. 이와 같은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이 전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인간의 본질에 관한 고찰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인간 존재에 관한 탐구와 관련해 양가성과 종교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한이론적 바탕으로 삶과 죽음을 다룬 철학적 논의들, 바니타스(Vanitas)의 개념, 종교에 관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이론과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의 기술종교(techno-religion) 등을 다루었다. 우선 양가성과 관련해서는 지배자와 공유자, 삶과 죽음에 초점을 맞췄다. 최우람의 기계생명체는 마치 신처럼 생명을 창조하고 지배하려는 인간의 도전을 은유하며, 인본주의와 문명의 발전을 근거로 위계질서를 정당화했던 역사에 대한 자기반성이다. 또한 모든 생명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절대적 부재인 죽음을 통해 인간의 존재 원리를 숙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종교성의 경우 최우람이 창안한시간 신과 네트워크의 신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최우람은 인간의 지향체계이자 헌신의 대상인종교를 다룸으로써 인간의 욕망뿐 아니라 과학기술 시대를 반영하는 종교와 신앙의 변화를 숙고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최우람의 작품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을 살펴보는 본 연구를통해 역사적으로 미술의 주된 주제였던 인간에 관한 탐구가 동시대 미술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Moon_Jung}, title = {권오상의 정물 조각에 나타난 구축과 해체의 공존 [Coexistence of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in Osang Gwon's Still-Life Sculptur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3, No. 1 (2020), pp. 381-394.}, journal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3, No. 1 (2020), pp. 381-394.}, abstract = {본 논문은 구축과 해체의 공존에 초점을 맞춰 권오상의 정물 조각이 보여주는 형식과 주제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는 존재와 소유, 인간의 욕망, 자본주의와 소비사회에 관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이론과 기 드보르(Guy Debord)의 스펙터클(spectacle) 개념을선택했다. 스펙터클과 관련해 소비문화에 관한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논의도 일부 적용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형식적인 면에서 사진과 조각, 이미지와 물질, 가상과 실재의 경계를 해체하면서도 조각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이중성을 분석했다. 주제적인 면에서는 인간의 소유 욕망과 바니테(vanit{\´e})의 양가성을 고찰했다. 또한 고도로 추상화된 상품화가 일상생활에 침투하고 이미지 과잉이되어버린 사회를 지배하는 스펙터클의 재현과 해체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일상의 사물을 촬영한사진, 잡지나 인터넷에서 선택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작된 권오상의 정물 조각은 소비와 소유가 그자체로 욕망의 대상이 되고, 상품이 단순한 물적 대상이 아닌 자기 표현의 상징물로 존재하게 된 오늘날의 소비문화를 투영한다. 또한 소비문화의 견고한 위상을 확인시키는 동시에 그것의 허상을 드러내고, 인간의 욕망과 소유에 관한 근원적인 고찰뿐 아니라 스펙터클 시대에 대한 비판적 사유의 기회를제공한다. 이를 위해 권오상은 스펙터클의 압도적인 권력을 직관적으로 보여주지만, 실제 사물을 첨가하거나 이미지를 지워 물질성을 강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스펙터클과의 단절을 시도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시대에 반응하며 다양성의 공존과 차이를 창출하는 동시대 조각의 특성을 확인하고, 소비문화에 대한 예술적 성찰이 가져오는 의미 생성을 숙고할 수 있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m-hyung}, title =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The Education of Reading as a Lifelong Education]}, series = {국어교육학연구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1 (2011), pp. 29-52.}, journal = {국어교육학연구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1 (2011), pp. 29-52.}, abstract = {본고는 우리나라의 성인들의 독서율이 OECD 국가에서 최하위에 위치한다는 문제가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이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고는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관을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존재양식의 독서에 찾고 있다. 즉, 우리의 독서와 독서교육은 소유양식의 독서에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강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독서가 지식을 소유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존재양식으로 승화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의 독서계는 문학 독서와 설명적 글의 독서를 전혀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문학 작품의 독서에서는 삶의 고양과 같은 목적을 명시하는데 반해 설명적 글의 독서에서는 단지 정보처리에 주된 관심을 둔다. 그러나 프롬의 설명대로 문학 작품의 독서나 설명적 글의 독서에 소유양식과 존재양식이 모두 가능하다면, 설명적 글의 독서라고 해서 정보처리라는 울타리에 가둘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를 위해서 독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는 먼저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인 독서교육이란 사실적 독해와 같은 기초적인 독해력을 충실히 양성하고 비판적 독해와 같은 고수준의 독서로 나아가야 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독서교육이 기존의 입시 위주의 독서교육에서 벗어나 독서 경험이 자신의 관심과 삶과 관련을 맺고, 독서가 끝이 없는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이며 몰입하여 기쁨을 누리는 과정이라는 의미 있고 재미있는 독서 경험이 중심이 되는 독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Kyeong-Hwa}, title = {『주홍글씨』와 『와인즈버그, 오하이오』에 등장하는 패배자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osers Who Appear in >The Scarlet Letter< and >Winesburg, Ohi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영어영문학연구 [The Jungang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3, No. 2 (2011), pp. 217 231.}, journal = {영어영문학연구 [The Jungang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3, No. 2 (2011), pp. 217 231.}, abstract = {Back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rich Fromm, a famous psychologist, claimed that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are based on trading economy, because modern people do not have faith in the moral principles by which life ought to be guided. However, according to Fromm, such business relations are not in harmony with human nature. As Fromm pointed out, today's human relations are problematic, considering that they are based on trading economy rather than moral values.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problems of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with its focus on the win-or-lose culture. And >The Scarlet Letter< and >Winesburg, Ohio< are examined to this end. Both of the novels were written during the transient period when America changed from a traditional society to a modern society. For this reason, these novels disclose the bad effects of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bad effects on human relations. Hester Prynne, the heroine of >The Scarlet Letter<, is a loser in the sense that she was outcast and despised by the surrounding people during her lifetime. The inhumane behaviors of the Puritans toward Hester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istic anxiety caused by Calvinism. Similarly, modern people are suffering from individualistic anxiety, even though it is not in terms of religion. And the individualistic anxiety represses human nature that loves righteousness and morality. The immoral and inhumane behaviors done in the name of loser today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Winesburg, Ohio< criticizes that industrialization undermined the foundation of human relations. In the short story >Godliness<, Jesse Bentley is obsessed with the desire for success, which causes conflicts and alienation in his relationship with his daughter. Meanwhile, >Paper Pills< suggests that the experience of losing can be valuable, because it teaches us how to understand people with compassion. In conclusion, it seems that what improves the world eventually is love, not competition.},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Jaeil}, title = {루돌프 옷토의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 [A Study on Educational Implication of Rudolf Otto's Religious Experience]}, series = {종교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KJRE)], Vol. 32 (2010), pp. 249-262.}, journal = {종교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KJRE)], Vol. 32 (2010), pp. 249-262.}, abstract =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루돌프 옷토가 말하는 종교적 감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종교 체험은 종교를 이해하는 주요한 대상이다. 종교 체험은 매우 다양하지만 공통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종교 체험의 감정적 측면에 주목한 옷토는 종교 체험을 성스러움의 체험으로 이해한다. 그는 이를 피조물 감정, 두려운 신비감, 매혹성, 어마어마함, 장엄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성스러움의 체험 내용은 두려움과 매혹으로 대비되어 이해할 수 있다. 바하는 옷토가 종교 체험을 두려움과 매혹성으로 구분한 것을 높게 평가하였다. 필자는 두려움과 매혹의 양극성으로 구분되는 종교적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주목한다. 종교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부성애와 모성애의 교육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두려움과 매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교육적 작동방식을 살펴보았다. 프롬에 의하면 부성애는 조건적이고 인위적인 것이고 모성애는 무조건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유아에게 부성애는 존경심을 형성하고 모성애는 안정감을 형성한다. 유아는 이러한 마음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관계를 맺어가게 된다. 카를 융은 인간은 양극적 요소를 통합하면서 인격을 성숙하게 된다고 하였다. 옷토가 주장하는 종교체험도 인격의 형성과 관계된다. 두려움은 인간이 자신을 반성하고 바로잡아가도록 하고, 매혹성은 성스러운 존재에게 다가가 평온과 행복에 취하게 한다. 결국 두려움과 매혹성의 종교 체험은 부성과 모성의 사랑과 유사한 교육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Hongkyun}, title = {시민으로부터 도피: 사회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회 구성원 [Escape from Citizenship: Citizens Not Being Free from Social Pressure?]}, series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No. 32, pp. 119-142.}, journal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No. 32, pp. 119-142.}, abstract = {기존의 시민․시민 사회론과 시민사회단체론은 국가-시장-시민 사회의 삼분법에 따르고 있다. 그 삼분법은 모든 사회 구성원을 시민으로 전제하고 있고, 시민․시민 사회는 국가와 시장을 감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모든 사회 구성원이 시민이 아니고, 사회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사회 구성원과 사회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회 구성원을 구별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고 있다. 에리히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독일의 나치의 억압에 독일인들이 굴복하였던 원인을 고립의 공포와 자기 보전의 욕구로 규명하고 있는데 고립의 공포와 자기 보전의 욕구는 다양한 사회 압력에 굴복하게 되는 사회학적 원인으로 원용할 수도 있다. 사회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회 구성원을 구분함으로써 모든 사회 구성원을 시민․시민 사회로 전제해 왔던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기존의 대부분의 논의가 갖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사회 구성원을 시민으로 정의하고 있는 기존의 논의들이 시민 없는 시민운동이나 시민사회단체의 활동과 사회 구성원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를 설명할 수 없었던 이유를 이 논문에서 규명하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Young-gyeong}, title = {고독의 철학 - 에리히 프롬과 토마스 머튼을 중심으] [Philosophy of Solitude - Focusing on Erich Fromm and Thomas Merton}, series = {철학연구 [Philosophia - Journal of the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Vol. 134 (2015), pp. 111-150.}, journal = {철학연구 [Philosophia - Journal of the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Vol. 134 (2015), pp. 111-150.}, abstract = {우리 현대인은 고독을 위험한 것으로 여기며, 근절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이며 살고 있다 말한다면 지나친 과장일까? 그런데 고독을 혐오하고 두려워하는 우리에게, 고독을 오히려 끌어안으라고, 단, 지혜롭게 환대하라고 권유하는 현자들이 있다. 그들의 혜안으로 볼 때, 고독에서 그저 도피하기만 하는 삶은 더욱 외롭고 더욱 공허해지고 더욱 피상적으로 된다. 그러나 고독을 지혜롭게 수용하면 자기 실현의 삶, 행복하고 충만한 삶에로 이어질 수 있다. 물론 고독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우울한 고독감에 무기력하게 휩쓸리는 것이 아니다. 본고는 고독에 관한 에리히 프롬과 토마스 머튼의 통찰을 음미하면서, 고독을 지혜롭게 받아 들인다는 것이 어떤 것이며, 어떻게 이런 지혜로운 수용이 행복한 삶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이해해 보고자 한다. 그래서 날이 갈수록 고독을 더욱 홀대해가고 있는 듯한 우리의 태도를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한번 진지하게 성찰해 보고자 한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ngbum}, title = {실존의 고통으로서의 마음의 병과 삶에 대한니체의 실존적 사랑 [Krankheit des Herzens als Leiden der Existenz und Nietzsches existenziale Liebe zum Leben]}, series = {니체연구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No. 27 (2015), pp. 41-87.}, journal = {니체연구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No. 27 (2015), pp. 41-87.}, abstract = {현대사회와 현대인에 대한 니체의 비판적 관점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기쁨"이자신의 "일에 대한 기쁨"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니체의 표현처럼 "숨 가쁘게 서두르는 노동"으로 인해 현대인은 자신과 자신의 일 그리고 삶에 대한 온전한 기쁨을 느끼지 못하게 됨과 더불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기회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겪고 있는 실존의문제들은 근본적으로 그들 삶의 의미를 물질을 통해 충족하고자 하며 자신의 고유한 가치를 물질로 대체함에 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삶의 유용함만을 위해 소비하지 않으며, 소비는 삶의 의미를 얻고 소유하기 위한 행위가 되었다. 다시 말해 현대사회의 실존적 고통의 문제는 현대의 많은 사람들이 삶의 실존적 공허를자신만의 삶의 의미로 채우고자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즉 그들은 자기 삶의 근본적인 물음에 답하고자 하지 않는다. 자기 삶의 고유한 의미에 대해 더 이상 탐구하지 않는 이러한 인간유형들을 니체는 "마지막 인간"으로, 마르쿠제는"일차원적 인간"으로 그리고 프롬은 "자동 인형적 인간"으로 표현했다. 니체는 실존적 무기력과 창조적 무능력이 만연한 19세기 유럽의 데카당스 증상을 "의지의 병"으로 진단했다. 데카당스는 인간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지 않고나아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자 않는 나약한 의지의 병이다. 이를 위해 니체가 자신의 철학에서 제시한 건강의 가르침은 병과 고통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인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다. 니체는 이 처절한 경험 속에서 끊임없이 삶의 의미와가치에 대해 물었으며, 자신의 삶에 대한 열정과 사랑을 바탕으로 스스로를 끊임없이 긍정하고 극복하는 삶의 자세를 만들었다. 그의 이러한 삶의 자세는 병과 고통마저도 다시 건강해질 수 있는 실존적 기회로 만들었다. 니체는 그렇게삶이 던지는 물음에 대답했다. 고통스럽고 때론 불만족한 자기 실존의 문제에직면한 현대의 인간들이 니체의 사상과 삶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삶에 대한 열정과 사랑 그리고 이를 통한 자기긍정과 극복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Jung, author = {Lee, Sang Ik and Jung, Seung Hyan}, title = {競爭論에 대한 근래의 비판들과 그 함의 [Contemporary Anti-competition Theories and Its Meaning]}, series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Oriental Culture Studies], Vol. 17 (2014), pp. 89-127.}, journal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Oriental Culture Studies], Vol. 17 (2014), pp. 89-127.}, abstract = {本考에서는 근대 서구사회에서 競爭論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경쟁론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고, 경쟁론에 대한 근래의 여러 비판들을 두루 살펴본 다음, 그들의 反競爭論이 함축하는 바를 정리해 보았다. 오늘날 우리가 경쟁론을 지양시키고자 한다면, >사회복지의 당위성<과 >경제적 효율성<의 문제는 물론 >올바른 세계관의 정립< 문제가 긴요한 것이요, 뿐만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 문제도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 살핀 여러 碩學들의 反競爭論이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것이라면,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전통 유교의 名分論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 한국의 근대화 과정은 전통적 名分論을 타파하고 서구의 競爭論을 도입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그런데 한 때는 진보의 원동력으로 기능했던 경쟁론이 이제는 숱한 폐단을 낳고 있다면, 우리는 전통적 사회운영론의 의의를 되돌아보아야 마땅한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ng Ik}, title = {자유주의의 人權論과 유교의 人倫 [Liberalist Human Rights and the Confucian Ethics of Human Relationships]}, series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Vol. 14 (2013), pp. 33-68. [ISSN: 1976-1872]}, journal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Vol. 14 (2013), pp. 33-68. [ISSN: 1976-1872]}, abstract = {전통유교와 현대 자유주의의 핵심적 대립은 '자아실현'에 대한 상이한 이해에서 비롯되는 것이었다. '자아실현'은 동서고금 누구나 원하는간절한 소망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자아실현'란 본래 두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실현하고자 원할 수도 있고,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실현하고자 원할 수도 있다. 그런데 개인의 독특한 개성만을 강조하고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무시한다면, 그 때의 자아실현이란 프롬⋅매킨타이어⋅테일러 등이 지적한 것처럼 '소외, 자아도취, 멋대로 자유' 등 각종 폐단을 야기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기초하여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발휘할 때만이 참다운 자아실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인륜의 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를 누린다는 뜻이요, 또한 가치의 객관적 척도를 존중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그 모범적 사례를 공자의 '和而不同'이나 '從心所欲不踰矩'에서 찾을 수 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Yu_Sun}, title = {자유와 사회적 실험 [Freedom and Social Experiment]}, series = {사회와 철학 [Journal of Society and Philosophy], No. 34 (2017), pp. 97-122.}, journal = {사회와 철학 [Journal of Society and Philosophy], No. 34 (2017), pp. 97-122.}, abstract = {이 글에서 논자는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이론적 관점은 어떤 것인지 고찰하고 몇 가지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경제적인 양극화의 문제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부의 편중에 따른 새로운 신분제 사회의 등장이 경제영역에서뿐 아니라, 정치, 교육,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차별을 만들어내며 한국 사회의 자유의 영역을 축소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자유의 개념을 모색하기 위해 논자는 노직, 롤즈, 바우만, 프롬, 벌린, 로티 등의 철학자들에게서 언급되고 있는 자유의 개념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세넷이 말하는 신자유주의의 >사악한< 자유의 개념에 맞대응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노직의 완전자유주의적 태도는 배제되어야 한다. 나아가 자유의 문제를 개인적인 자아정체성의 문제와 결부짓고 있는 관점들도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문제는 사회적 불평등 및 차별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적인 자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프롬이나 벌린에게서 언급되고 있는 >적극적인 자유<도 현재로서는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 논자는 자유를 개인적인 정체성의 문제와는 다른 층위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보는 로티의 >자유주의자<의 자유의 개념 및 그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벌린의 >소극적 자유<의 개념이 실천을 위해 적합한 이론적 도구라고 보았다. 이들의 자유 개념은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보다는 실천을 위한 사회적인 차원의 자유의 조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런 자유의 개념에 입각하여 호네트나 웅거가 주장하듯이 지속적인 사회적인 실험이 이루어져야 한다. 논자의 실천적 제안은 그런 사회적 실험들이 사회적인 자유의 확장을 위해서 자본의 탐욕을 제어하고, 권위주의를 청산하고, 공공성을 확장할 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ookyung}, title = {영화 >케빈에 대하여<에 나타난 모성 신화의 재현 [Reproduction of the Maternal Myth in the Movie >We Need to Talk About Kevin<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Story and Image Telling], No. 22 (2021), pp. 155-185.}, journal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Story and Image Telling], No. 22 (2021), pp. 155-185.}, abstract = {영화 >케빈에 대하여<는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모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자는 엄마의 역할에 한정되어 평가되며, 가사와 육아를 책임지는 사람이라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우리가 현재 당연시하고 있는 모성은 만들어진 개념이다. 모성은 아동의 개념과 인구 증식과 맞물리며 18세기의 시대적 상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만들어진 모성이라는 개념은 이후 200년 동안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자의 가장 훌륭한 덕목으로 평가되어 왔다. >케빈에 대하여<는 살인마가 된 아들 때문에 남편과 딸, 일과 명예 등 모든 것을 잃고, 사회의 지탄을 받는 주인공 에바가 모성을 획득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에바는 타고난 모성을 갖지는 않았지만, 남편과 딸을 죽이고, 자신의 모든 것을 잃게 만든 살인마 아들을 버리지 않는다. 정신적, 물질적으로 모든 것을 상실한 절망적 상황에 처하지만 그녀는 아들을 포기하지 않는다. 아들은 엄마의 모성을 시험하는 원인 제공자로 등장하며, 결국 그녀를 모성으로 이끌게 만든다. 모성은 여자의 숙명임을 보여주며 작품은 끝을 맺는다.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은 어머니의 사랑은 무조건적이며, 만들어낼 수도, 통제할 수도 없고, 보답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에바는 1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의 고난을 거치면서 드디어 사회가 요구하는 모성을 획득하게 된다. 그렇게 에바는 사회가 만든 모성을 획득하게 되면서 >진정한< 어머니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21세기가 된 현재에도 여자의 역할, 모성에 대한 신화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맺는다.}, language = {ko} } @article{Lemoine, author = {Lemoine, Laurence}, title = {Erich Fromm - Psychoanal{\"o}ste socialiste}, series = {Psychologies, Paris (Reworldmedia Magazines) December 2022, pp. 94-97.}, journal = {Psychologies, Paris (Reworldmedia Magazines) December 2022, pp. 94-97.}, language = {fr} } @article{Lehmann, author = {Lehmann, Anne}, title = {Erich Fromm und der Begriff der >Vereitelung des Lebens<. Relevanz, Definition und Implikationen, Studienarbeit, Fachbereich Philosophie, Institut f{\"u}r Kulturwissenschaften, Universit{\"a}t Leipzig, Grin Verlag 2015, 9 pp.}, abstract = {Diese Arbeit setzt sich mit dem Begriff der Vereitelung des Lebens auseinander, der von Erich Fromm gepr{\"a}gt wurde. Zu diesem Zweck wird zun{\"a}chst der Lebensdiskurs im Allgemeinen aufgegriffen und zum einen in Bezug auf seine Anf{\"a}nge sowie zum anderen auf seine gegenw{\"a}rtige Relevanz nachgezeichnet: Denn {\"u}ber die Darstellung einer heutigen Gewichtung kann die Besch{\"a}ftigung mit einem Thema hinreichend legitimiert werden. Anschließend erfolgt eine Hinwendung zu Erich Fromm, in der die Bezugnahme auf ihn selbst sowie auf sein Wirken, insbesondere in Form des Textes >Die Furcht vor der Freiheit,< erl{\"a}utert wird. Anhand dieses Textes kann sodann Fromms Auffassung der Vereitelung des Lebens erkl{\"a}rt und in Bezug auf die von Fromm beschriebene sowie auf die gegenw{\"a}rtige Gesellschaft gesetzt werden, sodass sich hieraus Implikationen f{\"u}r das eigene Leben als auch das gemeinschaftliche Zusammenleben ergeben. Die in der Arbeit gewonnenen Darstellungen werden zuletzt noch einmal konzise zusammengefasst. [Weltbild.at]}, language = {de} } @article{LeonardiGazzilloDazzi, author = {Leonardi, Jessica and Gazzillo, Francesco and Dazzi, Nino}, title = {The adaptive unconscious in psychoanalysis}, series =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Vol. 31 (No. 4, 2022), pp. 201-217.}, journal =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Vol. 31 (No. 4, 2022), pp. 201-217.}, abstract = {This paper aims to emphasize the fundamental role of unconscious processes in our adaptation. We will point out how we are able to unconsciously perform higher mental functions such as setting goals and planning how to pursue them, dealing with complex data, and making choices and judgments.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we will describe the main features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processes as pointed out by recent empirical research studies, and we will see how safety is essential in pursuing our fundamental goals, and how unconscious mental processes are strongly oriented towards preserving our safety and pursuing these goals. Finally, we will discuss control-mastery theory (CMT), an integrative, relational, cognitive-dynamic theory of mental functioning, psychopathology, and psychotherapy processes developed by Joseph Weiss and empirically validated by Weiss, Harold Sampson, and the San Francisco Psychotherapy Research Group over the last 50 years. This conceptualizes unconscious processes starting from this >higher unconscious mental functioning< paradigm an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data, stresses that our main goal is to adapt to reality and pursue adaptive developmental goals while preserving our safety. Three clinical vignettes will help show how the concepts proposed by CM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process.}, language = {en} } @article{Lev, author = {Lev, Gideon}, title = {Conditions for love: The psychoanalytic situation and the analyst's emotions (https://doi.org/10.1080/0803706X.2023.2171118)}, series =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Vol. 32 (No. 2, 2023), pp. 114-124.}, journal =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Vol. 32 (No. 2, 2023), pp. 114-124.}, abstract = {Freud has stated that the psychoanalytic cure is effected through the love of the patient for the analyst. This paper claims that the analyst's love towards the patient is often essential as well. Countertransference love might indeed be associated with therapeutic risks, yet it is often a crucial part of the analytic process, since in order to be able to change, many people need to feel loved. The analyst's curative love is defined by being both sublimated and passionate, modulated as well as libidinal. In addition, it is conscious, aware, and reflective, and hence any act based on it is directed solely to the patient's psychic growth. Developing and maintaining such love is not easy. What comes to the aid of the analyst is the special construction of the analytic setting, which brings up a profound, loving interest in patients' psyche as well as a >second self< that is consistently benevolent and loving and acts at a level of empathy rarely encountered in ordinary life.}, language = {en} } @article{Li, author = {Li, Di}, title = {A Blossoming Tree - Love Education Series, Class Meeting No. 2 [一棵开花的树——爱情教育系列班会之二]}, series = {Class Adviser, No. 10 (2010), pp. 29-33.}, journal = {Class Adviser, No. 10 (2010), pp. 29-33.}, abstract = {活动背景世人都认识到了爱情的重要性,但是人们并不知道爱是一门需要学习的艺术。弗洛姆曾说:>再也找不出一种行为或一项行动,像爱情那样以如此巨大的希望开始,又以如此高比例的失败而告终。<如果是别的事情,人们可能会永远洗手不干。但是人们不可能永远放弃爱情,所以我们只有一条可行的道路——分析爱情受挫的原因,并去探究爱情的真谛。}, language = {z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