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Lim, author = {Lim, Chai-Kuang}, title = {소외개념에 대한 프롬과 마르쿠제의 정신분석학적 해명 [Technik und Entfremdung: Eine psychologische Untersuchung nach Fromm und Marcuse]}, series = {동서철학연구 [S.P.E.W -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No. 67 (2013), pp. 385-407.}, journal = {동서철학연구 [S.P.E.W -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No. 67 (2013), pp. 385-407.}, abstract = {프롬과 마르쿠제에 의하면 우리사회의 소외문제가 심각히 대두된 배후에는 기술과 과학의 전체주의적 속성과 자본주의적 산업논리가 기술을 동원하여 인간과 사회를 폭력적으로 지배하는데 그 핵심에 있다고 보았다. 아울러 두 철학자간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1, 사회과학적 방법론과 정신분석학을 접목시키는 학제간 연구를 연구방법론으로 채택, 2, 존재론적 측면에서 현실과 초월적 세계의 2원론적 구조를 취함, 3. 현대 기술사회를 반이성적이고 반생명적으로 봄. 또한 이들은 건전한 사회를 위한 구상 및 전망에 있어서도, 혁명적 인간상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데 그 유사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마르쿠제와 프롬 사이의 이견에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1, >소외< 개념에 있어서 마르쿠제는 일종의 퇴행이자 해결해야하는 사회구조적 병폐로 보고 있는 반면에 프롬은 마르쿠제와 달리 >사회적 병폐로서의 소외<로만 분류하지 않고 >존재론적 문제로서의 소외<로도 이해하고 있다.2, >자연< 개념을 두고 볼 때, 마르쿠제는 자연 낙관주의적 관점을 갖지만 프롬은 인간이 극복해야하는 대상으로서 인간의 삶에 부정적 대상으로 파악한다. 3, 마르쿠제는 >기술<을 원칙적으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단지, 선진 산업사회의 제도적 합리성이 기술의 사용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보았던 것에 반해, 프롬은 기술 자체를 일종의 중립적 대상으로 보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Yu_Sun}, title = {자유와 사회적 실험 [Freedom and Social Experiment]}, series = {사회와 철학 [Journal of Society and Philosophy], No. 34 (2017), pp. 97-122.}, journal = {사회와 철학 [Journal of Society and Philosophy], No. 34 (2017), pp. 97-122.}, abstract = {이 글에서 논자는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이론적 관점은 어떤 것인지 고찰하고 몇 가지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경제적인 양극화의 문제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부의 편중에 따른 새로운 신분제 사회의 등장이 경제영역에서뿐 아니라, 정치, 교육,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차별을 만들어내며 한국 사회의 자유의 영역을 축소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자유의 개념을 모색하기 위해 논자는 노직, 롤즈, 바우만, 프롬, 벌린, 로티 등의 철학자들에게서 언급되고 있는 자유의 개념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세넷이 말하는 신자유주의의 >사악한< 자유의 개념에 맞대응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노직의 완전자유주의적 태도는 배제되어야 한다. 나아가 자유의 문제를 개인적인 자아정체성의 문제와 결부짓고 있는 관점들도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한국 사회에서 자유의 문제는 사회적 불평등 및 차별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적인 자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프롬이나 벌린에게서 언급되고 있는 >적극적인 자유<도 현재로서는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 논자는 자유를 개인적인 정체성의 문제와는 다른 층위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보는 로티의 >자유주의자<의 자유의 개념 및 그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벌린의 >소극적 자유<의 개념이 실천을 위해 적합한 이론적 도구라고 보았다. 이들의 자유 개념은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보다는 실천을 위한 사회적인 차원의 자유의 조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런 자유의 개념에 입각하여 호네트나 웅거가 주장하듯이 지속적인 사회적인 실험이 이루어져야 한다. 논자의 실천적 제안은 그런 사회적 실험들이 사회적인 자유의 확장을 위해서 자본의 탐욕을 제어하고, 권위주의를 청산하고, 공공성을 확장할 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Young-gyeong}, title = {고독의 철학 - 에리히 프롬과 토마스 머튼을 중심으] [Philosophy of Solitude - Focusing on Erich Fromm and Thomas Merton}, series = {철학연구 [Philosophia - Journal of the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Vol. 134 (2015), pp. 111-150.}, journal = {철학연구 [Philosophia - Journal of the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Vol. 134 (2015), pp. 111-150.}, abstract = {우리 현대인은 고독을 위험한 것으로 여기며, 근절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이며 살고 있다 말한다면 지나친 과장일까? 그런데 고독을 혐오하고 두려워하는 우리에게, 고독을 오히려 끌어안으라고, 단, 지혜롭게 환대하라고 권유하는 현자들이 있다. 그들의 혜안으로 볼 때, 고독에서 그저 도피하기만 하는 삶은 더욱 외롭고 더욱 공허해지고 더욱 피상적으로 된다. 그러나 고독을 지혜롭게 수용하면 자기 실현의 삶, 행복하고 충만한 삶에로 이어질 수 있다. 물론 고독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우울한 고독감에 무기력하게 휩쓸리는 것이 아니다. 본고는 고독에 관한 에리히 프롬과 토마스 머튼의 통찰을 음미하면서, 고독을 지혜롭게 받아 들인다는 것이 어떤 것이며, 어떻게 이런 지혜로운 수용이 행복한 삶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이해해 보고자 한다. 그래서 날이 갈수록 고독을 더욱 홀대해가고 있는 듯한 우리의 태도를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한번 진지하게 성찰해 보고자 한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ookyung}, title = {영화 >케빈에 대하여<에 나타난 모성 신화의 재현 [Reproduction of the Maternal Myth in the Movie >We Need to Talk About Kevin<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Story and Image Telling], No. 22 (2021), pp. 155-185.}, journal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Story and Image Telling], No. 22 (2021), pp. 155-185.}, abstract = {영화 >케빈에 대하여<는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모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자는 엄마의 역할에 한정되어 평가되며, 가사와 육아를 책임지는 사람이라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우리가 현재 당연시하고 있는 모성은 만들어진 개념이다. 모성은 아동의 개념과 인구 증식과 맞물리며 18세기의 시대적 상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만들어진 모성이라는 개념은 이후 200년 동안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자의 가장 훌륭한 덕목으로 평가되어 왔다. >케빈에 대하여<는 살인마가 된 아들 때문에 남편과 딸, 일과 명예 등 모든 것을 잃고, 사회의 지탄을 받는 주인공 에바가 모성을 획득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에바는 타고난 모성을 갖지는 않았지만, 남편과 딸을 죽이고, 자신의 모든 것을 잃게 만든 살인마 아들을 버리지 않는다. 정신적, 물질적으로 모든 것을 상실한 절망적 상황에 처하지만 그녀는 아들을 포기하지 않는다. 아들은 엄마의 모성을 시험하는 원인 제공자로 등장하며, 결국 그녀를 모성으로 이끌게 만든다. 모성은 여자의 숙명임을 보여주며 작품은 끝을 맺는다.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은 어머니의 사랑은 무조건적이며, 만들어낼 수도, 통제할 수도 없고, 보답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에바는 1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의 고난을 거치면서 드디어 사회가 요구하는 모성을 획득하게 된다. 그렇게 에바는 사회가 만든 모성을 획득하게 되면서 >진정한< 어머니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21세기가 된 현재에도 여자의 역할, 모성에 대한 신화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맺는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ngbum}, title = {실존의 고통으로서의 마음의 병과 삶에 대한니체의 실존적 사랑 [Krankheit des Herzens als Leiden der Existenz und Nietzsches existenziale Liebe zum Leben]}, series = {니체연구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No. 27 (2015), pp. 41-87.}, journal = {니체연구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No. 27 (2015), pp. 41-87.}, abstract = {현대사회와 현대인에 대한 니체의 비판적 관점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기쁨"이자신의 "일에 대한 기쁨"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니체의 표현처럼 "숨 가쁘게 서두르는 노동"으로 인해 현대인은 자신과 자신의 일 그리고 삶에 대한 온전한 기쁨을 느끼지 못하게 됨과 더불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기회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겪고 있는 실존의문제들은 근본적으로 그들 삶의 의미를 물질을 통해 충족하고자 하며 자신의 고유한 가치를 물질로 대체함에 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삶의 유용함만을 위해 소비하지 않으며, 소비는 삶의 의미를 얻고 소유하기 위한 행위가 되었다. 다시 말해 현대사회의 실존적 고통의 문제는 현대의 많은 사람들이 삶의 실존적 공허를자신만의 삶의 의미로 채우고자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즉 그들은 자기 삶의 근본적인 물음에 답하고자 하지 않는다. 자기 삶의 고유한 의미에 대해 더 이상 탐구하지 않는 이러한 인간유형들을 니체는 "마지막 인간"으로, 마르쿠제는"일차원적 인간"으로 그리고 프롬은 "자동 인형적 인간"으로 표현했다. 니체는 실존적 무기력과 창조적 무능력이 만연한 19세기 유럽의 데카당스 증상을 "의지의 병"으로 진단했다. 데카당스는 인간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지 않고나아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자 않는 나약한 의지의 병이다. 이를 위해 니체가 자신의 철학에서 제시한 건강의 가르침은 병과 고통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인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다. 니체는 이 처절한 경험 속에서 끊임없이 삶의 의미와가치에 대해 물었으며, 자신의 삶에 대한 열정과 사랑을 바탕으로 스스로를 끊임없이 긍정하고 극복하는 삶의 자세를 만들었다. 그의 이러한 삶의 자세는 병과 고통마저도 다시 건강해질 수 있는 실존적 기회로 만들었다. 니체는 그렇게삶이 던지는 물음에 대답했다. 고통스럽고 때론 불만족한 자기 실존의 문제에직면한 현대의 인간들이 니체의 사상과 삶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삶에 대한 열정과 사랑 그리고 이를 통한 자기긍정과 극복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Jung, author = {Lee, Sang Ik and Jung, Seung Hyan}, title = {競爭論에 대한 근래의 비판들과 그 함의 [Contemporary Anti-competition Theories and Its Meaning]}, series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Oriental Culture Studies], Vol. 17 (2014), pp. 89-127.}, journal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Oriental Culture Studies], Vol. 17 (2014), pp. 89-127.}, abstract = {本考에서는 근대 서구사회에서 競爭論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경쟁론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고, 경쟁론에 대한 근래의 여러 비판들을 두루 살펴본 다음, 그들의 反競爭論이 함축하는 바를 정리해 보았다. 오늘날 우리가 경쟁론을 지양시키고자 한다면, >사회복지의 당위성<과 >경제적 효율성<의 문제는 물론 >올바른 세계관의 정립< 문제가 긴요한 것이요, 뿐만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 문제도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 살핀 여러 碩學들의 反競爭論이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것이라면,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전통 유교의 名分論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 한국의 근대화 과정은 전통적 名分論을 타파하고 서구의 競爭論을 도입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그런데 한 때는 진보의 원동력으로 기능했던 경쟁론이 이제는 숱한 폐단을 낳고 있다면, 우리는 전통적 사회운영론의 의의를 되돌아보아야 마땅한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ng Ik}, title = {자유주의의 人權論과 유교의 人倫 [Liberalist Human Rights and the Confucian Ethics of Human Relationships]}, series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Vol. 14 (2013), pp. 33-68. [ISSN: 1976-1872]}, journal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Vol. 14 (2013), pp. 33-68. [ISSN: 1976-1872]}, abstract = {전통유교와 현대 자유주의의 핵심적 대립은 '자아실현'에 대한 상이한 이해에서 비롯되는 것이었다. '자아실현'은 동서고금 누구나 원하는간절한 소망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자아실현'란 본래 두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실현하고자 원할 수도 있고,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실현하고자 원할 수도 있다. 그런데 개인의 독특한 개성만을 강조하고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무시한다면, 그 때의 자아실현이란 프롬⋅매킨타이어⋅테일러 등이 지적한 것처럼 '소외, 자아도취, 멋대로 자유' 등 각종 폐단을 야기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기초하여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발휘할 때만이 참다운 자아실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인륜의 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를 누린다는 뜻이요, 또한 가치의 객관적 척도를 존중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그 모범적 사례를 공자의 '和而不同'이나 '從心所欲不踰矩'에서 찾을 수 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m-hyung}, title =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The Education of Reading as a Lifelong Education]}, series = {국어교육학연구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1 (2011), pp. 29-52.}, journal = {국어교육학연구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1 (2011), pp. 29-52.}, abstract = {본고는 우리나라의 성인들의 독서율이 OECD 국가에서 최하위에 위치한다는 문제가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이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고는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관을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존재양식의 독서에 찾고 있다. 즉, 우리의 독서와 독서교육은 소유양식의 독서에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강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독서가 지식을 소유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존재양식으로 승화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의 독서계는 문학 독서와 설명적 글의 독서를 전혀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문학 작품의 독서에서는 삶의 고양과 같은 목적을 명시하는데 반해 설명적 글의 독서에서는 단지 정보처리에 주된 관심을 둔다. 그러나 프롬의 설명대로 문학 작품의 독서나 설명적 글의 독서에 소유양식과 존재양식이 모두 가능하다면, 설명적 글의 독서라고 해서 정보처리라는 울타리에 가둘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를 위해서 독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는 먼저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인 독서교육이란 사실적 독해와 같은 기초적인 독해력을 충실히 양성하고 비판적 독해와 같은 고수준의 독서로 나아가야 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독서교육이 기존의 입시 위주의 독서교육에서 벗어나 독서 경험이 자신의 관심과 삶과 관련을 맺고, 독서가 끝이 없는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이며 몰입하여 기쁨을 누리는 과정이라는 의미 있고 재미있는 독서 경험이 중심이 되는 독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Moon_Jung}, title =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 [The Ambivalence and Religiosity of Human Beings Represented in Uram Choe's Kinetic Sculptur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2, No. 5 (2021), pp. 307-320.}, journal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2, No. 5 (2021), pp. 307-320.}, abstract = {최우람은 움직이는 기계생명체를 보여주는 키네틱 조각(kinetic sculpture)을 통해 기계 문명과 인간사회를 고찰한다. 상상력과 기계의 결합으로 탄생한, 유기체 같은 정교한 움직임의 기계생명체들은 과학기술의 전개와 발전을 보여주는 동시에 기계생명체가 인간과 자연스럽게 공존할지도 모르는 미래에대한 작가적 상상을 담아낸다. 이와 같은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이 전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인간의 본질에 관한 고찰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최우람의 키네틱 조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인간 존재에 관한 탐구와 관련해 양가성과 종교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한이론적 바탕으로 삶과 죽음을 다룬 철학적 논의들, 바니타스(Vanitas)의 개념, 종교에 관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이론과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의 기술종교(techno-religion) 등을 다루었다. 우선 양가성과 관련해서는 지배자와 공유자, 삶과 죽음에 초점을 맞췄다. 최우람의 기계생명체는 마치 신처럼 생명을 창조하고 지배하려는 인간의 도전을 은유하며, 인본주의와 문명의 발전을 근거로 위계질서를 정당화했던 역사에 대한 자기반성이다. 또한 모든 생명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절대적 부재인 죽음을 통해 인간의 존재 원리를 숙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종교성의 경우 최우람이 창안한시간 신과 네트워크의 신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최우람은 인간의 지향체계이자 헌신의 대상인종교를 다룸으로써 인간의 욕망뿐 아니라 과학기술 시대를 반영하는 종교와 신앙의 변화를 숙고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최우람의 작품에 나타난 인간 존재의 양가성과 종교성을 살펴보는 본 연구를통해 역사적으로 미술의 주된 주제였던 인간에 관한 탐구가 동시대 미술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Moon_Jung}, title = {권오상의 정물 조각에 나타난 구축과 해체의 공존 [Coexistence of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in Osang Gwon's Still-Life Sculptur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3, No. 1 (2020), pp. 381-394.}, journal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3, No. 1 (2020), pp. 381-394.}, abstract = {본 논문은 구축과 해체의 공존에 초점을 맞춰 권오상의 정물 조각이 보여주는 형식과 주제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는 존재와 소유, 인간의 욕망, 자본주의와 소비사회에 관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이론과 기 드보르(Guy Debord)의 스펙터클(spectacle) 개념을선택했다. 스펙터클과 관련해 소비문화에 관한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논의도 일부 적용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형식적인 면에서 사진과 조각, 이미지와 물질, 가상과 실재의 경계를 해체하면서도 조각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이중성을 분석했다. 주제적인 면에서는 인간의 소유 욕망과 바니테(vanit{\´e})의 양가성을 고찰했다. 또한 고도로 추상화된 상품화가 일상생활에 침투하고 이미지 과잉이되어버린 사회를 지배하는 스펙터클의 재현과 해체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일상의 사물을 촬영한사진, 잡지나 인터넷에서 선택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작된 권오상의 정물 조각은 소비와 소유가 그자체로 욕망의 대상이 되고, 상품이 단순한 물적 대상이 아닌 자기 표현의 상징물로 존재하게 된 오늘날의 소비문화를 투영한다. 또한 소비문화의 견고한 위상을 확인시키는 동시에 그것의 허상을 드러내고, 인간의 욕망과 소유에 관한 근원적인 고찰뿐 아니라 스펙터클 시대에 대한 비판적 사유의 기회를제공한다. 이를 위해 권오상은 스펙터클의 압도적인 권력을 직관적으로 보여주지만, 실제 사물을 첨가하거나 이미지를 지워 물질성을 강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스펙터클과의 단절을 시도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시대에 반응하며 다양성의 공존과 차이를 창출하는 동시대 조각의 특성을 확인하고, 소비문화에 대한 예술적 성찰이 가져오는 의미 생성을 숙고할 수 있었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