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Kwon, author = {Kwon, Hyuck-mi}, title = {토니 모리슨의 신앙 여정: 『가장 푸른 눈』과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를 중심으로 [Toni Morrison's Path of Religion in >The Bluest Eye< and >God Help the Child<]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journal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토니 모리슨의 첫 번째 소설 『가장 푸른 눈』과 최근 소설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설명하는 두 가지 실존양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작가의 신앙관을 추적하였다. 1970년에 발표된 『가장 푸른 눈』에는 세 명의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인 폴린과 제럴딘 위트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고 피콜라의 정신분열 발생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2015년에 발표된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서 부커의 고모 퀸은 >존재양식의 신앙인<으로 브라이드가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부커와의 사랑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독교 신앙의 주요 속성을 >베푸는 사랑<으로 규정해온 토니 모리슨은 평생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을 질타하고 >존재양식의 신앙인<이 되도록 촉구하며 독자들의 정신적인 성숙을 이끌어온 >존재양식의 신앙인<이다. 작가는 말년의 작품에서 기독교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태아를 향한 축복 기도를 작품의 제목으로 삼을 만큼 신앙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won, author = {Kwon, Hyuck-mi}, title = {사랑에서 토니 모리슨의 사랑의 정의 [Toni Morrison's Definition of Love in >Lov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journal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abstract = {사랑에는 성공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업가 빌 코지 가족들의 부정적인 행위들이 난무하여 사랑의 상반되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가족들의 불화의 원인 제공자는 빌 코지이다. 52세의 빌 코지는 11살 히드와 결혼을 하고 이 결혼 이후, 가족들은 고통당한다. 특히 가족들의 싸움에 지쳤다면서, 빌 코지는 전 재산을 내연녀에게 유산으로 남긴다는 유언장을 작성하여 가족 모두를 배반한다. 빌 코지와 그의 가족의 불화한 모습들은 호텔 주방장인 엘의 사랑을 부각한다. 엘은 작품 속 주요 등장인물 중 유일하게 빌 코지에 대응하는 인물이다. 엘은 어머니가 부재한 빌리 보이와 크리스틴을 양육한다. 그녀는 코지 가족들의 심정을 이해하고, 재치 있는 대처로 각종 갈등상황을 해결하고, 누구의 편도 들지 않고 불행에 빠진 사람을 돕는다. 또한 조금도 불법적인 금전상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엘의 사랑은 빌 코지의 살해와 대체 유언장 만들기로 완성된다. 엘을 통해 모리슨은 사랑이란 고린도 전서 13장의 부정적인 행위들 즉 투기, 자랑, 교만, 무례함, 이기주의에 굴복하지 않는 것이고, 에리히 프롬이 설명했듯이, 보호하고 책임지며, 상대를 존중하고 그의 처지에서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행위이며, 이에 더해 긍정적인 결과를 위해 계산 없이 과감하게 정의를 실천하는 행위임을 주장하고 있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