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Kwon, author = {Kwon, Hyuck-mi}, title = {사랑에서 토니 모리슨의 사랑의 정의 [Toni Morrison's Definition of Love in >Lov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journal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abstract = {사랑에는 성공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업가 빌 코지 가족들의 부정적인 행위들이 난무하여 사랑의 상반되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가족들의 불화의 원인 제공자는 빌 코지이다. 52세의 빌 코지는 11살 히드와 결혼을 하고 이 결혼 이후, 가족들은 고통당한다. 특히 가족들의 싸움에 지쳤다면서, 빌 코지는 전 재산을 내연녀에게 유산으로 남긴다는 유언장을 작성하여 가족 모두를 배반한다. 빌 코지와 그의 가족의 불화한 모습들은 호텔 주방장인 엘의 사랑을 부각한다. 엘은 작품 속 주요 등장인물 중 유일하게 빌 코지에 대응하는 인물이다. 엘은 어머니가 부재한 빌리 보이와 크리스틴을 양육한다. 그녀는 코지 가족들의 심정을 이해하고, 재치 있는 대처로 각종 갈등상황을 해결하고, 누구의 편도 들지 않고 불행에 빠진 사람을 돕는다. 또한 조금도 불법적인 금전상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엘의 사랑은 빌 코지의 살해와 대체 유언장 만들기로 완성된다. 엘을 통해 모리슨은 사랑이란 고린도 전서 13장의 부정적인 행위들 즉 투기, 자랑, 교만, 무례함, 이기주의에 굴복하지 않는 것이고, 에리히 프롬이 설명했듯이, 보호하고 책임지며, 상대를 존중하고 그의 처지에서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행위이며, 이에 더해 긍정적인 결과를 위해 계산 없이 과감하게 정의를 실천하는 행위임을 주장하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Su-Yeon}, title = {불교와 정신치료 [Buddhism and Psychotherapy]}, series = {정신분석 [Psychoanalysis (JKPS)], Vol. 27, No.4, pp. 133-137.}, journal = {정신분석 [Psychoanalysis (JKPS)], Vol. 27, No.4, pp. 133-137.}, abstract = {Buddhism and Psychotherapy focus on alleviating mental suffering through a detailed investigation of mental process. Therefore Buddhism and Psychotherapy overlap each other in the theory and in practice. Historically there are many attempts to collaborate between Buddhism and psychology by a variety of renowned psychoanalysts such as Carl Jung, Erich Fromm, Karen Horney, and Mark Epstein et al. I reviewed Buddhism's approach to the self which is described as >no-self<. Sense of the self arises from different conditions, there isn't a permanent and solid self.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self based on Buddhism is not contradictory to modern psychology and deepens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no-self. In practice, Buddhism and psychotherapy roughly share the similar method in some aspect to approach the inner mind. But the next step to deal with these materials is definitely different. In this article I never attempt to view Buddhism through the term of psychotherapy and to integrate two fields. The earnest introspection and considerate academic attitude are necessary to collaborate between Buddhism and psychotherapy without losing the essence of each other.},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ong-sik}, title = {에리히 프롬 사상의 교육적 의미 -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Meaning of Erich Fromm's Thought - Focusing on >Having or Being<]}, series = {The Journal of Education [교육논총] Vol. 36, No. 2 (2016), pp. 153-171.}, journal = {The Journal of Education [교육논총] Vol. 36, No. 2 (2016), pp. 153-171.}, abstract = {자아 상실은 현대인의 내적 공허감이나 쉴새없이 무엇인가를 소유해야만 하는 욕구 등에서 잘 나타났다. 아무 것도 시작할 수 없게 만드는 고통스러운 권태, 내적인 무기력, 자기 추진력의 상실과 그에 따른 의기소침 등이 그런 현상에 속한다. 또 자기 자신과 홀로 대면하는 것을 몹시 꺼려하는 현대인의 두려움도 마찬가지로 존재 상실의 결과라 하겠다. 어떤 형태로 표출되든지 간에 존재의 결핍은 창조능력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글의 목표는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소유와 존재의 개념을 밝히고, '소유적 실존 양식'과 '존재적 실존 양식'의 이해를 위해 두 실존양식을 비교하여 프롬이 말하는 '실존적 욕구'가 왜 교육의 기준점이 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글은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를 교육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취할 것이다. 이 글에서 이용한 텍스트는 차경화(2015) 옮김, 『소유냐 존재냐』 임을 밝혀 둔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