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Choo, author = {Choo, Jung Wan}, title = {프롬의 사랑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romm's Love Theory]}, series = {윤리교육연구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No. 48 (2018), pp. 33-58.}, journal = {윤리교육연구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No. 48 (2018), pp. 33-58.}, abstract = {본 논문의 목적은 프롬이 제시한 사랑의 의미와 실천 방법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롬의 사상적 배경과 함께 그가 제시한 사랑론의 이론적 근거, 사랑론을 구성하는 주요 내용 및 프롬이 규정한 사랑의 대상, 그리고 사랑의 실천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행 고등학교 선택 과목인 『생활과 윤리』 교과에서는 '성과 사랑의 윤리'를 학습 주제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행 교육과정을 따르는 교과서들에서는 해당 영역에서 프롬의 사랑에 관한 입장을 학습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다루는 프롬의 사랑론에 대한 원전 중심의 종합적인 검토는 교과 내용 및 교수학습 과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 {ko} } @article{Hwangetal, author = {Hwang, Soo-Min and et al.,}, title = {웰라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트렌드 분석연구2014년에서 2018년까지 [Analysis of Hairstyling Trends in the Wella Collection: From 2014 to 2018]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rt], Vol. 19, No. 4 (2018) pp. 187-199.}, journal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rt], Vol. 19, No. 4 (2018) pp. 187-199.}, abstract = {Entering the 21st century, new cultural trends have been formed after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and the environment. Social psychologist Erich Seligmann Fromm proposed that 'the ability to predict the future and express subjects and acts in diverse ideas' is an attribute that makes humans different from animals. There are very diverse ways and views to predict trends and experts from individual fields can predict trends by studying related laws. These trends can be viewed as a phenomenon that expresses the emotions and personality that exist in people's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people want to create trendy and unique styles, using diverse elements and design factors by escaping from a conventional concept of beauty. Humans design and develop new tools that are both esthetic and functional through harmony between art and science. In fashion, art and cosmetology, trendy collections are suggested annually by predicting trends in advance. New and diverse trends that differ from past trends are always pursued.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furthermore, trends have become a large issue around the globe. Hairstyling is closely related to trend so that there should be continued studies on new trend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airstyle trends in the Wella Collection from 2014 to 2018. It analyzed these hairstyles by shape, texture and color, and the results ar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analyzing hair collections. It is hoped that they would be useful in predicting future trends.},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Kwangsik}, title =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본 EXO의 >으르렁 [The Song >Eureureong< [Growl] of EXO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und E. Fromm]<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사회와 철학 [Social Philosophy], Vol. 35 (2018), pp. 45-66.}, journal = {사회와 철학 [Social Philosophy], Vol. 35 (2018), pp. 45-66.}, abstract = {>으르렁<은 젊은 세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노래 가운데 하나다. 이 노래는 젊 은 세대에게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노래는 철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노래다. 으르렁대는 야만적인 무한경쟁의 심리가 드러나 있다. 이 논문은 그 노랫말을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보고 그 철학적 까닭과 해법을 찾아보았다. 니체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시기, 곧 타자 부정이며, 그 해법은 긍 정, 곧 자기 긍정이다. 자기가 사랑하는 이성을 사랑하는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때문이며, 그 바탕에는 열등감과 시기심이 깔려 있다. 무엇보다 먼저 자기를 가치 있는 사람으로 긍정하면, 열등감과 시기심에 빠지지 않고,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해 불안이나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프롬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며, 그 해법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다.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이성을 독차지하려는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 때문이다. 무엇보다 먼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가지면, 사랑의 존재, 곧 사랑의 과정 및 경험 그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성을 독차지하지 못하거나 잃어버릴까봐 불안해할 필요가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으르렁<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우리 젊은 세대는 자긍심보다 열등감이나 시기 심이 강하고,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보다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 강한 경향이 있다. 우리 나이든 세대의 유산일 게다. 걱정되는 것은 그러한 경향이 더 노골적이고 거칠어졌다는 점이다. 철학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무한경쟁을 낳는 사회 구조적 원인이 가장 큰 탓이다. 하지만 철학자의 탓이기도 한 만큼 우리 철학자들이 젊은 세대의 자긍심이나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북돋우는 데 힘써야 한다.}, language = {ko} } @article{Kwon, author = {Kwon, Hyuck-mi}, title = {토니 모리슨의 신앙 여정: 『가장 푸른 눈』과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를 중심으로 [Toni Morrison's Path of Religion in >The Bluest Eye< and >God Help the Child<]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journal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3, No. 3 (2018), pp. 21- 40.},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토니 모리슨의 첫 번째 소설 『가장 푸른 눈』과 최근 소설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설명하는 두 가지 실존양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작가의 신앙관을 추적하였다. 1970년에 발표된 『가장 푸른 눈』에는 세 명의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인 폴린과 제럴딘 위트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고 피콜라의 정신분열 발생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2015년에 발표된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서 부커의 고모 퀸은 >존재양식의 신앙인<으로 브라이드가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부커와의 사랑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독교 신앙의 주요 속성을 >베푸는 사랑<으로 규정해온 토니 모리슨은 평생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을 질타하고 >존재양식의 신앙인<이 되도록 촉구하며 독자들의 정신적인 성숙을 이끌어온 >존재양식의 신앙인<이다. 작가는 말년의 작품에서 기독교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태아를 향한 축복 기도를 작품의 제목으로 삼을 만큼 신앙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MinChang, author = {Min, Yoon Young and Chang, Haram}, title =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 목적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정신분석학적 고찰 [Legal Psychoanalytical Considerations on the Genetic Enhancement of Human Life before Birth]}, series = {법학논총 [Dankook Law Review], Vol. 42, No.4 (2018), pp. 95-132.}, journal = {법학논총 [Dankook Law Review], Vol. 42, No.4 (2018), pp. 95-132.}, abstract = {이 글은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에 관한 현재의 담론이 도덕적 현기증에 빠져있다는 샌델의 지적에 공감하며, 이 문제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을 시도하여 도덕적 현기증을 극복한 법규범의 확립을 위한 토대를 놓는 것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출생이전 인간생명의 증강 목적 유전자 편집 문제와 관련하여 크게 두 가지 입장이 있는데, 하나는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을 찬성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이고 다른 하나는 반대하는 생명보수주의이다. 이 글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주장의 중요한 오류들을 비판하고, 생명보수주의자들의 논증은 보완하고 강화한다. 각 장의 중심 주제를 간략히 밝히자면, 제II장에서는 부모의 자녀를 위한 >합리적 선택<이 무의식을 고려한다면 허무한 신화일 수 있기에, 불가역적 변화인 출생 이전 인간생명의 증강목적 유전자 편집을 부모의 선택에 맡기는 것이 크게 위험할 수 있음을 밝히는데 주안점을 둘 것이고, 제III장은 >완벽<을 향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욕망의 파괴적 위험성을, 제IV장은 출생 이전 인간생명에 대한 유전자 편집의 욕망이 생명을 존중하는 바이오필리아적인 것이 아니라 통제를 갈구하는 네크로필리아적인 것임을 다룰 것이다. 제II장은 프로이트와 현대의 역동심리치료 이론들이, 제III장은 융의 분석심리학이, 제IV장은 프롬의 정신분석학이 중심적인 이론적 틀이 되며, 생명보수주의자로는 샌델과 하버마스가, 트랜스휴머니스트로는 보스트롬과 사블레스쿠가 주로 고찰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균형 있는 관점을 가진 바이오필리아적 법의 확립을 위한 기초적 토대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language = {ko} } @article{Moon, author = {Moon, Sunghoon}, title = {태극기 군중의 탄생에 대한 사회 병리학적 탐구 [A Social-pathological Research of the Birth of Taegeukgi Crowd]}, series = {사회와 철학 제 [Social Philosophy] No. 36 (2018), pp. 1-30.}, journal = {사회와 철학 제 [Social Philosophy] No. 36 (2018), pp. 1-30.}, abstract = {본 논문의 목적은 에리히 프롬이 분석한 근대화의 역설을 모델로 삼아, 박근혜 탄핵 반대집회에서 모습을 드러낸 '태극기 군중'의 유래와 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첫째, 본 논문은 근대화의 역설에 대한 에리히 프롬의 분석을 통해 정치지도자에 대한 맹신이 등장하는 이유를 근대인의 심리적 구조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에리히 프롬의 분석을 모델로 삼아 태극기 군중의 역사적 기원을 1970년대에 '조국근대화'를 추진한 박정희의 지지층으로 보면서, 이들의 탄생이 근대화의 역설적 결과임을 보여줄 것이다. 셋째, 본 논문은 박정희 지지층 일부가 박근혜 등장 이후 태극기 군중으로 부활하게 된 것을 프로이트의 '가족로망스'와 '멜랑콜리' 개념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태극기 군중의 등장을 사회 병리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질병'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지적할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Ju-taek}, title =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A Study on the Isolation of Kim Su-young's Poem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 No. 74 (2018), pp. 175-207.}, journal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 No. 74 (2018), pp. 175-207.}, abstract = {김수영은 1945년 등단한 뒤 현실과 자신과의 투쟁 속에서 고립과 무력감을 드러내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통찰로 가득한 절규들을 산문의 형식을 빌려 노래하 였다. 특히 김수영은 4.19를 기점으로 고립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유를 노래하며 현실의 처지를 설움이라고 상정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통일을 좁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소외는 근대의 비인간화와 함께 인간의 문제를 상정하는 중요한 부면을 지니며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소외를 >문단과 자신의 시로부터의 소외<, >생활로부 터의 소외<,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수영이 >조화와 통일<을 가치로 삼았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외는 헤겔과 마르크스를 거쳐 하이데거 그리고 프롬에 이르기까지 근대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하이데거는 기술 문명의 상황이 존재자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허무와 불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며 개인이 관계하고 있는 것이 허망하다는 생각에 빠져 소외에 직면 한다고 말한다. 김수영이 등단 초기 박인환과의 불화와 자신의 시에 대한 무력감을 표현한 것은 고립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또한 생활에 있어서 번역 일을 하면서 이를 청부 번역이라고 한 것이나 마포구 구수동으로 이사한 뒤 닭을 키우며 자신은 변두리 인생이라는 자조에 빠진 것도 소외 때문이었다. 이와는 달리 자기 소외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경증적 증후를 드러낸다. 해방과 4.19 그리고 5.16과 같은 시대적 상황은 김수영에게 있어 설움과 비애와 같은 감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자유, 정의, 양심과 같은 형이상학적 관념들을 요구했다. 그러나 김수영이 소외에 빠진 것은 결국 현실과 사유라는 비동일적 간극 때문이었다. 소외는 소외되기 전의 상황과 소외된 이후의 상황은 다르다. 김수영은 누구보다도 자신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한 시인이었다. 그는 한시도 자신을 방임하지 않았다. 현실과의 싸움만큼 자신과의 싸움을 멈추지 않았다. 현실과 시에 대해 상대적 완성과 절대적 완성을 탐색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을 나아가게 했다. 그 도정을 통해 그는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원리로 삼으며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이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두 이즘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 것도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궁극 원리로 삼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language = {ko} } @article{Seo, author = {Seo, Eun-ju}, title = {냉전의 지식문화 - 1960 \&1970년대 소외론을 중심으로 [The Knowledge Culture of Cold War in the 1960s \& 1970s Focusing on Discourses of Alienation]}, series = {민족문학사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No. 67 (2018), pp. 397-430.}, journal = {민족문학사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No. 67 (2018), pp. 397-430.}, abstract = {이 글은 1960∼1970년대 한국의 지식(문화)장에서 실현된 소외의 담론정치를 냉전의 지식문화사라는 계보 속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담론이 파편적이고도, 편의적으로 재단되어 수용되었던 한국 지식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에서 특히 프롬과 마르쿠제의 소외론이 냉전체제 아래에서 비판적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유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크리스찬아카데미의 『대화』를 통해 진보적 기독교 지식인들이 >인간화<라는 주제 아래 소외개념을 변용·확산시키는 과정과, 그들이 소외의 현장과 긴밀하게 접속됨으로써 반체제 인권운동으로 달려가는 상황도 분석한다. 또한 문학 영역의 소외론이 예술의 자율성을 둘러싼 오래된 논쟁으로 진영화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전질서 속에서 산업화를 진행하였던 1960∼1970년대 한국 담론 장에서, 과연 소외론이 >저항담론<으로서 지식사회의 의식적 각성에 기여하였는지, 혹은 궁극적으로 대중사회·산업사회를 절대화하는 >위장된 저항담론<으로 기능하였는지를 가늠해 본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