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적 욕망론에 대한 고찰 [Schopenhauer's Metaphysical View of Desire]}, series = {철학사상[The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No. 36 (2010), pp. 85-119.}, journal = {철학사상[The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No. 36 (2010), pp. 85-119.}, abstract = {이 글은 쇼펜하우어의 욕망관과 그것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존재자들이 자기보존에의 욕망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욕망들은 물자체로서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쇼펜하우어는 각 개체들과 종족들은 자신들의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투쟁하고 갈등하는 바 이러한 세계는 생각할 수 있는 세계 중에서 최악의 세계라고 보았다. 쇼펜하우어는 욕망을 극복하는 궁극적인 방법으로 이성에 의한 의지부정을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이는 이성을 자기보존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의 도구로 보는 자신의 철학적 입장과 모순될 뿐 아니라 그의 철학이 이성과 욕망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이원론의 입장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인간의 욕망을 고찰하는 보다 설득력있는 입장으로서 이 글에서는 말미에서 프롬의 욕망관을 간략히 살펴보고 있다. 프롬은 쇼펜하우어나 서양의 전통적인 이원론적인 입장이 주장하는 것처럼 이성과 욕망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건강한 이성에 대해서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병적인 이성이 대립한다고 보았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Jaeil}, title = {루돌프 옷토의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 [A Study on Educational Implication of Rudolf Otto's Religious Experience]}, series = {종교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KJRE)], Vol. 32 (2010), pp. 249-262.}, journal = {종교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KJRE)], Vol. 32 (2010), pp. 249-262.}, abstract =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루돌프 옷토가 말하는 종교적 감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종교 체험은 종교를 이해하는 주요한 대상이다. 종교 체험은 매우 다양하지만 공통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종교 체험의 감정적 측면에 주목한 옷토는 종교 체험을 성스러움의 체험으로 이해한다. 그는 이를 피조물 감정, 두려운 신비감, 매혹성, 어마어마함, 장엄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성스러움의 체험 내용은 두려움과 매혹으로 대비되어 이해할 수 있다. 바하는 옷토가 종교 체험을 두려움과 매혹성으로 구분한 것을 높게 평가하였다. 필자는 두려움과 매혹의 양극성으로 구분되는 종교적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주목한다. 종교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부성애와 모성애의 교육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두려움과 매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교육적 작동방식을 살펴보았다. 프롬에 의하면 부성애는 조건적이고 인위적인 것이고 모성애는 무조건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유아에게 부성애는 존경심을 형성하고 모성애는 안정감을 형성한다. 유아는 이러한 마음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관계를 맺어가게 된다. 카를 융은 인간은 양극적 요소를 통합하면서 인격을 성숙하게 된다고 하였다. 옷토가 주장하는 종교체험도 인격의 형성과 관계된다. 두려움은 인간이 자신을 반성하고 바로잡아가도록 하고, 매혹성은 성스러운 존재에게 다가가 평온과 행복에 취하게 한다. 결국 두려움과 매혹성의 종교 체험은 부성과 모성의 사랑과 유사한 교육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Hongkyun}, title = {사회 압력으로서 일반화된 타자들의 사회 기대 [The Social Expectation of Generalized Others as a Form of Social Pressure]}, series = {사회와 이론 [Society and Theory], No. 16 (2010), pp. 47-78.}, journal = {사회와 이론 [Society and Theory], No. 16 (2010), pp. 47-78.}, abstract = {에밀 뒤르케임이 사고와 행위의 집합적 양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위대한 사회학적 대상의 발견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사고와 행위의 집합적 양식을 도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과 동일시했다. 이후 조지 허버트 미드나 악셀 호네트 등의 사회학 이론가들 역시 >일반화된 타자들의 집합적 힘<을 도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과 동일시하고 있다. 반면 허버트 마르쿠제, 에리히 프롬, 알랭 투렌 등의 학자들은 개인이 사회로부터 비합리적인 강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주장을 하면서, 시장이나 국가에 의한 강제를 문제시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두 학자군에 의해서 조명되지 못한, 사회의 영향에 의한 개인의 행위 부분이 있음을 논증한다. 일반화된 타자들이 공유하는 비합리적 집합적 힘 역시 강하게 작동되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가부장적 권위주의, 사회적 과시, 인종차별, 연고·연줄주의 등의 형태로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집합적 힘이 존재하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in-Han}, title = {무엇이 유능한 성인교육의 교수자로 만드는가: 사랑으로 가르치는 따름학(followgogy)의 관점을 중심으로 [Who is The Great Instructor?: A Point of View >Followgogy< to Teach with Love]}, series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1 (2010), pp. 1-20.}, journal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1 (2010), pp. 1-20.}, abstract = {유능한 교수자가 된다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의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절실한 과제이고 바람이다. 페다고지 교육현장이든 안드라고지의 교육현장이든 가르치는 자의 능력이 교육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기에 유능한 교수자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사랑으로 가르치는 것의 의미와 실천적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랑으로 가르치는 진정한 의미는 모호하며 사랑에 대한 의미부터 해석을 달리 할 수 있다. 에릭 프롬은 사랑의 의미와 방법적인 문제를 논하고 있지만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가르침을 위한 사랑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본고는 유능한 교수자가 되기 위해 가르침의 가장 원론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사랑으로 가르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사랑의 실천적 관점에서 교육의 현장을 분석하고 실천적 사랑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랑을 이해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의 괴리를 채워줄 함축적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인 가르침의 황금률은「남에게 대접받기 원하면 먼저 대접하라」는 예수의 사랑의 실천 원리가 최상의 방법이 될 수 있고 이는 따름의 학습 원리 즉 따름학의 실천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