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YiKim, author = {Yi, Hyun Oak and Kim, Man Eui}, title = {인간의 공격성과 스포츠 [Sport and Human Aggression]}, series = {학술지명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1, No. 4 (2002), pp. 43-52. [Online ISSN 2508-7029]}, journal = {학술지명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1, No. 4 (2002), pp. 43-52. [Online ISSN 2508-7029]}, abstract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ggression, human`s instinct as the new essence of sport. Through the psychological approach it could be found that the aggression which is human instinct is deeply related with the origin of sport. In relation to the instinct of death Freud has proved that there exists the aggression in human mentality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aggression of sport is related with Thanatos, the instinct of death that Freud said. Fromm, a sociopsychologist expanded the concept of Freud`s aggression and divided the aggression in human mentality as the defensive and positive aggression and destructive and malignant aggression and he saw that sport is related with the malignant aggression. I think we have to discard the attitude just to try to adapt the methodical value of sport although the value of sport exists with human instinct. Sport is the only thing to express and purify the aggression and it is expected to play the important role to create the future culture.}, language = {ko} } @article{WangLee, author = {Wang, Ting-Ting and Lee, Jong Han}, title = {영화 >체르노빌 다이어리< 중 체르노빌 공간의 권력구조 연구 [A Study of Chernobyl's Spatial Power Structure in the Film Named >Chernobyl Diary<]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애니메이션연구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 Vol. 17, No. 21 (2021), 141-166.}, journal = {애니메이션연구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 Vol. 17, No. 21 (2021), 141-166.}, abstract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생명안전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대, 특히 코로나19의 배경 아래에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재난의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은 미룰 수 없는 임무이다. 체르노빌 원전폭발은 이미 역사로 남았지만 그것이 남긴 문제는 아직도 적절하게 해결되지 않았다. >체르노빌<이라는 이 금기된공간을 어떻게 적절하게 처리할지는 현대사회의 문제 중 하나이다. 본문은 브래들리 파커(Bradley Parker) 감독의 <체르노빌 다이어리>(2012)를 사례로 현대에서 체르노빌의 공간적 표현을 고찰한다. 이 영화는 자극을추구하는 여행객들이 금지구역인 체르노빌로 진입하면서 겪는 끔찍한 상황을 그렸으며, 영화에서 나타난 체르노빌은 실제 체르노빌의 공간 상태와 부합한다. 영화에서 묘사한 체르노빌은 무인구역, 소비구역, 정치권력 규제구역 세 공간이 혼합된 장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공간이 작동하는 메커니즘과 상호 관계를 탐구하여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이 말한 건전한 사람과 건전한 사회의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체르노빌은 무인구역, 소비구역, 정치권력 규제구역 세 공간이 혼합되어 서로를 제약한다. 체르노빌이라는 이 공간에서 국가는 주도적위치를 차지하며, 무인구역과 소비구역의 운영 배후에는 국가의 정치권력이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다. 원전폭발로 인해 체르노빌은 정치당국에 의해 >예외상태<로 운영되면서, 이 운영 체제 하에서 국가법, 인권, 도덕윤리 등문명사회의 체제와 규범이 사라지게 되었고, 이 공간에 들어온 개인의 생명은 순식간에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이 말한 >벌거벗은 생명<으로 전락해 타인에 의해 생존권을 박탈당했다. 따라서 >건전한 사회<를 만들어 >건전한 개인의 생명<을 살리는 길을 고민하는 것은 매우 절실하다.}, language = {ko} } @article{Suh, author = {Suh, Yusuk}, title =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성찰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Crisis of Democracy in Korea]}, series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50, No. 3 (2008), pp. 1-20.}, journal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50, No. 3 (2008), pp. 1-20.}, abstract = {본고는 근자에 이슈가 되고 있는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반성으로서 다음 네 가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본고는 >한국 민주주의 위기<의 근원을 다름 아닌 <개혁의 실패 내지는 지체>에서 찾고자 한다. 둘째로, 민주주의 위기론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민주세력 무능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여기서는 민주 세력의 중요한 실책으로 >시민적 동의획득의 실패<를 지적하고 그 의미를 탐색해 보겠다. 세 번째로 보수화의 군중심리에 나타나고 있는 >박정희 신드롬<의 위험에 대해서 그리고 참여민주주의의 당위적 과제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결론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진보 세력 일반의 과제로서 >대안적 사회모델의 정립<, >국민적 동의획득의 노력<, >참여와 연대 문화의 확산<을 지적하고 이러한 상황이 철학에 부과하는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language = {ko} } @article{Song, author = {Song, Jihyun}, title = {[E.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고찰] A Study on E. Fromm's Escape from Freedom}, series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38, No. 3 (2005), pp 209-237}, journal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38, No. 3 (2005), pp 209-237}, abstract = {우리는 외부 권력으로부터의 자유, 즉 소극적 자유의 신장에 매혹되어, 자유와 그것의 전통적인 적들에게 대항해 얻은 승리의 의미를 훼손할 수 있는 내적인 억압, 강제, 두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는 자유의 문제란 오로지 근대사의 과정에서 얻은 소극적 자유를 훨씬 더 많이 얻는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리고 그런 자유를 부정하는 힘들에 대항해서 자유를 지키는 것이 필요한 전부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이제까지 쟁취한 자유 모두가 최대의 힘으로 지켜져야 하지만, 자유의 문제는 양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질적인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잊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전통적인 자유를 지키고 늘려가야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류의 자유, 즉 우리 자신의 개인적인 자아를 실현하고 이 자아와 삶을 믿을 수 있게 해주는 자유도 획득해야만 한다는 것을 잊고 있다. 따라서 나는 소극적 자유의 실현뿐만 아니라 적극적 자유(개인적 자아실현)의 실현을 위해, 프롬(Fromm, E.)이 분석한 자유로부터의 도피심리와 사회현상을 살펴보고, 프롬이 말한 >적극적 자유<의 의미는 무엇이며, 또한 적극적 자유의 개념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벌린(I. Berlin)의 >자유의 두 개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현대인들이 왜 그렇게 신흥종교에 매료(자유로부터의 도피 수단)되는지를 분석한 앨빈 토플러(Albin Toffler)의 생각도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보다 나은 자유 민주주의 시민을 형성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language = {ko} } @article{Song, author = {Song, Jai-ryong}, title = {정신분석학적 종교이해의 가능성과 한계: 에리히 프롬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Religion: Focusing on Erich Fromm]}, series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20 (2002).}, journal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20 (2002).}, language = {ko} } @article{Shin, author = {Shin, Minjoon}, title = {새로운 문명의 장력을 향하는 개체적 의지 — 루쉰(魯迅) 초기 잡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Will of Individual in Lu Xun's Early Essay]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중국학논총 [Journal of Chinese Studies], No. 71 (2021), pp. 115-140.}, journal = {중국학논총 [Journal of Chinese Studies], No. 71 (2021), pp. 115-140.}, abstract = {루쉰(魯迅)은 자신의 초기 잡문을 통해 문명이 지닌 인류발전으로서의 과정 및 결과로서의 성격과 함께 문명이 지니는 규범화를 통해 발현되는 야만성 및 그로 인한 인간의 자기예속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루쉰은 이러한 문명의 양가적인 모습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서 새로운 개체적 의지를 찾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인류 사회의 조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바로 루쉰의 문학 창작이 지니는 의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루쉰의 창작은 곧 인간의 윤리성을 바탕으로 하는 개체적 의지와 인류 발전적인 문명의 공존에 대한 모색으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상기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루쉰의 초기 잡문에서 사회를 이루는 기성 문명의 장력 속에서 문명의 폭력적인 야만성을 제거한 새로운 문명의 장력을 찾고자 하는 인간의 개체적 의지와 그 가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루쉰의 초기 잡문 속 문명론을 아도르노(Theodor Wiesengrund Adorno),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 마르쿠제(Herbert Marcuse) 등의 비판이론가들의 문명에 대한 관점 및 그에 대응하는 인간의 태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고찰을 시도한다.}, language = {ko} } @article{Shim, author = {Shim, Soo_Myung}, title =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 성숙한 인격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aturity in Personality in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series = {성경과신학 [Bible and Theology], Vol. 68 (2013), pp. 83-113.}, journal = {성경과신학 [Bible and Theology], Vol. 68 (2013), pp. 83-113.}, abstract = {상담자는 내담자의 역기능을 탐색하여 내담자의 내적 요인인 핵심 인격을 올바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자이다. 상담이 내담자의 인격 변 화를 목표로 한다면 상담자는 바람직하고 성숙한 인격이 무엇인지 알고 있 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성숙한 인격은 어떤 특성이어야 하는 지 연구하기 위해 성경적 관점에서의 인격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 반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정신분석이론, 사회심리학, 그리고 성장상담학적 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으로는 몽고메리와 쉐릴, 그리고 심수명의 견해를 중심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인간은 이 땅에서는 은혜입은 죄인이기에 온전한 인격성숙에 도달 할 수 없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성숙한 사람은 십자가의 은혜와 하나님을 의지함이 없이는 한 순간도 살아갈 수 없음을 아는 자이다. 둘째, 성숙한 사람은 아가페 사랑을 근거로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는 자이다. 셋째, 성숙한사람은영성을중심으로지, 정, 의등전인의통합을추구하는 자이다.넷째, 성숙한 사람은 영적인 성숙을 바탕으로 가면적, 내면적, 관계적 인격이 조화롭게 균형 잡힌 자이다. 다섯째, 성숙한 사람은 신적 자존감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자이다.여섯째, 성숙한 사람은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미래에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이다.일곱째, 성숙한 사람은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며 현실 상황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이다.여덟째, 성숙한 사람은 성경에 근거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것을 최고 의 목표로 삼는 자이다. 위의 연구 결과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세우기 위한 과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Shim, author = {Shim, Jae-Myung}, title = {에리히 프롬을 통해 본 여가의 의미 [Meaning of Leisure Implied in Erich Fromm]}, series = {관광연구논총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 34, No. 2 (2022), pp. 3-27.}, journal = {관광연구논총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 34, No. 2 (2022), pp. 3-27.}, abstract = {본 연구는 에리히 프롬의 글을 통해 철학적 관점에서 여가에 대해 탐구하였다. 역사적으로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인간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으며, 그 기반 위에서 인간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해 각자의 개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그러나 그 같은 체험을 하는 사람은 소수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로지 소극적 의미의 자유만을 경험함으로써 자유의 진정한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프롬의 저서들로부터 여가에 시사점을 준다고 판단되는 여덟 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것들은 현대자본주의 사회에 순응한 현대인에게서 어떻게 수동적 여가의 모습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현대사회의 노동은 인간이 능동적 존재가 될 수 없는 영역이며 생존의 필요를 가지는 인간이 노동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여가를 통해 인간이 능동적인 존재가 되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함으로써 개성을 실현하는 것이 여가가 삶에 줄 수 있는 진정한 보상이라는 것이 프롬이 던지는 메시지이다.}, language = {ko} } @article{Seo, author = {Seo, Eun-ju}, title = {냉전의 지식문화 - 1960 \&1970년대 소외론을 중심으로 [The Knowledge Culture of Cold War in the 1960s \& 1970s Focusing on Discourses of Alienation]}, series = {민족문학사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No. 67 (2018), pp. 397-430.}, journal = {민족문학사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No. 67 (2018), pp. 397-430.}, abstract = {이 글은 1960∼1970년대 한국의 지식(문화)장에서 실현된 소외의 담론정치를 냉전의 지식문화사라는 계보 속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담론이 파편적이고도, 편의적으로 재단되어 수용되었던 한국 지식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에서 특히 프롬과 마르쿠제의 소외론이 냉전체제 아래에서 비판적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유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크리스찬아카데미의 『대화』를 통해 진보적 기독교 지식인들이 >인간화<라는 주제 아래 소외개념을 변용·확산시키는 과정과, 그들이 소외의 현장과 긴밀하게 접속됨으로써 반체제 인권운동으로 달려가는 상황도 분석한다. 또한 문학 영역의 소외론이 예술의 자율성을 둘러싼 오래된 논쟁으로 진영화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전질서 속에서 산업화를 진행하였던 1960∼1970년대 한국 담론 장에서, 과연 소외론이 >저항담론<으로서 지식사회의 의식적 각성에 기여하였는지, 혹은 궁극적으로 대중사회·산업사회를 절대화하는 >위장된 저항담론<으로 기능하였는지를 가늠해 본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Youngkyun}, title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론 정립을 위한 모색: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에 관한 속류화와 혼란들을 넘어 [The Study for the Function of Healing Theory on Historical Trauma: Beyond the Vulgarization and Confusion about th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series = {시대와 철학 [Epoch and Philosophy -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Vol. 33, No. 1 (2022), pp. 115-144.}, journal = {시대와 철학 [Epoch and Philosophy -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Vol. 33, No. 1 (2022), pp. 115-144.}, abstract = {이 글은 우선, 역사적 트라우마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어떻게 다른가를 논의하는 데에서 출발하고 있다. 둘째로, 이 글은 정신분석학이라 는 범주 안에서 프로이트와 다른 정신분석학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논의하 면서 트라우마와 관련하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가진 문제점을 비판적 으로 다루고 있다. 셋째, 프롬의 사회심리학을 다루면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관한 정신분석이 가진 특징을 제시할 것이다. 이런 논의 하에 이 글은 넷 째,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①원초적 트라우마에 반해 후천적 트라우마이며 ②직접 체험하지 않은 2차적 트라우마화라는 점에서 간접적이고, ③체험 당사자 주변을 넘어서 세대 집단 간의 전이를 유발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정신 분석은 사회심리학과 다르다. 또한, 그렇기에 치유도 역사적 트라우마가 유 발하는 PTSD가 유발하는 장애로서 >트리거<들을 제거하는 것이자 민족공동 체 간의 리비도적 흐름을 창출하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Ju-taek}, title =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A Study on the Isolation of Kim Su-young's Poem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 No. 74 (2018), pp. 175-207.}, journal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 No. 74 (2018), pp. 175-207.}, abstract = {김수영은 1945년 등단한 뒤 현실과 자신과의 투쟁 속에서 고립과 무력감을 드러내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통찰로 가득한 절규들을 산문의 형식을 빌려 노래하 였다. 특히 김수영은 4.19를 기점으로 고립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유를 노래하며 현실의 처지를 설움이라고 상정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통일을 좁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소외는 근대의 비인간화와 함께 인간의 문제를 상정하는 중요한 부면을 지니며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소외를 >문단과 자신의 시로부터의 소외<, >생활로부 터의 소외<,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수영이 >조화와 통일<을 가치로 삼았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외는 헤겔과 마르크스를 거쳐 하이데거 그리고 프롬에 이르기까지 근대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하이데거는 기술 문명의 상황이 존재자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허무와 불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며 개인이 관계하고 있는 것이 허망하다는 생각에 빠져 소외에 직면 한다고 말한다. 김수영이 등단 초기 박인환과의 불화와 자신의 시에 대한 무력감을 표현한 것은 고립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또한 생활에 있어서 번역 일을 하면서 이를 청부 번역이라고 한 것이나 마포구 구수동으로 이사한 뒤 닭을 키우며 자신은 변두리 인생이라는 자조에 빠진 것도 소외 때문이었다. 이와는 달리 자기 소외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경증적 증후를 드러낸다. 해방과 4.19 그리고 5.16과 같은 시대적 상황은 김수영에게 있어 설움과 비애와 같은 감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자유, 정의, 양심과 같은 형이상학적 관념들을 요구했다. 그러나 김수영이 소외에 빠진 것은 결국 현실과 사유라는 비동일적 간극 때문이었다. 소외는 소외되기 전의 상황과 소외된 이후의 상황은 다르다. 김수영은 누구보다도 자신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한 시인이었다. 그는 한시도 자신을 방임하지 않았다. 현실과의 싸움만큼 자신과의 싸움을 멈추지 않았다. 현실과 시에 대해 상대적 완성과 절대적 완성을 탐색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을 나아가게 했다. 그 도정을 통해 그는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원리로 삼으며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이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두 이즘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 것도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궁극 원리로 삼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language = {ko} } @article{ParkOh, author = {Park, Jeong-Ae and Oh, Ju-Won}, title = {사랑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ale of Love]}, series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9, No. 3 (2019), pp. 439-448.}, journal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9, No. 3 (2019), pp. 439-448.},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랑에 관한 기존 척도들의 한계를 보완하여 Fromm의 사랑의 개념을 이론적 바탕으로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하는 사랑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기존의 척도들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Fromm의 사랑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Fromm의 사랑에 대한 구성 개념으로 6개 하위영역(자기애, 모성애, 부성애, 형제애, 이성애, 신의 사랑)을 축출하였다. 6개 하위척도에 적합한 기초 100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거쳐 1차 예비문항에서 60문항이 선정되었다. 30~50대 기혼 남녀 32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거쳐 22문항이 제거되고, 868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거쳐 1문항이 제거되어 최종 38문항이 선정되었다. 개발된 사랑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72~.86 사이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사랑의 척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심리발달 단계와 다양한 인간관계의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국내외에서 처음으로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포함한 새로운 차원의 통합적 사랑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In-Cheo}, title = {기술시대와 사랑의 윤리학: 후설, 하이데거, 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 [The Era of Technology and the Ethics of Love: Focusing on the Love Theory of Husserl, Heidegger, and Fromm]}, series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journal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abstract = {문】현대의 기술시대를 특징짓는 것은 기술에 의한 인간의 획일적 지배이다. 이 속에서 인간은 기술의 노예가 된 채 기술체제에 순응하며 살아가기를 강요받는다. 그럼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본성으로부터 멀어진 채 소외된 상태로 살아간다. 이러한 인간소외를 초래하는 기술시대의 극복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윤리학이 필요할 것인가? 전통적인 윤리학이 기반을 두고 있는 이성에 대한 강조만으로는 나름대로 매우 합리적이고 주지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기술시대의 전반적 경향에 대항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기술시대에 가장 결여되어 있는 것은 인간의 감성이다. 그리고 기술시대의 윤리학은 여기에 호소해야만 하나의 설득력 있는 윤리적 대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감성에 바탕을 두면서 동시에 기술시대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간의 능력은 사랑이다. 따라서 기술시대에 대한 하나의 효과적인 윤리적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사랑의 윤리학이다.그러면 기술시대에 적합한 사랑의 윤리학의 모델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여기서 본 글이 고려 대상으로 삼은 철학자는 후설, 하이데거, 프롬이다. 세 사람 모두 기술시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나름대로의 사랑론을 전개했다는 공통적 배경을 지닌다. 그러나 후설의 사랑론은 지나치게 이념적이고 추상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하이데거의 사랑론은 구체성과 현실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후설에 비해 발전적이나 소극적이고 비의지적이라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프롬의 사랑론은 양자의 단점이 비판적으로 극복된 것으로서 타자와의 결합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적 열망에 바탕을 두고 개인적 관념적 사랑이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프롬의 사랑론은 기술시대에서 황폐화되고 있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 있는 대안으로 적절하다. 기술시대의 사랑의 윤리학은 이러한 프롬식의 사랑론에 바탕을 둘 경우 타당한 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Ho-jin}, title = {멕시코 사신 숭배(Culto a la Santa Muerte)의 성격과 盛行의 정신분석학적 원인 분석 [Las caracter{\´i}sticas del culto a la Santa Muerte y su an{\´a}lisis psicoanal{\´i}tico]}, series = {중남미연구 [KJLACS - Korean Journ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udies], Vol. 28, No. 1 (2009), pp. 245-276.}, journal = {중남미연구 [KJLACS - Korean Journ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udies], Vol. 28, No. 1 (2009), pp. 245-276.}, abstract = {El culto a la Santa Muerte es una creencia secular que se incrementa con gran rapidez en el M{\´e}xico del 2009 actual y la presente tesina trata primeramente del origen de su culto, su relaci{\´o}n con la iglesia cat{\´o}lica- ortodoxa y sus caracter{\´i}sticas. Posteriormente, se analiza este tema desde un enfoque psicoanal{\´i}tico. En base a la teor{\´i}a de C.G. Jung, se aclara que el culto es la >sombra(t{\´e}rmino de Jung)< del neoliberalismo aparecida en el subconsciente colectivo mexicano.Tambi{\´e}n se expone que los aztecas ten{\´i}an una tendencia hacia la >necrofilia< en su religi{\´o}n primitiva seg{\´u}n Erich Fromm. Y como conclusi{\´o}n, planteo cuatro premisas. Primero, el culto actual de Santa Muerte proviene de la tradici{\´o}n europea de la Danza Macabre, no obstante, la iglesia cat{\´o}lica no reconoce su legitimidad. Segundo, el culto tiene cuatro principales caracter{\´i}sticas: 1. el sintetismo entre lo europeo y lo ind{\´i}gena, 2. el culto que se enfoca m{\´a}s en la vida mundana, 3. el culto como religi{\´o}n del mercado en el sentido de que se comercializa el culto, 4. el p{\´a}nico por la muerte. Tercero, el culto se propaga por la crisis econ{\´o}mica causada por el neoliberalismo. Los marginados que no fueron beneficiarios de la globalizaci{\´o}n han acogido este culto como >sombra< del neoliberalismo subconscientemente. A pesar de la tradici{\´o}n europea, la tendencia hacia la >necrofilia< ocultada en el subconsciente colectivo de los mexicanos resucita o intensifica esta >sombra<. Cuarto, el culto tiene ambivalencia como tab{\´u}. En otra palabras, tiene dos lados positivo y negativo. El positivo radica en que el culto absorbe y consuela a los marginados afectados por la globalizaci{\´o}n y el negativo es que el culto es una alerta roja a la sociedad mexicana.},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Goo-Yong}, title = {행복의 그림자: 자유와 폭력의 경계에서 [Shadow of Happiness: On the Boundary of Freedom and Violence]}, series = {동서철학연구 (S.P.E.W)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SPEW), No. 70 (2013), pp. 5-33. [ISSN: 1225-1968]}, journal = {동서철학연구 (S.P.E.W)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SPEW), No. 70 (2013), pp. 5-33. [ISSN: 1225-1968]}, abstract = {이 글의 주된 목적은 행복 담론의 빛과 그림자를 밝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나는 자유의 최대화와 폭력의 최소화에 기여하는 행복론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자유와 폭력의 변증법적 관계를 기초로(1), 에피쿠로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나는 행복론이 불행한 의식에 빠지지 않으려면 행복과 불행의 이분법을 벗어나야 하며(2), 목적이나 수단이 아니라 과정으로서 행복을 권리의 지평에서 정당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한다(3). 나아가 나는 프롬과 마르쿠제의 긍정 심리학과 부정 심리학의 경계에서 행복론이 상실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논증한다(4). 마지막으로 나는 행복 담론이 자기침잠과 자기연민에서 나와 바깥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힌다(5).},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ong Tai}, title = {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Pro-lif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series = {생명연구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19 (2011), pp. 11-48.}, journal = {생명연구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19 (2011), pp. 11-48.}, abstract = {이 논문은 대학생의 생명을 위한 교육을 자아실현의 관점과 연결하여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그 실천적인 방법을 제안하려는데에 목적을 둔다. 나는 우선 삶의 목적, 자아실현, 행복개념등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다음으로 전통적 및 현대적 덕목들이 자아실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긍정 심리학<과 >행복 심리학<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한다. >생명개념<에 관한 정의나 이해방식은 참으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해야한다. >생명현상<은 생물학을 비롯한 자연과학과 의학등의 탐구대상이고 >생명의 본질<은 철학적 이론과 기타 인문과학의 연구대상이다. 물론 여러 고등 종교에서도 각기 경전과 교리에 토대를 두고 생명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오늘날 생명의 의의와 존엄성을 드높이려는 교육과 운동에서 내걸고 있는 >생명의 문화<는 >죽음의 문화<의 반대개념이다. 죽음의 문화는 모든 생명을 경시하는 의식과 풍조에서 싹트고 이기주의, 쾌락주의, 물질주의가 그 온상이다. 현대사회에서 만연된 죽음의 문화는 생명의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자의 도덕적 자각과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생명문화의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삶의 방식은 에리히 프롬이 말한대로 >소유의 삶<이 아니라 >존재의 삶<이어야 할 것이다. 생명을 위한 교육은 교양교육의 범위에서 모든 대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목적론적 입장에서 본 행복: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롬을 중심으로 [Happiness from a tele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Aristotle and Fromm]}, series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journal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abstract = {이 연구는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와 헤겔에 이르는 서양철학의 고전적 전통을 지배했던 목적론에 입각하여 행복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이러한 목적론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자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져 있는 본질적인 형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보는 본질실현의 목적론이다.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은 근대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자기보존의 목적론과는 달리 모든 존재자들은 단순한 자기보존이나 종족번식을 넘어서 자신에게 부여된 본질적인 형상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복은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을 전제로 할 경우에만 제대로 구명될 수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사실을 본질실현의 목적론에 입각하여 인간을 파악했던 가장 대표적인 사상가인 아리스토텔레스와 에리히 프롬의 행복관을 고찰함으로써 입증하고자 했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에리히 프롬과의 비교를 통해서 [A Critical Examination of Nietzsche's View on Buddhism and Christianity -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rich Fromm's View]}, series = {현대유럽철학연구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No. 27 (2011), pp. 101-138.}, journal = {현대유럽철학연구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No. 27 (2011), pp. 101-138.}, abstract = {이 글은 니체가 『안티그리스도』에서 개진하고 있는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견해를 프롬의 견해와 대조하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니체의 견해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있다. 니체는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현실을 고통에 가득 찬 부정적인 것으로 보면서내면으로의 도피나 피안으로의 도피를 주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허무주의적이라고 보며, 또한 양자가 모두 생명력의 약화와 퇴화에서 비롯되었으면서도생명력의 약화와 퇴화를 조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데카당스적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반해서 프롬은 종교를 크게 권위주의적인 종교와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대별하면서 불교를 대표적인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보는 반면에 그리스도교에는 두 가지 요소가 섞여 있다고 보고 있다. 프롬은 예수의 참된 정신과 그리스도교 신비주의는 인본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반면에, 이른바전지전능한 신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을 요구하는 제도화된 교회의 교리는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았다. 프롬이 이렇게 종교를 권위주의적 종교와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구별하고 있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니체가 종교를 힘에의 의지를 강건하게 만드는 종교와, 그것을 약화시키고 병들게 하는 종교로 구별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니체가 어떤 종교의 좋고 나쁨은 그 종교가 실재를 얼마나 반영하느냐가 아니라 인간을 얼마나 강건한 존재로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처럼, 프롬역시 어떤 종교의 좋고 나쁨은 그 종교가 인간을 얼마나 정신적으로 성숙한존재로 만드는지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프롬이 부처와 예수를 인류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가치를 제시하고구현한 인류의 사표로 보는 반면에, 니체는 부처와 예수를 결국은 힘에의 의지가 약했던 데카당으로 본다는 점에서 양자는 사실상 입장을 전적으로 달리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양자 간의 차이는 궁극적으로는 『안티그리스도』에서의 니체가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을 주창하는 계몽주의적인 휴머니즘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에 반해 프롬이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데에서 비롯된다. 니체가 계몽주의뿐 아니라 불교나 그리스도교에 나타나고 있는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을 힘이 약한 자들의 자기기만정도로 보는 반면에, 프롬은 오히려 진정한 내적인 힘에서 비롯되는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이 존재하며 그러한 정신적인 능력을 구현하는 것이야말로우리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적 욕망론에 대한 고찰 [Schopenhauer's Metaphysical View of Desire]}, series = {철학사상[The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No. 36 (2010), pp. 85-119.}, journal = {철학사상[The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No. 36 (2010), pp. 85-119.}, abstract = {이 글은 쇼펜하우어의 욕망관과 그것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존재자들이 자기보존에의 욕망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욕망들은 물자체로서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쇼펜하우어는 각 개체들과 종족들은 자신들의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투쟁하고 갈등하는 바 이러한 세계는 생각할 수 있는 세계 중에서 최악의 세계라고 보았다. 쇼펜하우어는 욕망을 극복하는 궁극적인 방법으로 이성에 의한 의지부정을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이는 이성을 자기보존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의 도구로 보는 자신의 철학적 입장과 모순될 뿐 아니라 그의 철학이 이성과 욕망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이원론의 입장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인간의 욕망을 고찰하는 보다 설득력있는 입장으로서 이 글에서는 말미에서 프롬의 욕망관을 간략히 살펴보고 있다. 프롬은 쇼펜하우어나 서양의 전통적인 이원론적인 입장이 주장하는 것처럼 이성과 욕망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건강한 이성에 대해서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병적인 이성이 대립한다고 보았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Ah-cheong}, title =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A psychological review on personality structure in female]}, series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Vol 8, No. 1 (2003), pp. 1-17. [Print ISSN 1229-0726] [accesson.kr/kswp/assets/pdf/14003/journal-8-1-1.pdf]}, journal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Vol 8, No. 1 (2003), pp. 1-17. [Print ISSN 1229-0726] [accesson.kr/kswp/assets/pdf/14003/journal-8-1-1.pdf]},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접근을 여성의 심리 내지 성격에 대한 접근으로 시도되었다. 여성의 자아구조를 논의함에 있어서 프로이트를 위시하여 융, 아들러와 같은 정신의학자들은 물론 여성심리학자로 하는 호나이와 같은 여성심리학자들 조차 여성의 자아구조를 논의함에 있어서 남성을 염두에 둔 생물학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 면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여성의 자아와 정신구조에 대한 이해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임으로 생리적이고 심리적인 측면만으로 단순화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종전의 '남성 아니면 여성'이란 식으로 여성을 논할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간으로서의 여성론이 전개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면서 여성의 자아에 대한 심리학적 측면을 연구함에 있어서도 여성의 생리적, 심리적 측면 이외에 사회적, 역사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