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Entwicklung des Christusdogmas,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psychoanalytische Charakterologie und ihre Bedeutung f{\"u}r die Sozialpsychologie,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U}ber Methode und Aufgabe einer Analytischen Sozialpsychologie,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Robert Briffaults Werk {\"u}ber das Mutterrecht,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17-125.},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17-12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sozialpsychologische Bedeutung der Mutterrechtstheorie,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sozialpsychologische Bedeutung der Mutterrechtstheorie,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36-79.},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36-79.},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elfishness and Self-Love,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97-238.},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97-238.},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ex and Character,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ex and Character,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35-160.},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35-160.},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ex and character,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81-195.},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81-19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Man - Woman,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61-178.},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61-178.},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present human condition,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On the Limitations and Dangers of Psychology,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Psychoanalysis - Science or Party Line?,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Prophetic Concept of Peace,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Medicine and the Ethical Problem of Modern Man,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Revolutionary Character,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et al.: El complejo de Epido: Comentarios al >Analisis de la fobia de un ni{\~n}o de cinco a{\~n}os<,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o We Still Love Life?,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239-257.},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239-25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Marx's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Man,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Crisis of Psychoanalysis,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Freud's Model of Man and Its Social Determinants,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Epilogue,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Humanistic Planning,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Mother Right for Today,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26-132.},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26-132.},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Mother Right for Today,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er Traum ist die Sprache des universalen Menschen,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97-106.},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97-10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Psychologie f{\"u}r Nichtpsychologen,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07-136.},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07-13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Aktualit{\"a}t der prophetischen Schriften,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207-214.},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207-214.},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U}berfluss und {\"U}berdruss in unserer Gesellschaft,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3-68.},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3-68.},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U}ber die Urspr{\"u}nge der Aggression,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69-96.},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69-9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Was ist der Mensch?,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215-226.},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215-22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Liu, author = {Liu, Genzong}, title = {에리히프름의 종교이해에 대한 비판적연구 [A Critical Study of Erich Fromm's Understanding of Religion]}, series = {사회과학연구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 No. 1 (1983).}, journal = {사회과학연구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 No. 1 (1983).}, abstract = {In undertaking this study, the writer became aware of the following problem of study method in theology: skepticism indeed is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theologian's equipment; he must train himself to be disturtful of anything he sees on the printed page unless there seems good reason to believe that it can be trusted. In our theological culture, the printed word is generally regarded with such excessive respect that the grossest errors in fact may go unchallenged for years until the properly skeptical reader comes along. The above stated problem dictated the formulation of this study with the following purpose in mind: to develop a critical study method in theology. Accordingly, Erich Fromm's thought of religion was criticized from such standpoint in this study.}, language = {ko} } @article{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Was Die Deutsche Ideologie Written as an Article of a Quarterly Magazine?}, series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22 (VI/2,. Summer 1993), pp. 624-678.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journal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22 (VI/2,. Summer 1993), pp. 624-678.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Bachofens Entdeckung des Mutterrechts,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7-35.},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7-3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m{\"a}nnliche Sch{\"o}pfung, Korean) [originated 1933]},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80-116.},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80-11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The Problem of Text Editing in the Studies of The German Ideologie}, series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33 (IX/1,. Spring 1996), pp. 402-447.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journal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33 (IX/1,. Spring 1996), pp. 402-447.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language = {ko} } @article{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Intellectual Movement in Germany during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Especially on the Theoretical Radicalism of the Young Hegelians}, series = {Journal of Korean Politics, Seoul Vol. 7 (1997), pp. 139.169.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journal = {Journal of Korean Politics, Seoul Vol. 7 (1997), pp. 139.169.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language = {ko} } @article{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A New Start for the Continuation of MEGA-Project: Notes on the Recent Publication of MEGA IV/3}, series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46 (Summer 1999), pp. 855-881.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journal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46 (Summer 1999), pp. 855-881.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language = {ko} } @article{Song, author = {Song, Jai-ryong}, title = {정신분석학적 종교이해의 가능성과 한계: 에리히 프롬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Religion: Focusing on Erich Fromm]}, series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20 (2002).}, journal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20 (2002).}, language = {ko} } @article{YiKim, author = {Yi, Hyun Oak and Kim, Man Eui}, title = {인간의 공격성과 스포츠 [Sport and Human Aggression]}, series = {학술지명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1, No. 4 (2002), pp. 43-52. [Online ISSN 2508-7029]}, journal = {학술지명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1, No. 4 (2002), pp. 43-52. [Online ISSN 2508-7029]}, abstract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ggression, human`s instinct as the new essence of sport. Through the psychological approach it could be found that the aggression which is human instinct is deeply related with the origin of sport. In relation to the instinct of death Freud has proved that there exists the aggression in human mentality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aggression of sport is related with Thanatos, the instinct of death that Freud said. Fromm, a sociopsychologist expanded the concept of Freud`s aggression and divided the aggression in human mentality as the defensive and positive aggression and destructive and malignant aggression and he saw that sport is related with the malignant aggression. I think we have to discard the attitude just to try to adapt the methodical value of sport although the value of sport exists with human instinct. Sport is the only thing to express and purify the aggression and it is expected to play the important role to create the future culture.}, language = {ko} } @article{Wehr, author = {Wehr, Helmut}, title = {Biophile Alternativen in der Weiterentwicklung der Schule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41-168.},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41-168.},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Bierhoff, author = {Bierhoff, Burkhard}, title = {Gesellschafts-Charakter und Erziehung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21-140.},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21-140.},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Johach, author = {Johach, Helmut}, title = {Gelebter Humanismus - Zeitdiagnose und politisches Engagement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95-117.},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95-11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Hardeck, author = {Hardeck, Juergen}, title = {Humanismus und Religion: Pluralismus der Wege, nicht der Werte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38-259.},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38-259.},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Einleitung: Die Aktualit{\"a}t Erich Fromms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9-25.},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9-2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Psychoanalyse der Gesellschaft. Der Ansatz Erich Fromms und seine Bedeutung f{\"u}r die Gegenwart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9-62.},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9-62.},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itzsche, author = {Fritzsche, K. P.}, title = {Die neue Furcht vor neuen Freiheiten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07-327.},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07-32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Dietrich, author = {Dietrich, Jan}, title = {Religion und Gesellschafts-Charakter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60-281.},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60-281.},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ederking, author = {Frederking, Volker}, title = {Vom Haben zum Sein. Fromms Gesellschaftskritik und die Mystik Meister Eckharts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17-237.},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17-23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Otte, author = {Otte, Rainer}, title = {Es geht um den Menschen! Erich Fromms Bedeutung f{\"u}r eine Weltwirtschaftsethik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28-345.},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28-34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Schmidt, author = {Schmidt, C.}, title = {Der Umgang mit der NS-Vergangenheit im Spannungsfeld zwischen individuellem und gesellschaftlichem Unbewußten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85-306.},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85-30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Pongratz, author = {Pongratz, Ludwig A.}, title = {{\"O}konomisierung der Bildung - Eine Packungsbeilage zu Risiken und Nebenwirkungen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69-191.},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69-191.},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Kalcher, author = {Kalcher, Juergen}, title = {{\"U}ber die Vermessenheit des Messens Sozialer Arbeit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92-214.},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92-214.},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Meyer, author = {Meyer, Gerd}, title = {Gesellschafts-Charaktere in Deutschland. Eine Charaktermauer zwischen Ost und West?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65-94.},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65-94.},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Ah-cheong}, title =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A psychological review on personality structure in female]}, series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Vol 8, No. 1 (2003), pp. 1-17. [Print ISSN 1229-0726] [accesson.kr/kswp/assets/pdf/14003/journal-8-1-1.pdf]}, journal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Vol 8, No. 1 (2003), pp. 1-17. [Print ISSN 1229-0726] [accesson.kr/kswp/assets/pdf/14003/journal-8-1-1.pdf]},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접근을 여성의 심리 내지 성격에 대한 접근으로 시도되었다. 여성의 자아구조를 논의함에 있어서 프로이트를 위시하여 융, 아들러와 같은 정신의학자들은 물론 여성심리학자로 하는 호나이와 같은 여성심리학자들 조차 여성의 자아구조를 논의함에 있어서 남성을 염두에 둔 생물학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 면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여성의 자아와 정신구조에 대한 이해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임으로 생리적이고 심리적인 측면만으로 단순화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종전의 '남성 아니면 여성'이란 식으로 여성을 논할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간으로서의 여성론이 전개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면서 여성의 자아에 대한 심리학적 측면을 연구함에 있어서도 여성의 생리적, 심리적 측면 이외에 사회적, 역사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language = {ko} } @article{Min, author = {Min, Hyoung-Won}, title = {비판이론과 정신분석학 (Ⅰ): 『역사와 계급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부터 초기 계급 의식의 탄생 [Kritische Theorie und Psychoanalyse (I) - Kritische Betrachtung {\"u}ber den Paradigmenwechsel in dem marxistischen Lager von den 1920er- zu den 1930er-Jahren]}, series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38, No. 6 (2004), pp. 33-64.}, journal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38, No. 6 (2004), pp. 33-64.}, abstract = {Dieser Aufsatz macht es sich zu seiner Aufgabe, aufgrund der Betrachtung der politischen Situation der 1930er-Jahre, die sich seit den 20er-Jahren radikal ver{\"a}ndert, die folgende Problematik deutlich zu machen: wie notwendig die Kritische Theorie aus der Luk{\´a}c'schen >Geschichte und Klassenbewusstsein<, die die beiden jeweils die Hauptparadigmen von 20er- und 30er-Jahren im marxistischen Lager vertreten, hervorgehen musste und gerade deshalb wie konsequent sich die Kritische Theorie mit Luk{\´a}cs >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auseinandersetzen musste. Dabei geht es im Kern besonders um die folgenden beiden Probleme: Erstens, aus welchen Grund die Kritische Theorie mittels gr{\"u}ndlicher Revision das Luk{\´a}cs'sche metaphische Totalit{\"a}tskonzept in den interdisziplinare Materialismus umwandeln musste; Zweitens, warum die Einf{\"u}hrung der Psychoanlyse innerhalb des wissenschaftlichen Rahmens des interdisziplin{\"a}ren Materialismus der Kritischen Theorie notwendig war, und wie sich allm{\"a}hlich die Psychoanalyse als zweite Hauptwissenschaft neben der politischen {\"O}konomie behaupten konnte.},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In-Cheo}, title = {기술시대와 사랑의 윤리학: 후설, 하이데거, 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 [The Era of Technology and the Ethics of Love: Focusing on the Love Theory of Husserl, Heidegger, and Fromm]}, series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journal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abstract = {문】현대의 기술시대를 특징짓는 것은 기술에 의한 인간의 획일적 지배이다. 이 속에서 인간은 기술의 노예가 된 채 기술체제에 순응하며 살아가기를 강요받는다. 그럼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본성으로부터 멀어진 채 소외된 상태로 살아간다. 이러한 인간소외를 초래하는 기술시대의 극복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윤리학이 필요할 것인가? 전통적인 윤리학이 기반을 두고 있는 이성에 대한 강조만으로는 나름대로 매우 합리적이고 주지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기술시대의 전반적 경향에 대항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기술시대에 가장 결여되어 있는 것은 인간의 감성이다. 그리고 기술시대의 윤리학은 여기에 호소해야만 하나의 설득력 있는 윤리적 대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감성에 바탕을 두면서 동시에 기술시대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간의 능력은 사랑이다. 따라서 기술시대에 대한 하나의 효과적인 윤리적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사랑의 윤리학이다.그러면 기술시대에 적합한 사랑의 윤리학의 모델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여기서 본 글이 고려 대상으로 삼은 철학자는 후설, 하이데거, 프롬이다. 세 사람 모두 기술시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나름대로의 사랑론을 전개했다는 공통적 배경을 지닌다. 그러나 후설의 사랑론은 지나치게 이념적이고 추상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하이데거의 사랑론은 구체성과 현실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후설에 비해 발전적이나 소극적이고 비의지적이라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프롬의 사랑론은 양자의 단점이 비판적으로 극복된 것으로서 타자와의 결합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적 열망에 바탕을 두고 개인적 관념적 사랑이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프롬의 사랑론은 기술시대에서 황폐화되고 있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 있는 대안으로 적절하다. 기술시대의 사랑의 윤리학은 이러한 프롬식의 사랑론에 바탕을 둘 경우 타당한 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 language = {ko} } @article{Min, author = {Min, Hyoung-Won}, title = {비판이론과 정신분석학(Ⅱ) - 초기비판이론의 학제적 유물론과 프롬 (2005) [Kritische Theorie und Psychoanalyse (II) - Der interdisziplin{\"a}re Materialismus der fr{\"u}hen Kritischen Theorie und Erich Fromm]}, series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42, No. 6 (2005), pp. 69-116.}, journal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42, No. 6 (2005), pp. 69-116.}, abstract = {Dieser Aufsatz befasst sich mit der fr{\"u}hen Phase der Kritischen Theorie in der Geschichte der Frankfurter Schule, die sich vom Jahre 1930 zum Jahre 1938 erstreckt. Sie ist durch die folgenden Vorg{\"a}nge gekennzeichnet: die {\"U}bernahme des Amtes des Institutsdirektors durch Horkheimer; die Teilnahme Fromms an dem Institut im Jahre 1930; die offizielle Teilname Adornos an dem Institut im Jahre 1938; den Austritt Fromms im Jahre 1939. Diese Phase ist f{\"u}r die Frankfurter Schule dadurch gekennzeichnet, dass durch die Mitwirkung Fromms ein konkreter Prozess der Integration der Psychoanalyse in den interdisziplin{\"a}ren Materialismus Horkheimers verwirklicht wird. Er erreicht seinen H{\"o}hepunkt in den im Jahre 1936 ver{\"o}ffentlichten zweib{\"a}ndigen >Studien {\"u}ber Autorit{\"a}t und Familie<. In diesem Beitrag soll dargestellt werden, wie sich diese fruchtbare Zusammen¬arbeit der beiden in ihren f{\"u}hen Werken widerspiegelt, und ferner aus welchem Grund es zu dem Bruch zwischen den beiden kam.}, language = {ko} } @article{Song, author = {Song, Jihyun}, title = {[E.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고찰] A Study on E. Fromm's Escape from Freedom}, series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38, No. 3 (2005), pp 209-237}, journal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38, No. 3 (2005), pp 209-237}, abstract = {우리는 외부 권력으로부터의 자유, 즉 소극적 자유의 신장에 매혹되어, 자유와 그것의 전통적인 적들에게 대항해 얻은 승리의 의미를 훼손할 수 있는 내적인 억압, 강제, 두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는 자유의 문제란 오로지 근대사의 과정에서 얻은 소극적 자유를 훨씬 더 많이 얻는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리고 그런 자유를 부정하는 힘들에 대항해서 자유를 지키는 것이 필요한 전부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이제까지 쟁취한 자유 모두가 최대의 힘으로 지켜져야 하지만, 자유의 문제는 양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질적인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잊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전통적인 자유를 지키고 늘려가야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류의 자유, 즉 우리 자신의 개인적인 자아를 실현하고 이 자아와 삶을 믿을 수 있게 해주는 자유도 획득해야만 한다는 것을 잊고 있다. 따라서 나는 소극적 자유의 실현뿐만 아니라 적극적 자유(개인적 자아실현)의 실현을 위해, 프롬(Fromm, E.)이 분석한 자유로부터의 도피심리와 사회현상을 살펴보고, 프롬이 말한 >적극적 자유<의 의미는 무엇이며, 또한 적극적 자유의 개념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벌린(I. Berlin)의 >자유의 두 개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현대인들이 왜 그렇게 신흥종교에 매료(자유로부터의 도피 수단)되는지를 분석한 앨빈 토플러(Albin Toffler)의 생각도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보다 나은 자유 민주주의 시민을 형성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language = {ko} } @article{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Biographical Postface - Korean),}, series = {E. Fromm, Sarangeui gisul, Seoul (Moonye Publ.), Seoul 2006, pp. 179-207. [Korean by Hwang Mun Su].}, journal = {E. Fromm, Sarangeui gisul, Seoul (Moonye Publ.), Seoul 2006, pp. 179-207. [Korean by Hwang Mun Su].},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Keum-Dong}, title = {김기영의 <하녀>에 나타난 장르 연구 [A Study on Genres in Kim Giyoung's Film >Hanye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영상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Vol. 7, No. 2 (2006), pp. 37-68.}, journal = {문학과 영상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Vol. 7, No. 2 (2006), pp. 37-68.}, abstract = {In 1960s, realist films such as >The Coachman< by Gang Daejin and >An Aimless Bullet< by Yu Hyeonmok depicted with sympathy the poverty-stricken life and desperate circumstances of working class in urban area after war whereas >Hanyeo< [>The Housemaid<] by Kim Giyoeng sternly and sharply analyzed the middle class as well as the working class without emotional involvement as to what kind of economic relationship they had in industrial capitalism and as to what kind of psychological symptoms were induced by the economic relationship. Moreover, the characters in >The Coachman< and >A Aimless Bullet< were those who could not get away from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life style whereas the characters in The Housemaid were completely new people who were cut off from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life style. >Hanyeo< presented that all desires and impulses of the characters who lived in the society of industrial capitalism were completely dominated by the principles of capitalism. Unfortunately,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 movie were not aware of such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theirs at all, and consequently, they could not avoid their misery and devastation. It is not easy to find a film using such an unique mo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s. Moreover …}, language = {ko} } @article{HeoKim, author = {Heo, Wook Jae and Kim, Rando}, title = {소비자소외의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Consumer Alienation]}, series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 2, No. 2 (2006), pp. 21-43.}, journal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 2, No. 2 (2006), pp. 21-43.}, abstract =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consumer alienation<, which forms and impedes the welfare of consumers in modern consumption society. In order to reconceptualize the consumer alienation, the paper delves into the existing discussions by philosophers including Hegel, Marx, Luk{\´a}cs, Fromm, and the Frankfurt School, and positivists such as Seeman, Dean, and others. By rediscovering existing discussions of alienation, the paper defines consumer alienation as >the heteronomic phenomenon that instrumentalize consumers to function as means to fulfill the capitalism, which results in the impediment of consumers' autonomic decision-making<. The authors expect that the study contribute to the conceptualization of various problems evolved from modern consumer society by employing the concept of consumer alienation.}, language = {ko} } @article{Cho, author = {Cho, Eun-pa}, title = {>호텔 유로, 1203<에 나타난 소비사회의 실존 양식 고찰 [Deliberating Existence Types in this Society of Consumption Attested in >Hotel Euro, 1203<]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한국언어문화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JKLC)], No. 34 (2007), pp. 409-435.}, journal = {한국언어문화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JKLC)], No. 34 (2007), pp. 409-435.}, abstract = {>Hotel Euro, 1203< written by Jeong Mi-gyeong is a short story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her novels entitled >Bloodstained lover< and published in 2004. The novel depicts the life of a woman who is absorbed in a consumptive life in the modern rapidly changing society. It remains unchanged that consumption is a basic element of the capitalist society, but, in the modern society, consumption is used not simply to purchase daily necessaries but show off the social status and economic power of a consumer. Such tendencies in the society are given a good insight by >Hotel Euro, 1203<, where the causes and developments of consumers' desires are chased by means of the heroine who cannot control her desire to possess brand-name products. However, as is pointed out by Erich Fromm,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from various perspectives about how human beings having both existence-oriented desires and possession-oriented desires are becoming a consumption-oriented existence. The present author has investigated the above-mentioned writing and found that a decisive cause for changes in the heroine's values is personal hurts inflicted on her in the society where priority is not given to the practical values of a commodity but to the people's preference for it. That is demonstrated in the life of the heroine who was initially existence-oriented but turned to excessively possession-oriented in her later days when her integrity was damaged after she was forced to marry and divorce. Yet, it is a tragedy that her desire for possessions was not originated from inside her but instigated by her imitation of others and, subsequently, can never be satisfied. The novel concerned is raising an issue to be settled by modern people who make much of material values.}, language = {ko} } @article{LimPark, author = {Lim, Sungmin and Park, Meegnee}, title = {유행을 따르게 되는 내적 에너지에 대한 연구 - Masochism 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Inner Energy for Following the Fashion Trend - Focusing on Masochism 션에서]}, series = {한국의류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32, No. 3 (2008), pp. 362-372.}, journal = {한국의류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32, No. 3 (2008), pp. 362-372.}, abstract = {The remarkable tendency shown in recent fashion can be the customer's passiveness, not only their feeling desire for product but also needs for product seem to be made by mass media. So this condition can be thought as the currency of energy for being subjected. The public of fashion eagerly want the fashion style to be suggested for following it. The late Freudian, Erich Fromm said that the reason why individuals demand themselves to follow the masses' move could be explained as the hope against the fear of feeling not being from staying isolated and having no direction. Escaping from this fear, individuals ought to believe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in public. The fashion is willing to be defined as the united condition by individuals in the hope being consolidate in masses against being solitude. Nowadays, people can share many information with internet, the fastest medium, which makes the individuals impatient not to be isolate, thinking other people must contact the information and should feel pressure of taking part in the currency. Even though the style is considered to be awkward for following it, it is frequent exposure on mass media by celebrities wearing the style could soon make a fashion. This is able to show that many customers should incline to consider less about their style or taste, whereas lean to pursue after masses' authority. Recent consumers have propensity to avoid feeling concern about others' criticism, on the other side, they try to chase of the fashion as masses' choice for feeling peaceful. The reason why people recognize not to have clothing to wear in spite of a large wardrobe, it must reflect their needs promoted from outside influence of introducing for new styles.},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Hongkyun}, title = {시민으로부터 도피: 사회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회 구성원 [Escape from Citizenship: Citizens Not Being Free from Social Pressure?]}, series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No. 32, pp. 119-142.}, journal = {사회이론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No. 32, pp. 119-142.}, abstract = {기존의 시민․시민 사회론과 시민사회단체론은 국가-시장-시민 사회의 삼분법에 따르고 있다. 그 삼분법은 모든 사회 구성원을 시민으로 전제하고 있고, 시민․시민 사회는 국가와 시장을 감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모든 사회 구성원이 시민이 아니고, 사회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사회 구성원과 사회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회 구성원을 구별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고 있다. 에리히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독일의 나치의 억압에 독일인들이 굴복하였던 원인을 고립의 공포와 자기 보전의 욕구로 규명하고 있는데 고립의 공포와 자기 보전의 욕구는 다양한 사회 압력에 굴복하게 되는 사회학적 원인으로 원용할 수도 있다. 사회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회 구성원을 구분함으로써 모든 사회 구성원을 시민․시민 사회로 전제해 왔던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기존의 대부분의 논의가 갖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사회 구성원을 시민으로 정의하고 있는 기존의 논의들이 시민 없는 시민운동이나 시민사회단체의 활동과 사회 구성원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를 설명할 수 없었던 이유를 이 논문에서 규명하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Hwang Gee}, title =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Art as the Grounds of the Lived Experience of Being]}, series = {미술교육논총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Vol. 21, No. 3 (2007), pp. 1-22.}, journal = {미술교육논총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Vol. 21, No. 3 (2007), pp. 1-22.}, abstract = {존재란 소유하거나 소유하려고 탐하지 않고 기쁨에 차서 자신의 능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고 세계와 하나가 되는, 그런 실존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교육은 미술을 통해서 가능한데 그 이유는 미술이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물음의 내적 과정이고, 존재론적 한계상황과 이를 극복하려는 성찰적 과정이 미술적 과정이고 이것은 자신의 경험일반에 자리하지 않기에 초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미술교육은 다양한 앎의 방식을 제공하고, 통합을 추구하고, 열정을 경험하고, 자신을 발견하고, 내재적이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도 가진다. 그런 점에서 미술교육이 지식의 습득 정도 보다는 미술활동을 통한 의미체험이나 인간의 성장과 완성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열림은 우리 아이들로 하여금 전환적 계기를 맞이하고 자신의 존재와 마주하게 하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JeongYun, author = {Jeong, Moun-Kwon and Yun, Nam-Hui}, title = {(性)을 통한 합일(合一)의 형상화- 1920-30년대 한국소설을 중심으로 [Consciousness of Unity through Sex - Focused on Korean Novels in the 1920's through the 1930'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한국문예비평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No. 27 (2008), pp. 185-210.}, journal = {한국문예비평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No. 27 (2008), pp. 185-210.}, abstract =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unity of will could be realized through sex in the Korean novels which were written in the special period of the 1920's through 1930's which wer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modernization. Erich Fromm's philosophical speculation was a good criterion to clarify this kind of process. The right way to forward the truth of unity was the very matured love that Erich Fromm talked about. Matured love is to feel the unity in the circumstances the parties respect another's individuality. However, at that time, many people were exposed to poverty due to Japanese colonial polic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prostitution, one way of solution out of poverty, was mixed with the desire lay behind unconsciousness and this resulted in destruction in the end. Characters of Boknea in Gamja (Potato) and Chunho's wife in the novel of Sonagi (A sudden shower) were created at that time. Modern women and men could not be free from sex ideology deeply rooted in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predominance of me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moving forward to the true unity, some people fell in love with in the novels. Some examples are that Yeonsil who fell in love in the novel of >Kim Yeonsil Jeon< and Young Chae who decided to commit suicide because of purity complex in the novel of >Mujeong<. Even, there appeared a character like Soonok in the novel who sanctify sex. However, they found their identity in the end and their actions were proved as transitional phenomenon taking place between the gap of unity and want by showing their will of true unity. Also, there is a character in the novel who agrees the process of unity based on respect for the other sex. Youngshin and Donghyuk in the novel of >Sangroksu< are those examples. It can be said that the love realized by them shows the truth of unity.},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a-Seong}, title =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소외문학의 현실 인식(I) -카프카의 「변신」에 나타난 소외의식을 중심으로 [Untersuchung zur Entfremdung in der Literatur aus soziologischer Sicht (I) - In Bezug auf das Entfremdungsbewusstsein in >Die Verwandlung< Kafka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헤세연구 [Hesse-Forschung], Vol. 19 (2008), pp. 251-267.}, journal = {헤세연구 [Hesse-Forschung], Vol. 19 (2008), pp. 251-267.}, abstract =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ie Bedeutung der Entfremdung und die Problematik der Identit{\"a}t in der modernen Industriegesellschaft. Es geht um die Entfremdung im Dasein des Menschen und den Verlust an der Beziehung zwischen >Ich< und >Welt<. Erstens sind nach Auffassung in diesem Beitrag die moderne Gesellschaft und die Entfremdung, Begriff und Ursache der Entfremdung, Erkenntnis der Entfremdungsstruktur sowie Verdinglichung, Konfliktstruktur und Zerst{\"o}rung des Subjekts unserer Zeit eingepr{\"a}gt. Im Hinblick auf theoretische Forschungen diskutieren wir Hegel und Marx vom philosophischen Gesichtspunkt, Melvin Seeman vom soziologischen Gesichtspunkt, und Erich Fromm vom psychologischen Gesichtspunkt aus. Im Allgemeinen l{\"a}sst sich sagen, dass die in die industriellen Strukturen eingebundenen Menschen an den Leistungsanforderungen zerbrechen k{\"o}nnen. Die Leistungssteigerung in s{\"a}mtlichen Facetten betrifft nicht nur den Arbeiter und Manager, sie betrifft auch den Autor, weil Umsatzsteigerung in jedem Betrieb Pflicht ist. In einer von N{\"u}tzlichkeit und Gleichg{\"u}ltigkeit beherrschten Gesellschaft steht der Mensch im Gegensatz zur Welt und zu sich selbst. Zweitens werden in Bezug auf >Die Verwandlung< Kafkas die Entfremdung des Menschen und der Verlust der Identit{\"a}t im literarischen Sinnbild angesprochen. F{\"u}r den heutigen Menschen ist die Zerrissenheit seines Lebens und seiner Welt charakteristisch. >Die Verwandlung< stellt die Gestalt des heutigen Menschen bloß, der an dem großen Mechanismus der heutigen industriellen Gesellschaft j{\"a}mmerlich zu Grunde geht. Es l{\"a}ge zun{\"a}chst nahe, die Verwandlung vom Menschen ins Tier als Identit{\"a}tsverlust aufzufassen. Denn die Verwandlung ins Tierhafte bedeutet zwar den Verlust der Sprache, die auf tierische Laute reduziert ist, einen Wechsel in der Nahrungsaufnahme und in einem r{\"a}umlichen Sichfortbewegen, also eine Reduktion der vitalen Organisation auf eine rein tierische Stufe; aber das Bewußtsein des Verwandelten ist ein rein menschliches, und er ist {\"u}berdies durchaus imstande, menschliche Vorg{\"a}nge und Gespr{\"a}che aus seiner Umgebung aufzunehmen. Gregor ist zwar in ein widerw{\"a}rtigrs Tier verwandelt, aber er h{\"o}rt darum nicht auf, Gregor zu sein. Mit der >Verwandlung< bleibt Kafka in der Ausweglosigkeit des mytischen Kreises gefangen, wo Opfer und Selbstopfer ununterscheidbar werden. Kafka sah sein >Ich< im Unheil und meinte zu erkennen, dass einzig im Leiden des Todes ein Zustand des Heils erreicht werden k{\"o}nne. So war es sein Bestreben, dichtend den Tod herbeizuf{\"u}hren, um auf diese Weise sein Seelenheil zu erringen.}, language = {ko} } @article{Suh, author = {Suh, Yusuk}, title =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성찰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Crisis of Democracy in Korea]}, series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50, No. 3 (2008), pp. 1-20.}, journal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50, No. 3 (2008), pp. 1-20.}, abstract = {본고는 근자에 이슈가 되고 있는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반성으로서 다음 네 가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본고는 >한국 민주주의 위기<의 근원을 다름 아닌 <개혁의 실패 내지는 지체>에서 찾고자 한다. 둘째로, 민주주의 위기론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민주세력 무능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여기서는 민주 세력의 중요한 실책으로 >시민적 동의획득의 실패<를 지적하고 그 의미를 탐색해 보겠다. 세 번째로 보수화의 군중심리에 나타나고 있는 >박정희 신드롬<의 위험에 대해서 그리고 참여민주주의의 당위적 과제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결론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진보 세력 일반의 과제로서 >대안적 사회모델의 정립<, >국민적 동의획득의 노력<, >참여와 연대 문화의 확산<을 지적하고 이러한 상황이 철학에 부과하는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language = {ko} } @article{Han, author = {Han, Hyong-Jo}, title = {기氣의 자연과 인간 - 주자학의 미분화적 교호적 사고 논구 [Man and Nature in the Way of Qi - A Study of Zhu Xi's Undifferentiated and Correlational Thinking]}, series = {다산학 [Journal of TASAN Studies], No. 14 (2009), pp. 111-140.}, journal = {다산학 [Journal of TASAN Studies], No. 14 (2009), pp. 111-140.}, abstract = {이 논문은 주자학의 근본적 곤혹 하나를 파고든 시도이다. 이제까지의 접근과는 달리 혹시 자연과 인간의 엄밀한 이분법 자체가 역사적 산물이 아닐까 하고 접근한다. 세계는 하나이지만 세계관은 여럿이다. 인간은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는 수많은 방식을 갖고 있기에, 누구도 독점적 정당성을 고집할 수 없다. 다룰 논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인간과 자연의 상관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자연과 윤리의 미분화이다. 1) 자연의 의인화와 자연-인간동형론의 연원은 오래되었다. 주자학은 기氣의 풀 속에서 인간과 자연은 물리적으로 교환되고 있다고 말한다. 인식론적으로 사태는 주관을 통해서만 알려지며, 그런 점에서 사실과 가치 사이에 엄밀한 선을 그을 수 없다는 것을 참고하자고 했다. 2) 자연과 도덕의 엄밀한 구분은 인간 본성의 불신에 기반하고 있다. 과연 윤리는 자연성의 억압 혹은 극복에서 자라는가. 도덕을 자연적 본성의 확인과 그 실현이라고 생각한 동서의 현자들이 많다. 그들은 주자가 이理를 사물의 질서이자 도덕적 지향으로 읽는 데 거부감을 갖지 않을 것이다. 보통은 납득하기 어렵다. 자신의 본성에 대해 무지하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language = {ko} } @article{Jeong, author = {Jeong, Seok-kwon}, title = {알란 퍼스트의 『외신 특파원』 연구 - 자유, 정체성 그리고 사랑 [A Study of Alan Furst's >The Foreign Correspondent<: Liberty, Identity and Lov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36 (2009), pp. 357-375.}, journal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36 (2009), pp. 357-375.}, abstract = {Alan Furst's >The Foreign Correspondent< is mainly about the life of Italian intellectuals who had fled Mussolini's fascist government and found uncertain refuge in Paris. Their life is that of >diaspora< since as the etymological meaning of >diaspora< suggests, they had to leave their home country and to lead very precarious lives in a foreign country. Their life is dangerous as well as uncertain because they resisted fascism by publishing clandestine press that smuggled news and resistance messages from Paris back to Italy. Their lives can be traced as the pursuit of freedom. According to Eric Fromm, the freedom can be viewed as >the passive freedom< and >the active freedom<. This paper follows how Carlo Weisz,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whose job is a foreign correspondent, becomes to achieve the active freedom from the life of passive freedom. As a conclusion, this paper will discuss how Weisz achieves his identity through liberty and love.},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Ho-jin}, title = {멕시코 사신 숭배(Culto a la Santa Muerte)의 성격과 盛行의 정신분석학적 원인 분석 [Las caracter{\´i}sticas del culto a la Santa Muerte y su an{\´a}lisis psicoanal{\´i}tico]}, series = {중남미연구 [KJLACS - Korean Journ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udies], Vol. 28, No. 1 (2009), pp. 245-276.}, journal = {중남미연구 [KJLACS - Korean Journ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udies], Vol. 28, No. 1 (2009), pp. 245-276.}, abstract = {El culto a la Santa Muerte es una creencia secular que se incrementa con gran rapidez en el M{\´e}xico del 2009 actual y la presente tesina trata primeramente del origen de su culto, su relaci{\´o}n con la iglesia cat{\´o}lica- ortodoxa y sus caracter{\´i}sticas. Posteriormente, se analiza este tema desde un enfoque psicoanal{\´i}tico. En base a la teor{\´i}a de C.G. Jung, se aclara que el culto es la >sombra(t{\´e}rmino de Jung)< del neoliberalismo aparecida en el subconsciente colectivo mexicano.Tambi{\´e}n se expone que los aztecas ten{\´i}an una tendencia hacia la >necrofilia< en su religi{\´o}n primitiva seg{\´u}n Erich Fromm. Y como conclusi{\´o}n, planteo cuatro premisas. Primero, el culto actual de Santa Muerte proviene de la tradici{\´o}n europea de la Danza Macabre, no obstante, la iglesia cat{\´o}lica no reconoce su legitimidad. Segundo, el culto tiene cuatro principales caracter{\´i}sticas: 1. el sintetismo entre lo europeo y lo ind{\´i}gena, 2. el culto que se enfoca m{\´a}s en la vida mundana, 3. el culto como religi{\´o}n del mercado en el sentido de que se comercializa el culto, 4. el p{\´a}nico por la muerte. Tercero, el culto se propaga por la crisis econ{\´o}mica causada por el neoliberalismo. Los marginados que no fueron beneficiarios de la globalizaci{\´o}n han acogido este culto como >sombra< del neoliberalismo subconscientemente. A pesar de la tradici{\´o}n europea, la tendencia hacia la >necrofilia< ocultada en el subconsciente colectivo de los mexicanos resucita o intensifica esta >sombra<. Cuarto, el culto tiene ambivalencia como tab{\´u}. En otra palabras, tiene dos lados positivo y negativo. El positivo radica en que el culto absorbe y consuela a los marginados afectados por la globalizaci{\´o}n y el negativo es que el culto es una alerta roja a la sociedad mexicana.},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in-Han}, title = {무엇이 유능한 성인교육의 교수자로 만드는가: 사랑으로 가르치는 따름학(followgogy)의 관점을 중심으로 [Who is The Great Instructor?: A Point of View >Followgogy< to Teach with Love]}, series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1 (2010), pp. 1-20.}, journal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1 (2010), pp. 1-20.}, abstract = {유능한 교수자가 된다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의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절실한 과제이고 바람이다. 페다고지 교육현장이든 안드라고지의 교육현장이든 가르치는 자의 능력이 교육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기에 유능한 교수자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사랑으로 가르치는 것의 의미와 실천적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랑으로 가르치는 진정한 의미는 모호하며 사랑에 대한 의미부터 해석을 달리 할 수 있다. 에릭 프롬은 사랑의 의미와 방법적인 문제를 논하고 있지만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가르침을 위한 사랑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본고는 유능한 교수자가 되기 위해 가르침의 가장 원론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사랑으로 가르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사랑의 실천적 관점에서 교육의 현장을 분석하고 실천적 사랑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랑을 이해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의 괴리를 채워줄 함축적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인 가르침의 황금률은「남에게 대접받기 원하면 먼저 대접하라」는 예수의 사랑의 실천 원리가 최상의 방법이 될 수 있고 이는 따름의 학습 원리 즉 따름학의 실천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Hongkyun}, title = {사회 압력으로서 일반화된 타자들의 사회 기대 [The Social Expectation of Generalized Others as a Form of Social Pressure]}, series = {사회와 이론 [Society and Theory], No. 16 (2010), pp. 47-78.}, journal = {사회와 이론 [Society and Theory], No. 16 (2010), pp. 47-78.}, abstract = {에밀 뒤르케임이 사고와 행위의 집합적 양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위대한 사회학적 대상의 발견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사고와 행위의 집합적 양식을 도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과 동일시했다. 이후 조지 허버트 미드나 악셀 호네트 등의 사회학 이론가들 역시 >일반화된 타자들의 집합적 힘<을 도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과 동일시하고 있다. 반면 허버트 마르쿠제, 에리히 프롬, 알랭 투렌 등의 학자들은 개인이 사회로부터 비합리적인 강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주장을 하면서, 시장이나 국가에 의한 강제를 문제시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두 학자군에 의해서 조명되지 못한, 사회의 영향에 의한 개인의 행위 부분이 있음을 논증한다. 일반화된 타자들이 공유하는 비합리적 집합적 힘 역시 강하게 작동되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가부장적 권위주의, 사회적 과시, 인종차별, 연고·연줄주의 등의 형태로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집합적 힘이 존재하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Jaeil}, title = {루돌프 옷토의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 [A Study on Educational Implication of Rudolf Otto's Religious Experience]}, series = {종교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KJRE)], Vol. 32 (2010), pp. 249-262.}, journal = {종교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Religious Studies (KJRE)], Vol. 32 (2010), pp. 249-262.}, abstract = {이 논문의 목적은 종교 체험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루돌프 옷토가 말하는 종교적 감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종교 체험은 종교를 이해하는 주요한 대상이다. 종교 체험은 매우 다양하지만 공통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종교 체험의 감정적 측면에 주목한 옷토는 종교 체험을 성스러움의 체험으로 이해한다. 그는 이를 피조물 감정, 두려운 신비감, 매혹성, 어마어마함, 장엄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성스러움의 체험 내용은 두려움과 매혹으로 대비되어 이해할 수 있다. 바하는 옷토가 종교 체험을 두려움과 매혹성으로 구분한 것을 높게 평가하였다. 필자는 두려움과 매혹의 양극성으로 구분되는 종교적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주목한다. 종교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부성애와 모성애의 교육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두려움과 매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교육적 작동방식을 살펴보았다. 프롬에 의하면 부성애는 조건적이고 인위적인 것이고 모성애는 무조건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유아에게 부성애는 존경심을 형성하고 모성애는 안정감을 형성한다. 유아는 이러한 마음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관계를 맺어가게 된다. 카를 융은 인간은 양극적 요소를 통합하면서 인격을 성숙하게 된다고 하였다. 옷토가 주장하는 종교체험도 인격의 형성과 관계된다. 두려움은 인간이 자신을 반성하고 바로잡아가도록 하고, 매혹성은 성스러운 존재에게 다가가 평온과 행복에 취하게 한다. 결국 두려움과 매혹성의 종교 체험은 부성과 모성의 사랑과 유사한 교육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적 욕망론에 대한 고찰 [Schopenhauer's Metaphysical View of Desire]}, series = {철학사상[The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No. 36 (2010), pp. 85-119.}, journal = {철학사상[The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No. 36 (2010), pp. 85-119.}, abstract = {이 글은 쇼펜하우어의 욕망관과 그것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존재자들이 자기보존에의 욕망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욕망들은 물자체로서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쇼펜하우어는 각 개체들과 종족들은 자신들의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투쟁하고 갈등하는 바 이러한 세계는 생각할 수 있는 세계 중에서 최악의 세계라고 보았다. 쇼펜하우어는 욕망을 극복하는 궁극적인 방법으로 이성에 의한 의지부정을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이는 이성을 자기보존과 종족보존에의 욕망의 도구로 보는 자신의 철학적 입장과 모순될 뿐 아니라 그의 철학이 이성과 욕망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이원론의 입장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인간의 욕망을 고찰하는 보다 설득력있는 입장으로서 이 글에서는 말미에서 프롬의 욕망관을 간략히 살펴보고 있다. 프롬은 쇼펜하우어나 서양의 전통적인 이원론적인 입장이 주장하는 것처럼 이성과 욕망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건강한 이성에 대해서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욕망과 그것과 결합된 병적인 이성이 대립한다고 보았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eong-shin}, title = {이성복 시에 나타난 소외 극복 과정 고찰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와 『남해금산』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Isolation Shown in Lee Sung-bok's Poems: Focusing on >Dwing-guneun dol-eun eonje jam kkaeneunga?< and >Namhaegeumsan<]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44 (2011), pp. 179-200.}, journal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44 (2011), pp. 179-200.}, abstract = {이성복은 한국의 198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병든 시대 의식을 >정든 유곽<에 빗대어 파악한 빼어난 감수성을 보여준다. 유곽은 병원, 기차역, 시장과 함께 인생을 연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로, 시적 화자에게 병든 징후를 드러내는 공간이다. 본고는 이성복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평자나 논자들이 간과한 프롬의 소외론에 논의의 근거를 두었다. 프롬에 의하면, 소외의 근원이 자연으로부터, 사회로부터, 이웃이나 타자로부터, 심지어는 자기 자신이나 자아로부터 소외됐다는 것이다. 이런 면을 이성복 시에 적용하여 분석의 틀로 삼았다. 프롬에 의하면, 사랑이란 분리된 것을 결합하고, 소외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성복은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에서 당시의 고통스런 시대상을, 『남해금산』에서는 치욕적인 현실로부터 사랑에 이르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고통 속에 내재된 치욕이야말로 사랑이라는 인식에 이른 결과이다. 즉 사랑은 아픔이며 그 아픔을 통과할 때만이 아픔 속에 내재된 소외를 극복할 수 있으며, 그런 아픔의 인식이야말로 치유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국 이성복은 >뒹구는 돌<이라는 혼란스런 의식 내부의 공간에서 >남해금산<이라는 열린 공간으로의 끊임없는 자기 소외 극복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m-hyung}, title =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The Education of Reading as a Lifelong Education]}, series = {국어교육학연구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1 (2011), pp. 29-52.}, journal = {국어교육학연구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1 (2011), pp. 29-52.}, abstract = {본고는 우리나라의 성인들의 독서율이 OECD 국가에서 최하위에 위치한다는 문제가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이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고는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관을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존재양식의 독서에 찾고 있다. 즉, 우리의 독서와 독서교육은 소유양식의 독서에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강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독서가 지식을 소유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존재양식으로 승화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의 독서계는 문학 독서와 설명적 글의 독서를 전혀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문학 작품의 독서에서는 삶의 고양과 같은 목적을 명시하는데 반해 설명적 글의 독서에서는 단지 정보처리에 주된 관심을 둔다. 그러나 프롬의 설명대로 문학 작품의 독서나 설명적 글의 독서에 소유양식과 존재양식이 모두 가능하다면, 설명적 글의 독서라고 해서 정보처리라는 울타리에 가둘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를 위해서 독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는 먼저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인 독서교육이란 사실적 독해와 같은 기초적인 독해력을 충실히 양성하고 비판적 독해와 같은 고수준의 독서로 나아가야 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독서교육이 기존의 입시 위주의 독서교육에서 벗어나 독서 경험이 자신의 관심과 삶과 관련을 맺고, 독서가 끝이 없는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이며 몰입하여 기쁨을 누리는 과정이라는 의미 있고 재미있는 독서 경험이 중심이 되는 독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Kyeong-Hwa}, title = {『주홍글씨』와 『와인즈버그, 오하이오』에 등장하는 패배자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osers Who Appear in >The Scarlet Letter< and >Winesburg, Ohi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영어영문학연구 [The Jungang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3, No. 2 (2011), pp. 217 231.}, journal = {영어영문학연구 [The Jungang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3, No. 2 (2011), pp. 217 231.}, abstract = {Back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rich Fromm, a famous psychologist, claimed that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are based on trading economy, because modern people do not have faith in the moral principles by which life ought to be guided. However, according to Fromm, such business relations are not in harmony with human nature. As Fromm pointed out, today's human relations are problematic, considering that they are based on trading economy rather than moral values.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problems of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with its focus on the win-or-lose culture. And >The Scarlet Letter< and >Winesburg, Ohio< are examined to this end. Both of the novels were written during the transient period when America changed from a traditional society to a modern society. For this reason, these novels disclose the bad effects of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bad effects on human relations. Hester Prynne, the heroine of >The Scarlet Letter<, is a loser in the sense that she was outcast and despised by the surrounding people during her lifetime. The inhumane behaviors of the Puritans toward Hester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istic anxiety caused by Calvinism. Similarly, modern people are suffering from individualistic anxiety, even though it is not in terms of religion. And the individualistic anxiety represses human nature that loves righteousness and morality. The immoral and inhumane behaviors done in the name of loser today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Winesburg, Ohio< criticizes that industrialization undermined the foundation of human relations. In the short story >Godliness<, Jesse Bentley is obsessed with the desire for success, which causes conflicts and alienation in his relationship with his daughter. Meanwhile, >Paper Pills< suggests that the experience of losing can be valuable, because it teaches us how to understand people with compassion. In conclusion, it seems that what improves the world eventually is love, not competition.}, language = {ko} } @article{Hong, author = {Hong, Soon-Won}, title = {에리히 프롬의 정신분석학적 윤리 - >자기애< 개념을 중심으로 [Erich Fromm's Ethics of Psychoanalysis -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rcissism]}, series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 No. 74 (2011), pp. 229-246.}, journal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 No. 74 (2011), pp. 229-246.}, abstract = {The doctrine that love for oneself is identical with selfishness and that it is an alternative to love for others has pervaded theology and the pattern of daily life. Fromm tries to distinguish the selfishness from self-love. He insisted that love for one person implies love for man as such. From this, it follows that my own self, in principle, is as much an object of my love as another person. Fromm finds the crisis of contemporary culture not in the egoism but in the lack of self-concern. According to his point of view, the self-love is the very ground of neighborly love, as the self-hatred causes the hatred to others. The selfish person falls in fact short of self-love. The selfish person has first of all to overcome his Narcissism in order to fulfill the self-love. The self-love includes the aspect of agape, since it identifies itself with the object of love. It has social dimension, while the Narcissism has a tendency to be controlled by the natural instinct. The characteristics of Fromm's idea on self-love lies in his attempt to distinguish it from narcissism as well as from selfishness.},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에리히 프롬과의 비교를 통해서 [A Critical Examination of Nietzsche's View on Buddhism and Christianity -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rich Fromm's View]}, series = {현대유럽철학연구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No. 27 (2011), pp. 101-138.}, journal = {현대유럽철학연구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No. 27 (2011), pp. 101-138.}, abstract = {이 글은 니체가 『안티그리스도』에서 개진하고 있는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견해를 프롬의 견해와 대조하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니체의 견해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있다. 니체는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현실을 고통에 가득 찬 부정적인 것으로 보면서내면으로의 도피나 피안으로의 도피를 주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허무주의적이라고 보며, 또한 양자가 모두 생명력의 약화와 퇴화에서 비롯되었으면서도생명력의 약화와 퇴화를 조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데카당스적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반해서 프롬은 종교를 크게 권위주의적인 종교와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대별하면서 불교를 대표적인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보는 반면에 그리스도교에는 두 가지 요소가 섞여 있다고 보고 있다. 프롬은 예수의 참된 정신과 그리스도교 신비주의는 인본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반면에, 이른바전지전능한 신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을 요구하는 제도화된 교회의 교리는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았다. 프롬이 이렇게 종교를 권위주의적 종교와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구별하고 있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니체가 종교를 힘에의 의지를 강건하게 만드는 종교와, 그것을 약화시키고 병들게 하는 종교로 구별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니체가 어떤 종교의 좋고 나쁨은 그 종교가 실재를 얼마나 반영하느냐가 아니라 인간을 얼마나 강건한 존재로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처럼, 프롬역시 어떤 종교의 좋고 나쁨은 그 종교가 인간을 얼마나 정신적으로 성숙한존재로 만드는지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프롬이 부처와 예수를 인류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가치를 제시하고구현한 인류의 사표로 보는 반면에, 니체는 부처와 예수를 결국은 힘에의 의지가 약했던 데카당으로 본다는 점에서 양자는 사실상 입장을 전적으로 달리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양자 간의 차이는 궁극적으로는 『안티그리스도』에서의 니체가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을 주창하는 계몽주의적인 휴머니즘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에 반해 프롬이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데에서 비롯된다. 니체가 계몽주의뿐 아니라 불교나 그리스도교에 나타나고 있는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을 힘이 약한 자들의 자기기만정도로 보는 반면에, 프롬은 오히려 진정한 내적인 힘에서 비롯되는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이 존재하며 그러한 정신적인 능력을 구현하는 것이야말로우리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ong Tai}, title = {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Pro-lif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series = {생명연구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19 (2011), pp. 11-48.}, journal = {생명연구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19 (2011), pp. 11-48.}, abstract = {이 논문은 대학생의 생명을 위한 교육을 자아실현의 관점과 연결하여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그 실천적인 방법을 제안하려는데에 목적을 둔다. 나는 우선 삶의 목적, 자아실현, 행복개념등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다음으로 전통적 및 현대적 덕목들이 자아실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긍정 심리학<과 >행복 심리학<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한다. >생명개념<에 관한 정의나 이해방식은 참으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해야한다. >생명현상<은 생물학을 비롯한 자연과학과 의학등의 탐구대상이고 >생명의 본질<은 철학적 이론과 기타 인문과학의 연구대상이다. 물론 여러 고등 종교에서도 각기 경전과 교리에 토대를 두고 생명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오늘날 생명의 의의와 존엄성을 드높이려는 교육과 운동에서 내걸고 있는 >생명의 문화<는 >죽음의 문화<의 반대개념이다. 죽음의 문화는 모든 생명을 경시하는 의식과 풍조에서 싹트고 이기주의, 쾌락주의, 물질주의가 그 온상이다. 현대사회에서 만연된 죽음의 문화는 생명의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자의 도덕적 자각과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생명문화의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삶의 방식은 에리히 프롬이 말한대로 >소유의 삶<이 아니라 >존재의 삶<이어야 할 것이다. 생명을 위한 교육은 교양교육의 범위에서 모든 대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목적론적 입장에서 본 행복: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롬을 중심으로 [Happiness from a tele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Aristotle and Fromm]}, series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journal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abstract = {이 연구는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와 헤겔에 이르는 서양철학의 고전적 전통을 지배했던 목적론에 입각하여 행복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이러한 목적론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자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져 있는 본질적인 형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보는 본질실현의 목적론이다.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은 근대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자기보존의 목적론과는 달리 모든 존재자들은 단순한 자기보존이나 종족번식을 넘어서 자신에게 부여된 본질적인 형상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복은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을 전제로 할 경우에만 제대로 구명될 수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사실을 본질실현의 목적론에 입각하여 인간을 파악했던 가장 대표적인 사상가인 아리스토텔레스와 에리히 프롬의 행복관을 고찰함으로써 입증하고자 했다.}, language = {ko} } @article{Ahn, author = {Ahn, Joon-Suk}, title = {카를로스 히메네즈의>House and Studio<에 보이는 생장성(生長性)의 지역적 의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Growth in Carlos Jim{\´e}nez's >House and Studi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ol. 14, No. 2, (2012), pp. 11-18.}, journal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ol. 14, No. 2, (2012), pp. 11-18.}, abstract = {Carlos Jimenez's >House and Studio< was self-designed to fully function as both a home and workplace.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3, the installation has been continuously updated for almost 30 years solely under the guidance of the owner's life occurrences and routine needs. The additions and alterations succeeding the building's erection were executed to incorporate small yet symbolic fragments of the resident's memories and life episodes. The particularity of the >House and Studio< can be compared with other residential remodeling and expansion projects in regards to certain key aspects. These means of comparis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uilding strictly under the direction of a master plan of development vs. allowing natural adaptations that comply with the resident's needs, rapid development vs. gradual advancement, the ornamenting by exposing showy features vs. the enhancing by addition of modest natural components, sustainability vs. sustenance, systematic room divisions vs. ambiguous spatial organization, possession as a materialized asset vs. preservation as a recollection of memories, and finally the recognition as one example of signature architecture vs. the witnessing of a maturing animated shelter. The given propositions can be further explained with the comprehension of Erich Fromm's theory of the >Having< mode and >Being< mode, two mechanisms that categorize the essence of human life. The >Having< mode is described by the human greed for wealth, power, and influence, whereas the >Being< mode is comprised of compassion, joy, and productivity. Fromm's thesis applies to the general sense of human life, but the ideas can be narrowed to accommodate the architectural standpoint. In architecture, the >Having< mode can be translated to be the conspicuous form-oriented and self-contained object. The 'Being' mode, on the other hand, is transposed as the more natural form, incorporating the needs of the owner before commercialization. The growth of Jimenez's >House and Studio< can be perceived as an architectural suggestion to the overcoming of human indifference caused by fixation on the >Having< mode.}, language = {ko} } @article{An, author = {An, Seok}, title = {[성숙에 관한 기독교상담학적 연구 -정신분석 및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hristian Counseling for Maturity -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Psychoanalysis and the Humanistic Psychology]}, series = {신학과 실천 [Theology and Praxis], No. 32 (2012), pp. 397-427.}, journal = {신학과 실천 [Theology and Praxis], No. 32 (2012), pp. 397-427.}, abstract = {본 논문은 인간의 성숙에 관한 기독교상담학적 연구로서, 정신분석 및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긍정심리학의 태동 이전부터 자기실현적 입장을 지닌 상담심리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성숙한 인간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왔음을 밝혔다. 연구자는 프로이트가 성숙한 인간상으로서의 욕망의 절제를 설명하고 있는 성격의 삼원구조이론(tripartite theory of personality), 프롬의 성숙한 인간상으로서의 >생산적 인간(productive person)< 에릭슨의 인간의 근원적 힘으로서의 >덕(virtue)<을 살펴보았다. 그 후에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에서 올포트(G. Allport)의 건강한 성격으로서의 >성숙한 인격(mature person)<, 매슬로우(A. Maslow)의 성숙한 인간으로서의 >자기실현적 인간(self-actualizing person)<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후에 기독교상담적 측면에서 성숙에 대한 성서적 관점, 긍정적인 자기변화의 성숙을 위한 >희망(hope)<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는 성숙에 관한 심리학을 기독교 전통에서 고찰하면서 성숙의 의미가 성서적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개인의 성숙을 위해 지속적으로 신앙 안에서 돌보는 자와의 관계 안에서 희망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마무리 하면서, 인간의 성숙에 관한 일반상담심리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동시에 기독교상담학적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특히 기독교상담자들은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는 성령의 능력과 인도를 통하여 온다는 것을 인식하기에 기독교상담학적 관점에서 앞으로 다루어야 과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language = {ko} } @article{ChoKang, author = {Cho, In Sook and Kang, Hyeon-Suk}, title =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특징과 시사점 탐구 [Bruner's Narrative and Its Suggestions]}, series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Vol.1, No.1 (2013), pp. 5-24.}, journal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Vol.1, No.1 (2013), pp. 5-24.}, abstract = {우리나라의 근대 학교교육은 초기에는 생존을 위한 기술을 중시하였고, 생존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자 경제적인 부(富)와 명예를 보장하는 지식을 중시하였다. 보다 유용한 지식의 추구에서 경쟁이 일상화되었고 이로 인해 여러 부분에서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간과할 수 없는 격차와 소외 또한 발생하였다. 본고에서는 Erich Fromm이 『소유냐 존재냐』에서 경고한 바와 같이 현재 학교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인간소외 현상은 교육이 지식을 소유하고 소비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존재에 관심을 돌려 교육주체의 체험과 실천을 통해 주체를 성장하게 하고 그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찾고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데 주력해야 하는데 가장 적절한 수단으로 Jerome S. Bruner가 논의한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중반 Bruner의 인식론에 변화가 생긴 시기를 기점으로 전기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인 '지식의 구조'와 후기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인 '내러티브'의 특징과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내러티브가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language = {ko} } @article{Lim, author = {Lim, Chai-Kuang}, title = {소외개념에 대한 프롬과 마르쿠제의 정신분석학적 해명 [Technik und Entfremdung: Eine psychologische Untersuchung nach Fromm und Marcuse]}, series = {동서철학연구 [S.P.E.W -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No. 67 (2013), pp. 385-407.}, journal = {동서철학연구 [S.P.E.W -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No. 67 (2013), pp. 385-407.}, abstract = {프롬과 마르쿠제에 의하면 우리사회의 소외문제가 심각히 대두된 배후에는 기술과 과학의 전체주의적 속성과 자본주의적 산업논리가 기술을 동원하여 인간과 사회를 폭력적으로 지배하는데 그 핵심에 있다고 보았다. 아울러 두 철학자간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1, 사회과학적 방법론과 정신분석학을 접목시키는 학제간 연구를 연구방법론으로 채택, 2, 존재론적 측면에서 현실과 초월적 세계의 2원론적 구조를 취함, 3. 현대 기술사회를 반이성적이고 반생명적으로 봄. 또한 이들은 건전한 사회를 위한 구상 및 전망에 있어서도, 혁명적 인간상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데 그 유사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마르쿠제와 프롬 사이의 이견에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1, >소외< 개념에 있어서 마르쿠제는 일종의 퇴행이자 해결해야하는 사회구조적 병폐로 보고 있는 반면에 프롬은 마르쿠제와 달리 >사회적 병폐로서의 소외<로만 분류하지 않고 >존재론적 문제로서의 소외<로도 이해하고 있다.2, >자연< 개념을 두고 볼 때, 마르쿠제는 자연 낙관주의적 관점을 갖지만 프롬은 인간이 극복해야하는 대상으로서 인간의 삶에 부정적 대상으로 파악한다. 3, 마르쿠제는 >기술<을 원칙적으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단지, 선진 산업사회의 제도적 합리성이 기술의 사용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보았던 것에 반해, 프롬은 기술 자체를 일종의 중립적 대상으로 보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ng Ik}, title = {자유주의의 人權論과 유교의 人倫 [Liberalist Human Rights and the Confucian Ethics of Human Relationships]}, series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Vol. 14 (2013), pp. 33-68. [ISSN: 1976-1872]}, journal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Vol. 14 (2013), pp. 33-68. [ISSN: 1976-1872]}, abstract = {전통유교와 현대 자유주의의 핵심적 대립은 '자아실현'에 대한 상이한 이해에서 비롯되는 것이었다. '자아실현'은 동서고금 누구나 원하는간절한 소망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자아실현'란 본래 두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실현하고자 원할 수도 있고,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실현하고자 원할 수도 있다. 그런데 개인의 독특한 개성만을 강조하고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무시한다면, 그 때의 자아실현이란 프롬⋅매킨타이어⋅테일러 등이 지적한 것처럼 '소외, 자아도취, 멋대로 자유' 등 각종 폐단을 야기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기초하여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발휘할 때만이 참다운 자아실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인륜의 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를 누린다는 뜻이요, 또한 가치의 객관적 척도를 존중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그 모범적 사례를 공자의 '和而不同'이나 '從心所欲不踰矩'에서 찾을 수 있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Goo-Yong}, title = {행복의 그림자: 자유와 폭력의 경계에서 [Shadow of Happiness: On the Boundary of Freedom and Violence]}, series = {동서철학연구 (S.P.E.W)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SPEW), No. 70 (2013), pp. 5-33. [ISSN: 1225-1968]}, journal = {동서철학연구 (S.P.E.W)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SPEW), No. 70 (2013), pp. 5-33. [ISSN: 1225-1968]}, abstract = {이 글의 주된 목적은 행복 담론의 빛과 그림자를 밝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나는 자유의 최대화와 폭력의 최소화에 기여하는 행복론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자유와 폭력의 변증법적 관계를 기초로(1), 에피쿠로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나는 행복론이 불행한 의식에 빠지지 않으려면 행복과 불행의 이분법을 벗어나야 하며(2), 목적이나 수단이 아니라 과정으로서 행복을 권리의 지평에서 정당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한다(3). 나아가 나는 프롬과 마르쿠제의 긍정 심리학과 부정 심리학의 경계에서 행복론이 상실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논증한다(4). 마지막으로 나는 행복 담론이 자기침잠과 자기연민에서 나와 바깥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힌다(5).}, language = {ko} } @article{Shim, author = {Shim, Soo_Myung}, title =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 성숙한 인격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aturity in Personality in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series = {성경과신학 [Bible and Theology], Vol. 68 (2013), pp. 83-113.}, journal = {성경과신학 [Bible and Theology], Vol. 68 (2013), pp. 83-113.}, abstract = {상담자는 내담자의 역기능을 탐색하여 내담자의 내적 요인인 핵심 인격을 올바른 방향으로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자이다. 상담이 내담자의 인격 변 화를 목표로 한다면 상담자는 바람직하고 성숙한 인격이 무엇인지 알고 있 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성숙한 인격은 어떤 특성이어야 하는 지 연구하기 위해 성경적 관점에서의 인격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 반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정신분석이론, 사회심리학, 그리고 성장상담학적 관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으로는 몽고메리와 쉐릴, 그리고 심수명의 견해를 중심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인간은 이 땅에서는 은혜입은 죄인이기에 온전한 인격성숙에 도달 할 수 없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성숙한 인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성숙한 사람은 십자가의 은혜와 하나님을 의지함이 없이는 한 순간도 살아갈 수 없음을 아는 자이다. 둘째, 성숙한 사람은 아가페 사랑을 근거로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는 자이다. 셋째, 성숙한사람은영성을중심으로지, 정, 의등전인의통합을추구하는 자이다.넷째, 성숙한 사람은 영적인 성숙을 바탕으로 가면적, 내면적, 관계적 인격이 조화롭게 균형 잡힌 자이다. 다섯째, 성숙한 사람은 신적 자존감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자이다.여섯째, 성숙한 사람은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미래에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이다.일곱째, 성숙한 사람은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며 현실 상황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이다.여덟째, 성숙한 사람은 성경에 근거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것을 최고 의 목표로 삼는 자이다. 위의 연구 결과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세우기 위한 과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Jeong, author = {Jeong, Chang Rok}, title =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에 대한 분석과 생명의료윤리교육 I - 에리히 프롬의 입장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Authoritarian Mechanisms 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and Medical Ethics - Education in Korea with a Focus on Erich Fromm]}, series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7, No. 2 (2014), pp. 187-213.}, journal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7, No. 2 (2014), pp. 187-213.}, abstract = {교육이 사회를 반영하듯이, 의료도 사회를 비춘다. 본 논문은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적 경향이 교육과 의료의 영역에 만연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프롬의 자본주의비판과 관련된 입장들이 한국 의료 사회를 대상으로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이려고 한다. 이 목표를 위해 먼저 에리히 프롬의 사상을 개관해 보고, 사례를 통해 한국 의료계를권위주의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해 다루어 본다. 이후 에리히 프롬의 여러 사상적 개념들 중에서 특히 소외와 도피의 개념에 주목하여, 한국 의료계의 여러 현상들에 상식적으로 적용한다. 이때 상식적이라 함은 특별한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동원하지 않고,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었을 의료 경험을 통해 수긍할 만한 수준을 뜻한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필자는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해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프롬의 입장에서 제안하려고 한다. 프롬은 현대인들이 활동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있다고 비판한다. 필자는 프롬이강조한 활동의 회복이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담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Kweon Hwan}, title = {논어』의 군자와 소인: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상 [Jūnzǐ and Xiǎor{\´e}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a Human Character orienting for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series = {동양철학연구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No. 78 (2014) pp. 37-68.}, journal = {동양철학연구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No. 78 (2014) pp. 37-68.}, abstract = {본 논문은 『논어』의 군자와 소인이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임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의 군자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당위적 덕목을 나열하고 그 덕목을 갖추기 위해 수양하라는 지극히 간단한 구조였다. 그런 연구는 >군자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나름대로의 성과를 내고 있지만 군자 모습의 형상화만으로는 군자의 총체적 의미를 다 살려냈다고 보기 힘들다. 왜냐하면 군자는 완전한 인간으로 우뚝 선 결과적 모델이 아니라 완성을 지향하는 과정적 인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 그 반대편에 있는 소인도 같은 논리로 과정적 인간이 된다. 이런 과정적 인간의 모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연구가 에리히 프롬 『인간의 마음』이다. 그는 인간의 마음이 세 가지 정향에 따라 성장 증후군을 나타내거나 쇠퇴 증후군을 나타내는 쪽으로 변하는 것으로 모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그 모형에 착안하여 군자, 소인, 중인의 관계도를 완성하였다. 보통사람으로 지칭될 수 있는 중인을 가운데 배치하고 여기서 출발하여 위로 성장하는 정향을 가진 사람을 군자로 보고, 아래로 쇠퇴하는 정향을 가진 사람을 소인으로 보았다. 그리고 성장의 최고 단계에 도달한 사람을 성인으로, 쇠퇴의 극한에 이른 사람을 폭군으로 보았다. 또 성장과 쇠퇴를 결정하는 정향을 각각 세 가지 제시함으로써 관계 모형의 타당성을 높였다. 그 세 가지는 성장의 정향으로 인의, 예악, 학습 정향을, 쇠퇴의 정향으로 불인, 비례, 자포자기의 정향을 제시했다. 본 논문의 이런 모형을 통해 군자와 소인에 대한 다음과 같은 새로운 관점과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군자와 소인은 고정적 인간형 모델이 아니라 어딘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과정적 인간이라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성장 정향을 가진 군자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쇠퇴의 정향을 가진 소인의 위험성을 경고할 수 있다. 셋째, 성장과 쇠퇴의 정향 사이에서 유동하고 있는 보통 사람에 주목하게 되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Mee Jin}, title = {노인자살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대한 분석과 소외 극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 [Christian Consultation for the Analysis and Overcoming of Alienation,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s]}, series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journal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abstract = {본 연구는 노년기 자살에서 자살의 원인이 되는 소외에 관한 연구이다. 소외가 노인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에 착안하여 노인자살의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아울러 소외에 관하여는 Irvin Yalom의 실존주의 심리학적 관점과 Erich Fromm의 사회심리학적 관점, Paul Tillich 실존신학적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소외 개념을 통합하여 노인자살 문제에 적용했으며 또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현상은 네 가지로 나타났는데, 자기소외, 대인관계의 소외, 사회심리적 소외, 신과의 소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소외 극복을 위한 상담 방법적 결론은 상담자와의 참 만남을 통하여 소외에 직면할 힘을 가지게 됨의 중요성과, 죽음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죽음에 직면함으로 죽음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소외 극복을 위한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년기 자살의 수동적인 유형으로 죽음에 대해 소망하는 것을 궁극적 관심에 대한 소망으로의 전환과 전인적인 기독교 상담을 통한 소외 극복 방안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language = {ko} } @article{Kwon, author = {Kwon, Hyeoknam}, title = {고독사 예방 및 극복을 위한 기독교 사회윤리적 기초 [Christian Social Ethics for Preventing and Overcoming Solitary Death]}, series = {권혁남 [Theology and Praxis], No. 38 (2014), 441-452.}, journal = {권혁남 [Theology and Praxis], No. 38 (2014), 441-452.}, abstract = {현대사회는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 및 가족의 축소, 도시환경의 변화, 가치관의 혼란 등으로 인해 사람들의 >유대<(혹은 친밀감)가 점점 약화되어가고 있다. 그래서 최근 사회 및 학계의 각 영역에서 >유대<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우리사회에서 >유대<라는 개념이 크게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인간관계의 왜곡 현상이 이제는 간과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문제라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에 대한 조사가 일부 진행되기는 했으나 축적된 연구가 매우 빈약하고, 그 정책적 대응 또한 매우 미비하다. 얼마 전부터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한 이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 영역의 접근은 단순히 실태보고와 현상적 대응에 대한 논의만 이루어질 뿐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고찰이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간관계의 상실 및 왜곡에 따른 결과적 현상이 사회적 고립에 의한 >고독사<와 같은 충격적인 형태로 나타나다보니 이론적 고찰보다는 대응책 마련이 더 시급한 선결과제가 되어버렸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눈앞의 문제에 급급한 나머지 그 심원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요인을 밝히는 작업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이 문제는 계속 우리사회에 잠복해 있다가 언제든지 다시 그 현상을 표출시킬 것임은 자명하다. 이는 우리사회가 이미 경험한 바다. 현재 사회적으로 고독사 현상의 양적⋅질적 변화에 맞는 다양한 대책이 강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독사와 관련하여 여전히 과거의 현상과 다를 바 없는 언론의 보도가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고독사< 문제의 예방 및 극복은 다양한 차원의 제도적 대책마련에 앞서 기본적(이론적) 접근을 통해 근본적 해결을 위한 요인을 밝히고, 그에 따라 접근해야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선 >기본<으로서의 인간관계인 >유대<와>사랑<의 관계를 에드문트 후설과 에리히 프롬의 견해에 기대어 윤리적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마틴 루터와 존 웨슬리의 논설을 따라 >기독교적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인 >이웃사랑<이 고독사 예방 및 극복을 위한 윤리 사상적 토대임을 제안하였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Jaeseung}, title = {Disobedience, Resistance and Democracy [불복종, 저항 그리고 민주주의]}, series = {민주법학[Democratic Legal Studies], No. 55 (2014), pp. 13-51.}, journal = {민주법학[Democratic Legal Studies], No. 55 (2014), pp. 13-51.}, abstract = {롤즈에 따르면, 거의 정의로운 사회에서의 시민은 예외적인 부정의를 시정하기 위한 항의행동으로서 법을 위반할 수 있다. 그러한 행동은 비폭력적이고 공개적이어야 하고, 불복종자는 법위반의 대가로서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 반면 당국은 불복종자와 통상적인 범법자를 구별하고 불복종자를 우호적으로 취급해야 한다. 그러나 롤즈의 모형은 현실에서 일반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핵심적인 문제는 >거의 정의로운 상태<가 개념적으로 명료하지 않으며 내용적으로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또 동일한 정치질서도 계급, 인종, 성, 종교, 세계관에 따라 상이하게 평가될 수밖에 없다. 한편 >거의 정의로운 상태<를 서구 민주주의와 동일시한다면 특정한 정치질서를 특권화하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나아가 거의 정의로운 상태가 평등한 자유의 원칙이나 공정한 기회의 원칙을 통해서 도달 가능한 체제보다 우월한 정치적 상태라고 상정한다면, 불복종의 이유를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공정한 기회의 원칙에 대한 심각한 위배에 국한시키는 롤즈의 방침은 불충분하다. 롤즈는 경제적 불평등을 시민불복종의 직접적인 사유로 취급하지 않고 정치적 과정에 맡길 문제로 상정한다. 그러나 경제적 불평등, 빈곤의 심화는 고착된 사회경제적・정치적 권력의 필연적인 결과이므로 불복종의 이유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 경우 불복종과 저항은 특정한 법과 정책이 아니라 지배 체제에 대한 저항의 성격을 띠게 된다. 신자유주의 체제의 어떤 개별적인 악법이나 나쁜 정책이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체제 전체의 근본적 부정의가 문제되기 때문이다. 롤즈가 <공정으로서 정의: 재진술> 및 <정의론> 수정판에서 제안한 재산소유 민주주의는 복지국가형태보다는 정의로운 정치체제이므로 >거의 정의로운 상태<에 근접한다. 따라서 재산소유 민주주의 체제는 롤즈의 불복종이론이 가동되기 적합한 상태라고 추정할 수 있다. 그밖에 롤즈가 시민불복종의 요건으로 제시한 비폭력성, 법에 대한 충실성으로서 양심성은 본질적으로 저항의 목표 달성이라는 정치적 시각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 달성과 무관한 양심적 비폭력주의는 정치적으로 바람직하지도 않으며 때로는 심각한 파국을 초래할 수 있다. 결국 사회의 근본적 개혁에 대한 열망만이 불복종을 추동하고 정당화한다. 또한 현실세계에서 정치적 권력, 경제적 권력, 문화적 권력은 서로 강고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지배체제를 이루고 있으므로 불복종을 특정한 부분에 한정할 수도 없다. 권력이 있는 곳이라면 불복종은 언제나 필요하다. 불복종은 대의제의 결함을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본질적인 부분이자 국민의 주권을 증명하는 행동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Jung, author = {Lee, Sang Ik and Jung, Seung Hyan}, title = {競爭論에 대한 근래의 비판들과 그 함의 [Contemporary Anti-competition Theories and Its Meaning]}, series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Oriental Culture Studies], Vol. 17 (2014), pp. 89-127.}, journal =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Oriental Culture Studies], Vol. 17 (2014), pp. 89-127.}, abstract = {本考에서는 근대 서구사회에서 競爭論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경쟁론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고, 경쟁론에 대한 근래의 여러 비판들을 두루 살펴본 다음, 그들의 反競爭論이 함축하는 바를 정리해 보았다. 오늘날 우리가 경쟁론을 지양시키고자 한다면, >사회복지의 당위성<과 >경제적 효율성<의 문제는 물론 >올바른 세계관의 정립< 문제가 긴요한 것이요, 뿐만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 문제도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 살핀 여러 碩學들의 反競爭論이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것이라면,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전통 유교의 名分論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 한국의 근대화 과정은 전통적 名分論을 타파하고 서구의 競爭論을 도입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그런데 한 때는 진보의 원동력으로 기능했던 경쟁론이 이제는 숱한 폐단을 낳고 있다면, 우리는 전통적 사회운영론의 의의를 되돌아보아야 마땅한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Young-gyeong}, title = {고독의 철학 - 에리히 프롬과 토마스 머튼을 중심으] [Philosophy of Solitude - Focusing on Erich Fromm and Thomas Merton}, series = {철학연구 [Philosophia - Journal of the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Vol. 134 (2015), pp. 111-150.}, journal = {철학연구 [Philosophia - Journal of the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Vol. 134 (2015), pp. 111-150.}, abstract = {우리 현대인은 고독을 위험한 것으로 여기며, 근절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이며 살고 있다 말한다면 지나친 과장일까? 그런데 고독을 혐오하고 두려워하는 우리에게, 고독을 오히려 끌어안으라고, 단, 지혜롭게 환대하라고 권유하는 현자들이 있다. 그들의 혜안으로 볼 때, 고독에서 그저 도피하기만 하는 삶은 더욱 외롭고 더욱 공허해지고 더욱 피상적으로 된다. 그러나 고독을 지혜롭게 수용하면 자기 실현의 삶, 행복하고 충만한 삶에로 이어질 수 있다. 물론 고독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우울한 고독감에 무기력하게 휩쓸리는 것이 아니다. 본고는 고독에 관한 에리히 프롬과 토마스 머튼의 통찰을 음미하면서, 고독을 지혜롭게 받아 들인다는 것이 어떤 것이며, 어떻게 이런 지혜로운 수용이 행복한 삶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이해해 보고자 한다. 그래서 날이 갈수록 고독을 더욱 홀대해가고 있는 듯한 우리의 태도를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한번 진지하게 성찰해 보고자 한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ngbum}, title = {실존의 고통으로서의 마음의 병과 삶에 대한니체의 실존적 사랑 [Krankheit des Herzens als Leiden der Existenz und Nietzsches existenziale Liebe zum Leben]}, series = {니체연구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No. 27 (2015), pp. 41-87.}, journal = {니체연구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No. 27 (2015), pp. 41-87.}, abstract = {현대사회와 현대인에 대한 니체의 비판적 관점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기쁨"이자신의 "일에 대한 기쁨"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니체의 표현처럼 "숨 가쁘게 서두르는 노동"으로 인해 현대인은 자신과 자신의 일 그리고 삶에 대한 온전한 기쁨을 느끼지 못하게 됨과 더불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기회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겪고 있는 실존의문제들은 근본적으로 그들 삶의 의미를 물질을 통해 충족하고자 하며 자신의 고유한 가치를 물질로 대체함에 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삶의 유용함만을 위해 소비하지 않으며, 소비는 삶의 의미를 얻고 소유하기 위한 행위가 되었다. 다시 말해 현대사회의 실존적 고통의 문제는 현대의 많은 사람들이 삶의 실존적 공허를자신만의 삶의 의미로 채우고자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즉 그들은 자기 삶의 근본적인 물음에 답하고자 하지 않는다. 자기 삶의 고유한 의미에 대해 더 이상 탐구하지 않는 이러한 인간유형들을 니체는 "마지막 인간"으로, 마르쿠제는"일차원적 인간"으로 그리고 프롬은 "자동 인형적 인간"으로 표현했다. 니체는 실존적 무기력과 창조적 무능력이 만연한 19세기 유럽의 데카당스 증상을 "의지의 병"으로 진단했다. 데카당스는 인간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지 않고나아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자 않는 나약한 의지의 병이다. 이를 위해 니체가 자신의 철학에서 제시한 건강의 가르침은 병과 고통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인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다. 니체는 이 처절한 경험 속에서 끊임없이 삶의 의미와가치에 대해 물었으며, 자신의 삶에 대한 열정과 사랑을 바탕으로 스스로를 끊임없이 긍정하고 극복하는 삶의 자세를 만들었다. 그의 이러한 삶의 자세는 병과 고통마저도 다시 건강해질 수 있는 실존적 기회로 만들었다. 니체는 그렇게삶이 던지는 물음에 대답했다. 고통스럽고 때론 불만족한 자기 실존의 문제에직면한 현대의 인간들이 니체의 사상과 삶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삶에 대한 열정과 사랑 그리고 이를 통한 자기긍정과 극복이다.}, language = {ko} } @article{Kwon, author = {Kwon, Hyuck-mi}, title = {사랑에서 토니 모리슨의 사랑의 정의 [Toni Morrison's Definition of Love in >Lov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journal =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Vol. 21, No.1 (2016), pp. 39-57.}, abstract = {사랑에는 성공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업가 빌 코지 가족들의 부정적인 행위들이 난무하여 사랑의 상반되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가족들의 불화의 원인 제공자는 빌 코지이다. 52세의 빌 코지는 11살 히드와 결혼을 하고 이 결혼 이후, 가족들은 고통당한다. 특히 가족들의 싸움에 지쳤다면서, 빌 코지는 전 재산을 내연녀에게 유산으로 남긴다는 유언장을 작성하여 가족 모두를 배반한다. 빌 코지와 그의 가족의 불화한 모습들은 호텔 주방장인 엘의 사랑을 부각한다. 엘은 작품 속 주요 등장인물 중 유일하게 빌 코지에 대응하는 인물이다. 엘은 어머니가 부재한 빌리 보이와 크리스틴을 양육한다. 그녀는 코지 가족들의 심정을 이해하고, 재치 있는 대처로 각종 갈등상황을 해결하고, 누구의 편도 들지 않고 불행에 빠진 사람을 돕는다. 또한 조금도 불법적인 금전상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엘의 사랑은 빌 코지의 살해와 대체 유언장 만들기로 완성된다. 엘을 통해 모리슨은 사랑이란 고린도 전서 13장의 부정적인 행위들 즉 투기, 자랑, 교만, 무례함, 이기주의에 굴복하지 않는 것이고, 에리히 프롬이 설명했듯이, 보호하고 책임지며, 상대를 존중하고 그의 처지에서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행위이며, 이에 더해 긍정적인 결과를 위해 계산 없이 과감하게 정의를 실천하는 행위임을 주장하고 있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