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YiKim, author = {Yi, Hyun Oak and Kim, Man Eui}, title = {인간의 공격성과 스포츠 [Sport and Human Aggression]}, series = {학술지명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1, No. 4 (2002), pp. 43-52. [Online ISSN 2508-7029]}, journal = {학술지명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1, No. 4 (2002), pp. 43-52. [Online ISSN 2508-7029]}, abstract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ggression, human`s instinct as the new essence of sport. Through the psychological approach it could be found that the aggression which is human instinct is deeply related with the origin of sport. In relation to the instinct of death Freud has proved that there exists the aggression in human mentality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aggression of sport is related with Thanatos, the instinct of death that Freud said. Fromm, a sociopsychologist expanded the concept of Freud`s aggression and divided the aggression in human mentality as the defensive and positive aggression and destructive and malignant aggression and he saw that sport is related with the malignant aggression. I think we have to discard the attitude just to try to adapt the methodical value of sport although the value of sport exists with human instinct. Sport is the only thing to express and purify the aggression and it is expected to play the important role to create the future culture.},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목적론적 입장에서 본 행복: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롬을 중심으로 [Happiness from a tele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Aristotle and Fromm]}, series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journal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abstract = {이 연구는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와 헤겔에 이르는 서양철학의 고전적 전통을 지배했던 목적론에 입각하여 행복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이러한 목적론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자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져 있는 본질적인 형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보는 본질실현의 목적론이다.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은 근대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자기보존의 목적론과는 달리 모든 존재자들은 단순한 자기보존이나 종족번식을 넘어서 자신에게 부여된 본질적인 형상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복은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을 전제로 할 경우에만 제대로 구명될 수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사실을 본질실현의 목적론에 입각하여 인간을 파악했던 가장 대표적인 사상가인 아리스토텔레스와 에리히 프롬의 행복관을 고찰함으로써 입증하고자 했다.}, language = {ko} } @article{Liu, author = {Liu, Genzong}, title = {에리히프름의 종교이해에 대한 비판적연구 [A Critical Study of Erich Fromm's Understanding of Religion]}, series = {사회과학연구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 No. 1 (1983).}, journal = {사회과학연구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 No. 1 (1983).}, abstract = {In undertaking this study, the writer became aware of the following problem of study method in theology: skepticism indeed is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theologian's equipment; he must train himself to be disturtful of anything he sees on the printed page unless there seems good reason to believe that it can be trusted. In our theological culture, the printed word is generally regarded with such excessive respect that the grossest errors in fact may go unchallenged for years until the properly skeptical reader comes along. The above stated problem dictated the formulation of this study with the following purpose in mind: to develop a critical study method in theology. Accordingly, Erich Fromm's thought of religion was criticized from such standpoint in this study.},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Mee Jin}, title = {노인자살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대한 분석과 소외 극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 [Christian Consultation for the Analysis and Overcoming of Alienation,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s]}, series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journal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abstract = {본 연구는 노년기 자살에서 자살의 원인이 되는 소외에 관한 연구이다. 소외가 노인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에 착안하여 노인자살의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아울러 소외에 관하여는 Irvin Yalom의 실존주의 심리학적 관점과 Erich Fromm의 사회심리학적 관점, Paul Tillich 실존신학적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소외 개념을 통합하여 노인자살 문제에 적용했으며 또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현상은 네 가지로 나타났는데, 자기소외, 대인관계의 소외, 사회심리적 소외, 신과의 소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소외 극복을 위한 상담 방법적 결론은 상담자와의 참 만남을 통하여 소외에 직면할 힘을 가지게 됨의 중요성과, 죽음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죽음에 직면함으로 죽음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소외 극복을 위한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년기 자살의 수동적인 유형으로 죽음에 대해 소망하는 것을 궁극적 관심에 대한 소망으로의 전환과 전인적인 기독교 상담을 통한 소외 극복 방안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ong-sik}, title = {에리히 프롬 사상의 교육적 의미 -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Meaning of Erich Fromm's Thought - Focusing on >Having or Being<]}, series = {The Journal of Education [교육논총] Vol. 36, No. 2 (2016), pp. 153-171.}, journal = {The Journal of Education [교육논총] Vol. 36, No. 2 (2016), pp. 153-171.}, abstract = {자아 상실은 현대인의 내적 공허감이나 쉴새없이 무엇인가를 소유해야만 하는 욕구 등에서 잘 나타났다. 아무 것도 시작할 수 없게 만드는 고통스러운 권태, 내적인 무기력, 자기 추진력의 상실과 그에 따른 의기소침 등이 그런 현상에 속한다. 또 자기 자신과 홀로 대면하는 것을 몹시 꺼려하는 현대인의 두려움도 마찬가지로 존재 상실의 결과라 하겠다. 어떤 형태로 표출되든지 간에 존재의 결핍은 창조능력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글의 목표는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소유와 존재의 개념을 밝히고, '소유적 실존 양식'과 '존재적 실존 양식'의 이해를 위해 두 실존양식을 비교하여 프롬이 말하는 '실존적 욕구'가 왜 교육의 기준점이 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글은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를 교육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취할 것이다. 이 글에서 이용한 텍스트는 차경화(2015) 옮김, 『소유냐 존재냐』 임을 밝혀 둔다.},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sozialpsychologische Bedeutung der Mutterrechtstheorie,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psychoanalytische Charakterologie und ihre Bedeutung f{\"u}r die Sozialpsychologie,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Robert Briffaults Werk {\"u}ber das Mutterrecht,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17-125.},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17-12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ex and Character, Korean)}, series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journal = {E. Fromm, Hyeogmyeongjeog ingau, Seoul (Baegjo Chulpan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ex and character,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81-195.},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81-19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