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Min, author = {Min, Hyoung-Won}, title = {비판이론과 정신분석학(Ⅱ) - 초기비판이론의 학제적 유물론과 프롬 (2005) [Kritische Theorie und Psychoanalyse (II) - Der interdisziplin{\"a}re Materialismus der fr{\"u}hen Kritischen Theorie und Erich Fromm]}, series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42, No. 6 (2005), pp. 69-116.}, journal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42, No. 6 (2005), pp. 69-116.}, abstract = {Dieser Aufsatz befasst sich mit der fr{\"u}hen Phase der Kritischen Theorie in der Geschichte der Frankfurter Schule, die sich vom Jahre 1930 zum Jahre 1938 erstreckt. Sie ist durch die folgenden Vorg{\"a}nge gekennzeichnet: die {\"U}bernahme des Amtes des Institutsdirektors durch Horkheimer; die Teilnahme Fromms an dem Institut im Jahre 1930; die offizielle Teilname Adornos an dem Institut im Jahre 1938; den Austritt Fromms im Jahre 1939. Diese Phase ist f{\"u}r die Frankfurter Schule dadurch gekennzeichnet, dass durch die Mitwirkung Fromms ein konkreter Prozess der Integration der Psychoanalyse in den interdisziplin{\"a}ren Materialismus Horkheimers verwirklicht wird. Er erreicht seinen H{\"o}hepunkt in den im Jahre 1936 ver{\"o}ffentlichten zweib{\"a}ndigen >Studien {\"u}ber Autorit{\"a}t und Familie<. In diesem Beitrag soll dargestellt werden, wie sich diese fruchtbare Zusammen¬arbeit der beiden in ihren f{\"u}hen Werken widerspiegelt, und ferner aus welchem Grund es zu dem Bruch zwischen den beiden kam.}, language = {ko} } @article{Song, author = {Song, Jihyun}, title = {[E.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고찰] A Study on E. Fromm's Escape from Freedom}, series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38, No. 3 (2005), pp 209-237}, journal =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38, No. 3 (2005), pp 209-237}, abstract = {우리는 외부 권력으로부터의 자유, 즉 소극적 자유의 신장에 매혹되어, 자유와 그것의 전통적인 적들에게 대항해 얻은 승리의 의미를 훼손할 수 있는 내적인 억압, 강제, 두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는 자유의 문제란 오로지 근대사의 과정에서 얻은 소극적 자유를 훨씬 더 많이 얻는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리고 그런 자유를 부정하는 힘들에 대항해서 자유를 지키는 것이 필요한 전부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이제까지 쟁취한 자유 모두가 최대의 힘으로 지켜져야 하지만, 자유의 문제는 양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질적인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잊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전통적인 자유를 지키고 늘려가야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류의 자유, 즉 우리 자신의 개인적인 자아를 실현하고 이 자아와 삶을 믿을 수 있게 해주는 자유도 획득해야만 한다는 것을 잊고 있다. 따라서 나는 소극적 자유의 실현뿐만 아니라 적극적 자유(개인적 자아실현)의 실현을 위해, 프롬(Fromm, E.)이 분석한 자유로부터의 도피심리와 사회현상을 살펴보고, 프롬이 말한 >적극적 자유<의 의미는 무엇이며, 또한 적극적 자유의 개념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벌린(I. Berlin)의 >자유의 두 개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현대인들이 왜 그렇게 신흥종교에 매료(자유로부터의 도피 수단)되는지를 분석한 앨빈 토플러(Albin Toffler)의 생각도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보다 나은 자유 민주주의 시민을 형성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