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Lee, author = {Lee, Moon_Jung}, title = {권오상의 정물 조각에 나타난 구축과 해체의 공존 [Coexistence of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in Osang Gwon's Still-Life Sculptur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3, No. 1 (2020), pp. 381-394.}, journal = {기초조형학연구 [Basic Plastic Science Research], Vol. 23, No. 1 (2020), pp. 381-394.}, abstract = {본 논문은 구축과 해체의 공존에 초점을 맞춰 권오상의 정물 조각이 보여주는 형식과 주제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는 존재와 소유, 인간의 욕망, 자본주의와 소비사회에 관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이론과 기 드보르(Guy Debord)의 스펙터클(spectacle) 개념을선택했다. 스펙터클과 관련해 소비문화에 관한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논의도 일부 적용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형식적인 면에서 사진과 조각, 이미지와 물질, 가상과 실재의 경계를 해체하면서도 조각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이중성을 분석했다. 주제적인 면에서는 인간의 소유 욕망과 바니테(vanit{\´e})의 양가성을 고찰했다. 또한 고도로 추상화된 상품화가 일상생활에 침투하고 이미지 과잉이되어버린 사회를 지배하는 스펙터클의 재현과 해체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일상의 사물을 촬영한사진, 잡지나 인터넷에서 선택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제작된 권오상의 정물 조각은 소비와 소유가 그자체로 욕망의 대상이 되고, 상품이 단순한 물적 대상이 아닌 자기 표현의 상징물로 존재하게 된 오늘날의 소비문화를 투영한다. 또한 소비문화의 견고한 위상을 확인시키는 동시에 그것의 허상을 드러내고, 인간의 욕망과 소유에 관한 근원적인 고찰뿐 아니라 스펙터클 시대에 대한 비판적 사유의 기회를제공한다. 이를 위해 권오상은 스펙터클의 압도적인 권력을 직관적으로 보여주지만, 실제 사물을 첨가하거나 이미지를 지워 물질성을 강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스펙터클과의 단절을 시도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시대에 반응하며 다양성의 공존과 차이를 창출하는 동시대 조각의 특성을 확인하고, 소비문화에 대한 예술적 성찰이 가져오는 의미 생성을 숙고할 수 있었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