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WangLee, author = {Wang, Ting-Ting and Lee, Jong Han}, title = {영화 >체르노빌 다이어리< 중 체르노빌 공간의 권력구조 연구 [A Study of Chernobyl's Spatial Power Structure in the Film Named >Chernobyl Diary<]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애니메이션연구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 Vol. 17, No. 21 (2021), 141-166.}, journal = {애니메이션연구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 Vol. 17, No. 21 (2021), 141-166.}, abstract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생명안전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대, 특히 코로나19의 배경 아래에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재난의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은 미룰 수 없는 임무이다. 체르노빌 원전폭발은 이미 역사로 남았지만 그것이 남긴 문제는 아직도 적절하게 해결되지 않았다. >체르노빌<이라는 이 금기된공간을 어떻게 적절하게 처리할지는 현대사회의 문제 중 하나이다. 본문은 브래들리 파커(Bradley Parker) 감독의 <체르노빌 다이어리>(2012)를 사례로 현대에서 체르노빌의 공간적 표현을 고찰한다. 이 영화는 자극을추구하는 여행객들이 금지구역인 체르노빌로 진입하면서 겪는 끔찍한 상황을 그렸으며, 영화에서 나타난 체르노빌은 실제 체르노빌의 공간 상태와 부합한다. 영화에서 묘사한 체르노빌은 무인구역, 소비구역, 정치권력 규제구역 세 공간이 혼합된 장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공간이 작동하는 메커니즘과 상호 관계를 탐구하여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이 말한 건전한 사람과 건전한 사회의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체르노빌은 무인구역, 소비구역, 정치권력 규제구역 세 공간이 혼합되어 서로를 제약한다. 체르노빌이라는 이 공간에서 국가는 주도적위치를 차지하며, 무인구역과 소비구역의 운영 배후에는 국가의 정치권력이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다. 원전폭발로 인해 체르노빌은 정치당국에 의해 >예외상태<로 운영되면서, 이 운영 체제 하에서 국가법, 인권, 도덕윤리 등문명사회의 체제와 규범이 사라지게 되었고, 이 공간에 들어온 개인의 생명은 순식간에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이 말한 >벌거벗은 생명<으로 전락해 타인에 의해 생존권을 박탈당했다. 따라서 >건전한 사회<를 만들어 >건전한 개인의 생명<을 살리는 길을 고민하는 것은 매우 절실하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