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him, author = {Shim, Jae-Myung}, title = {에리히 프롬을 통해 본 여가의 의미 [Meaning of Leisure Implied in Erich Fromm]}, series = {관광연구논총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 34, No. 2 (2022), pp. 3-27.}, journal = {관광연구논총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 34, No. 2 (2022), pp. 3-27.}, abstract = {본 연구는 에리히 프롬의 글을 통해 철학적 관점에서 여가에 대해 탐구하였다. 역사적으로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인간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으며, 그 기반 위에서 인간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해 각자의 개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그러나 그 같은 체험을 하는 사람은 소수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로지 소극적 의미의 자유만을 경험함으로써 자유의 진정한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프롬의 저서들로부터 여가에 시사점을 준다고 판단되는 여덟 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것들은 현대자본주의 사회에 순응한 현대인에게서 어떻게 수동적 여가의 모습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현대사회의 노동은 인간이 능동적 존재가 될 수 없는 영역이며 생존의 필요를 가지는 인간이 노동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여가를 통해 인간이 능동적인 존재가 되어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함으로써 개성을 실현하는 것이 여가가 삶에 줄 수 있는 진정한 보상이라는 것이 프롬이 던지는 메시지이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Youngkyun}, title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론 정립을 위한 모색: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에 관한 속류화와 혼란들을 넘어 [The Study for the Function of Healing Theory on Historical Trauma: Beyond the Vulgarization and Confusion about th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series = {시대와 철학 [Epoch and Philosophy -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Vol. 33, No. 1 (2022), pp. 115-144.}, journal = {시대와 철학 [Epoch and Philosophy -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Vol. 33, No. 1 (2022), pp. 115-144.}, abstract = {이 글은 우선, 역사적 트라우마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어떻게 다른가를 논의하는 데에서 출발하고 있다. 둘째로, 이 글은 정신분석학이라 는 범주 안에서 프로이트와 다른 정신분석학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논의하 면서 트라우마와 관련하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가진 문제점을 비판적 으로 다루고 있다. 셋째, 프롬의 사회심리학을 다루면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관한 정신분석이 가진 특징을 제시할 것이다. 이런 논의 하에 이 글은 넷 째,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①원초적 트라우마에 반해 후천적 트라우마이며 ②직접 체험하지 않은 2차적 트라우마화라는 점에서 간접적이고, ③체험 당사자 주변을 넘어서 세대 집단 간의 전이를 유발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정신 분석은 사회심리학과 다르다. 또한, 그렇기에 치유도 역사적 트라우마가 유 발하는 PTSD가 유발하는 장애로서 >트리거<들을 제거하는 것이자 민족공동 체 간의 리비도적 흐름을 창출하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JeongYun, author = {Jeong, Sae_Byeol and Yun, Soo_Wan_2022}, title =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비판적 근대 사회 재현 - >만춘<과>맥추<를 중심으로 [The Critical Representation of Modern Society in Ozu Yasujiro's Films - Focusing on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씨네포럼 [Cineforum], No. 42 (2022), pp. 65-96.}, journal = {씨네포럼 [Cineforum], No. 42 (2022), pp. 65-96.}, abstract = {본 연구는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가 근대 사회를 비판적으로 재현하고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오즈 야스지로는 영화 내러티브 상에 근대 사회에 관한 견해를 드러내지 않더라도, 여러 연출 방식을 통해 근대 사회의 내재화된 모순과 고통을 폭로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논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만춘>과 <맥추>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근대의 시간을 표현하는연출과 근대인의 부정적인 특성을 묘사하는 연출을 살펴본다.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시계와 기차를 활용해 근대의 시간을 성찰한다. 일터에서 집 안까지로 침투하는 시계 소리의 활용은 효율성 극대화를위해 모든 인간 동작을 통제하는 근대의 선분화된 시간 질서를 표현한다. 기차를 연출하는 방식은 목적론적이며 비가역적인 근대적 시간의 특성을가시화한다. 시계 소리나 시곗바늘 각도에 맞춰 움직이는 인물들, 또는 기차 이미지와 함께 등장하는 인물들은 획일적으로 고정된 근대적 삶의 리듬을 내면화한 근대인을 묘사한다. 나아가 오즈 야스지로가 지향하는 배우의 연기 스타일과 인물 간의 시선 연출, 사물과 인물의 배치 등은 에리히 프롬이 근대인의 병리적 성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한 '자동인형적 순응' 개념을 활용해 분석하기 적절하다. 감정을 억제하는 표정과 부자연스러운 몸짓, 인물 간의 동기화된행위 연기는 감정과 생각이 통제되고 타인과 비슷하게 행동함으로써 무력감을 상쇄하는 근대인의 자동인형적 순응을 잘 보여준다. 인물 간의 불화하는 시선은 경쟁과 무관심에 바탕을 둔 근대의 고립된 인간관계를 드러낸다. 또 다중 프레임에 갇히거나 주변 요소에 의해 통제되는 인물 배치는근대화가 표방하는 자유와 개인 주체의 허상을 나타낸다. 한편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근대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근대적 사고 체계를 거부하는 역설적 연출을 보여주기도 한다. 관객과 영화 사이에 비판적 거리를 두는 비인간적 시선과 과거, 현재, 미래가 혼재하는 비선형적 시간을 나타내는 연출이 대표적이다. 근대의 모순이 잔존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본 연구가 오즈 야스지로 작품의 의미를 유효하게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하길 기대한다.}, language = {ko} } @article{Han, author = {Han, Sun-Young}, title = {집단상담에서의 힘의 변형 연구 - 권위적인 힘으로부터 상호적인 힘으로의 변형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ower in Group Counseling - Transformation from Authoritarian Power to Reciprocal Power]}, series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No. 123 (2022), pp. 301-336.}, journal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No. 123 (2022), pp. 301-336.},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힘의 변형 관점에서 집단상담 이론을 재이론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폭력성이 집단상담 과정을 통해 변형된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집단상담이 힘의 변형 자원이 있음을 논증하고, 힘의 변형 관점에서 권위주의가 뿌리 깊은 한국의 목회 영역에 유의미한 실천적 적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힘은 관계의 맥락 안에서 권위적인지, 혹은 상호적인지 정의되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힘의 변형이란, 대인관계과정에서 권위적인 힘이 상호적인 힘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진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의 이론과 과정을 힘의 변형 관점에서 다시 구조화했다는 점에서 그 주요한 성과가 있다. 또한 집단상담의 힘의 변형 자원을 신학적으로 조명하여 오늘날 한국교회의 리더십 유형과 공동체의 관계성 유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