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weet, author = {Sweet, A. D.}, title = {When therapeutic worlds collide? On Bion's concept of reversible perspective: A brief review and clinical case illustration}, series =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Oslo (Scandinavian University Press), Vol. 20 (No. 1, March 2011), pp. 38-44.}, journal =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Oslo (Scandinavian University Press), Vol. 20 (No. 1, March 2011), pp. 38-44.}, language = {en} } @article{Conci, author = {Conci, Marco}, title = {Wilfred Bion's identity as a psychoanalyst in the light of his letters (1939-1951) to his first analyst, John Rickman, and of their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 Our trainings (and our lives), our letters, and the history, transmission and practice of p}, series =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Oslo (Scandinavian University Press), Vol. 20 (No. 2, June 2011), pp. 63-67.}, journal = {International Forum of Psychoanalysis Oslo (Scandinavian University Press), Vol. 20 (No. 2, June 2011), pp. 63-67.}, language = {en} } @article{Gutschke, author = {Gutschke, Irmtraud}, title = {Wohl-Sein, Wahrheit... - Erich Fromm wusste, wie die Gesellschaft Denk- und Leidensstrukturen pr{\"a}gt}, series = {Neues Deutschland, Berlin 25./26. Juni 2011, p. W4.}, journal = {Neues Deutschland, Berlin 25./26. Juni 2011, p. W4.}, language = {de} } @misc{Craiss, author = {Craiss, Mandus Immanuel}, title = {Wunschmaschinen und Grundeinkommen. Eine Anwendung der >Wunschmaschinen<-Theorie von Gilles Deleuze und Felix Guattari auf die Diskussion um das bedingungslose Grundeinkommen (mit Schwerpunkt auf den dieser zugrunde liegenden Menschenbildern u.a. von Erich Fromm), Magisterarbeit, Politikwissenschaftliches Institut der Universit{\"a}t Leipzig, 2011, 80 p. .}, language = {de} } @article{Christen, author = {Christen, A.}, title = {Zwischen Prekariat und Kreativit{\"a}t}, series = {Fromm Forum (Deutsche Ausgabe - ISSN 1437-0956), 15 / 2011, T{\"u}bingen (Selbstverlag), pp. 102f.}, journal = {Fromm Forum (Deutsche Ausgabe - ISSN 1437-0956), 15 / 2011, T{\"u}bingen (Selbstverlag), pp. 102f.}, language = {de} } @article{Luedemann, author = {Luedemann, Otto}, title = {Zwischen Wahrheitssuche und Entfremdung}, series = {Int. Erich-Fromm-Gesellschaft (Ed.), Wege aus der Entfremdung im Umgang mit Religion. Dokumentation einer Tagung im November 2009 in Hamburg, T{\"u}bingen (Selbstverlag) 2010, pp. 14-19.}, journal = {Int. Erich-Fromm-Gesellschaft (Ed.), Wege aus der Entfremdung im Umgang mit Religion. Dokumentation einer Tagung im November 2009 in Hamburg, T{\"u}bingen (Selbstverlag) 2010, pp. 14-19.}, language = {de} } @article{Luedemann, author = {Luedemann, Otto}, title = {Zwischen Wahrheitssuche und Entfremdung,}, series = {Fromm Forum (Deutsche Ausgabe - ISSN 1437-0956), 15 / 2011, T{\"u}bingen (Selbstverlag), pp. 64f. [= Luedemann, O.,, 2010]}, journal = {Fromm Forum (Deutsche Ausgabe - ISSN 1437-0956), 15 / 2011, T{\"u}bingen (Selbstverlag), pp. 64f. [= Luedemann, O.,, 2010]}, language = {de} } @article{McLaughlin, author = {McLaughlin, Neil}, title = {?'Por qu{\´e} fracasan las escuelas de pensamiento? El Neo-freudianismo como caso de estudio para la sociolog{\´i}a del conocimiento [translation of McLaughlin_N_1998]}, series = {Apuntes. De investigaci{\´o}n del CECYP, Vol. 14 (No. 19, 2011), pp. 11-43.}, journal = {Apuntes. De investigaci{\´o}n del CECYP, Vol. 14 (No. 19, 2011), pp. 11-43.}, language = {es} } @article{Akeret, author = {Akeret, Robert U.}, title = {?'Qu{\´e} has aprendido de tu paciente acerca de ti mismo?}, series = {R. Funk (Ed.), Recordando a Erich Fromm. Testimonios de sus alumnos sobre el hombre y el terapeuta. Edici{\´o}n a cargo de Rainer Funk, Barcelona - Buenos Aires - M{\´e}xico (Paid{\´o}s, Paid{\´o}s Contextos 204), 2011, pp. 139-143. [Spanish by Fernando Borrajo]}, journal = {R. Funk (Ed.), Recordando a Erich Fromm. Testimonios de sus alumnos sobre el hombre y el terapeuta. Edici{\´o}n a cargo de Rainer Funk, Barcelona - Buenos Aires - M{\´e}xico (Paid{\´o}s, Paid{\´o}s Contextos 204), 2011, pp. 139-143. [Spanish by Fernando Borrajo]}, language = {es} } @article{Maurer, author = {Maurer, Alfons}, title = {{\"O}konomisierung und Humanit{\"a}t. Konzept einer ganzheitlichen Altenpflege}, series = {Fromm Forum (Deutsche Ausgabe - ISSN 1437-0956), 15 / 2011, T{\"u}bingen (Selbstverlag), pp. 32-38.}, journal = {Fromm Forum (Deutsche Ausgabe - ISSN 1437-0956), 15 / 2011, T{\"u}bingen (Selbstverlag), pp. 32-38.}, language = {de} } @article{Lee, author = {Lee, Kyeong-Hwa}, title = {『주홍글씨』와 『와인즈버그, 오하이오』에 등장하는 패배자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osers Who Appear in >The Scarlet Letter< and >Winesburg, Ohi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영어영문학연구 [The Jungang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3, No. 2 (2011), pp. 217 231.}, journal = {영어영문학연구 [The Jungang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3, No. 2 (2011), pp. 217 231.}, abstract = {Back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rich Fromm, a famous psychologist, claimed that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are based on trading economy, because modern people do not have faith in the moral principles by which life ought to be guided. However, according to Fromm, such business relations are not in harmony with human nature. As Fromm pointed out, today's human relations are problematic, considering that they are based on trading economy rather than moral values.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problems of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with its focus on the win-or-lose culture. And >The Scarlet Letter< and >Winesburg, Ohio< are examined to this end. Both of the novels were written during the transient period when America changed from a traditional society to a modern society. For this reason, these novels disclose the bad effects of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bad effects on human relations. Hester Prynne, the heroine of >The Scarlet Letter<, is a loser in the sense that she was outcast and despised by the surrounding people during her lifetime. The inhumane behaviors of the Puritans toward Hester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istic anxiety caused by Calvinism. Similarly, modern people are suffering from individualistic anxiety, even though it is not in terms of religion. And the individualistic anxiety represses human nature that loves righteousness and morality. The immoral and inhumane behaviors done in the name of loser today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Winesburg, Ohio< criticizes that industrialization undermined the foundation of human relations. In the short story >Godliness<, Jesse Bentley is obsessed with the desire for success, which causes conflicts and alienation in his relationship with his daughter. Meanwhile, >Paper Pills< suggests that the experience of losing can be valuable, because it teaches us how to understand people with compassion. In conclusion, it seems that what improves the world eventually is love, not competition.},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에리히 프롬과의 비교를 통해서 [A Critical Examination of Nietzsche's View on Buddhism and Christianity -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rich Fromm's View]}, series = {현대유럽철학연구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No. 27 (2011), pp. 101-138.}, journal = {현대유럽철학연구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No. 27 (2011), pp. 101-138.}, abstract = {이 글은 니체가 『안티그리스도』에서 개진하고 있는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견해를 프롬의 견해와 대조하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니체의 견해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있다. 니체는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현실을 고통에 가득 찬 부정적인 것으로 보면서내면으로의 도피나 피안으로의 도피를 주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허무주의적이라고 보며, 또한 양자가 모두 생명력의 약화와 퇴화에서 비롯되었으면서도생명력의 약화와 퇴화를 조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데카당스적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반해서 프롬은 종교를 크게 권위주의적인 종교와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대별하면서 불교를 대표적인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보는 반면에 그리스도교에는 두 가지 요소가 섞여 있다고 보고 있다. 프롬은 예수의 참된 정신과 그리스도교 신비주의는 인본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반면에, 이른바전지전능한 신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을 요구하는 제도화된 교회의 교리는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았다. 프롬이 이렇게 종교를 권위주의적 종교와 인본주의적인 종교로 구별하고 있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니체가 종교를 힘에의 의지를 강건하게 만드는 종교와, 그것을 약화시키고 병들게 하는 종교로 구별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니체가 어떤 종교의 좋고 나쁨은 그 종교가 실재를 얼마나 반영하느냐가 아니라 인간을 얼마나 강건한 존재로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처럼, 프롬역시 어떤 종교의 좋고 나쁨은 그 종교가 인간을 얼마나 정신적으로 성숙한존재로 만드는지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프롬이 부처와 예수를 인류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가치를 제시하고구현한 인류의 사표로 보는 반면에, 니체는 부처와 예수를 결국은 힘에의 의지가 약했던 데카당으로 본다는 점에서 양자는 사실상 입장을 전적으로 달리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양자 간의 차이는 궁극적으로는 『안티그리스도』에서의 니체가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을 주창하는 계몽주의적인 휴머니즘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에 반해 프롬이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데에서 비롯된다. 니체가 계몽주의뿐 아니라 불교나 그리스도교에 나타나고 있는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을 힘이 약한 자들의 자기기만정도로 보는 반면에, 프롬은 오히려 진정한 내적인 힘에서 비롯되는 사해동포주의적인 사랑이 존재하며 그러한 정신적인 능력을 구현하는 것이야말로우리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Lee, author = {Lee, Sam-hyung}, title =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The Education of Reading as a Lifelong Education]}, series = {국어교육학연구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1 (2011), pp. 29-52.}, journal = {국어교육학연구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1 (2011), pp. 29-52.}, abstract = {본고는 우리나라의 성인들의 독서율이 OECD 국가에서 최하위에 위치한다는 문제가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이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고는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관을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존재양식의 독서에 찾고 있다. 즉, 우리의 독서와 독서교육은 소유양식의 독서에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강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독서가 지식을 소유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존재양식으로 승화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의 독서계는 문학 독서와 설명적 글의 독서를 전혀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문학 작품의 독서에서는 삶의 고양과 같은 목적을 명시하는데 반해 설명적 글의 독서에서는 단지 정보처리에 주된 관심을 둔다. 그러나 프롬의 설명대로 문학 작품의 독서나 설명적 글의 독서에 소유양식과 존재양식이 모두 가능하다면, 설명적 글의 독서라고 해서 정보처리라는 울타리에 가둘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를 위해서 독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는 먼저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인 독서교육이란 사실적 독해와 같은 기초적인 독해력을 충실히 양성하고 비판적 독해와 같은 고수준의 독서로 나아가야 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독서교육이 기존의 입시 위주의 독서교육에서 벗어나 독서 경험이 자신의 관심과 삶과 관련을 맺고, 독서가 끝이 없는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이며 몰입하여 기쁨을 누리는 과정이라는 의미 있고 재미있는 독서 경험이 중심이 되는 독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language = {ko} } @article{Hong, author = {Hong, Soon-Won}, title = {에리히 프롬의 정신분석학적 윤리 - >자기애< 개념을 중심으로 [Erich Fromm's Ethics of Psychoanalysis -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rcissism]}, series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 No. 74 (2011), pp. 229-246.}, journal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 No. 74 (2011), pp. 229-246.}, abstract = {The doctrine that love for oneself is identical with selfishness and that it is an alternative to love for others has pervaded theology and the pattern of daily life. Fromm tries to distinguish the selfishness from self-love. He insisted that love for one person implies love for man as such. From this, it follows that my own self, in principle, is as much an object of my love as another person. Fromm finds the crisis of contemporary culture not in the egoism but in the lack of self-concern. According to his point of view, the self-love is the very ground of neighborly love, as the self-hatred causes the hatred to others. The selfish person falls in fact short of self-love. The selfish person has first of all to overcome his Narcissism in order to fulfill the self-love. The self-love includes the aspect of agape, since it identifies itself with the object of love. It has social dimension, while the Narcissism has a tendency to be controlled by the natural instinct. The characteristics of Fromm's idea on self-love lies in his attempt to distinguish it from narcissism as well as from selfishness.},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eong-shin}, title = {이성복 시에 나타난 소외 극복 과정 고찰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와 『남해금산』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Isolation Shown in Lee Sung-bok's Poems: Focusing on >Dwing-guneun dol-eun eonje jam kkaeneunga?< and >Namhaegeumsan<]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44 (2011), pp. 179-200.}, journal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44 (2011), pp. 179-200.}, abstract = {이성복은 한국의 198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병든 시대 의식을 >정든 유곽<에 빗대어 파악한 빼어난 감수성을 보여준다. 유곽은 병원, 기차역, 시장과 함께 인생을 연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로, 시적 화자에게 병든 징후를 드러내는 공간이다. 본고는 이성복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평자나 논자들이 간과한 프롬의 소외론에 논의의 근거를 두었다. 프롬에 의하면, 소외의 근원이 자연으로부터, 사회로부터, 이웃이나 타자로부터, 심지어는 자기 자신이나 자아로부터 소외됐다는 것이다. 이런 면을 이성복 시에 적용하여 분석의 틀로 삼았다. 프롬에 의하면, 사랑이란 분리된 것을 결합하고, 소외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성복은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에서 당시의 고통스런 시대상을, 『남해금산』에서는 치욕적인 현실로부터 사랑에 이르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고통 속에 내재된 치욕이야말로 사랑이라는 인식에 이른 결과이다. 즉 사랑은 아픔이며 그 아픔을 통과할 때만이 아픔 속에 내재된 소외를 극복할 수 있으며, 그런 아픔의 인식이야말로 치유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국 이성복은 >뒹구는 돌<이라는 혼란스런 의식 내부의 공간에서 >남해금산<이라는 열린 공간으로의 끊임없는 자기 소외 극복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ong Tai}, title = {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Pro-lif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series = {생명연구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19 (2011), pp. 11-48.}, journal = {생명연구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19 (2011), pp. 11-48.}, abstract = {이 논문은 대학생의 생명을 위한 교육을 자아실현의 관점과 연결하여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그 실천적인 방법을 제안하려는데에 목적을 둔다. 나는 우선 삶의 목적, 자아실현, 행복개념등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다음으로 전통적 및 현대적 덕목들이 자아실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긍정 심리학<과 >행복 심리학<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한다. >생명개념<에 관한 정의나 이해방식은 참으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해야한다. >생명현상<은 생물학을 비롯한 자연과학과 의학등의 탐구대상이고 >생명의 본질<은 철학적 이론과 기타 인문과학의 연구대상이다. 물론 여러 고등 종교에서도 각기 경전과 교리에 토대를 두고 생명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오늘날 생명의 의의와 존엄성을 드높이려는 교육과 운동에서 내걸고 있는 >생명의 문화<는 >죽음의 문화<의 반대개념이다. 죽음의 문화는 모든 생명을 경시하는 의식과 풍조에서 싹트고 이기주의, 쾌락주의, 물질주의가 그 온상이다. 현대사회에서 만연된 죽음의 문화는 생명의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자의 도덕적 자각과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생명문화의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삶의 방식은 에리히 프롬이 말한대로 >소유의 삶<이 아니라 >존재의 삶<이어야 할 것이다. 생명을 위한 교육은 교양교육의 범위에서 모든 대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