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Kim, author = {Kim, Mee Jin}, title = {노인자살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대한 분석과 소외 극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 [Christian Consultation for the Analysis and Overcoming of Alienation,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s]}, series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journal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abstract = {본 연구는 노년기 자살에서 자살의 원인이 되는 소외에 관한 연구이다. 소외가 노인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에 착안하여 노인자살의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아울러 소외에 관하여는 Irvin Yalom의 실존주의 심리학적 관점과 Erich Fromm의 사회심리학적 관점, Paul Tillich 실존신학적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소외 개념을 통합하여 노인자살 문제에 적용했으며 또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현상은 네 가지로 나타났는데, 자기소외, 대인관계의 소외, 사회심리적 소외, 신과의 소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소외 극복을 위한 상담 방법적 결론은 상담자와의 참 만남을 통하여 소외에 직면할 힘을 가지게 됨의 중요성과, 죽음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죽음에 직면함으로 죽음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소외 극복을 위한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년기 자살의 수동적인 유형으로 죽음에 대해 소망하는 것을 궁극적 관심에 대한 소망으로의 전환과 전인적인 기독교 상담을 통한 소외 극복 방안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Kweon Hwan}, title = {논어』의 군자와 소인: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상 [Jūnzǐ and Xiǎor{\´e}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a Human Character orienting for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series = {동양철학연구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No. 78 (2014) pp. 37-68.}, journal = {동양철학연구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No. 78 (2014) pp. 37-68.}, abstract = {본 논문은 『논어』의 군자와 소인이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임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의 군자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당위적 덕목을 나열하고 그 덕목을 갖추기 위해 수양하라는 지극히 간단한 구조였다. 그런 연구는 >군자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나름대로의 성과를 내고 있지만 군자 모습의 형상화만으로는 군자의 총체적 의미를 다 살려냈다고 보기 힘들다. 왜냐하면 군자는 완전한 인간으로 우뚝 선 결과적 모델이 아니라 완성을 지향하는 과정적 인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 그 반대편에 있는 소인도 같은 논리로 과정적 인간이 된다. 이런 과정적 인간의 모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연구가 에리히 프롬 『인간의 마음』이다. 그는 인간의 마음이 세 가지 정향에 따라 성장 증후군을 나타내거나 쇠퇴 증후군을 나타내는 쪽으로 변하는 것으로 모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그 모형에 착안하여 군자, 소인, 중인의 관계도를 완성하였다. 보통사람으로 지칭될 수 있는 중인을 가운데 배치하고 여기서 출발하여 위로 성장하는 정향을 가진 사람을 군자로 보고, 아래로 쇠퇴하는 정향을 가진 사람을 소인으로 보았다. 그리고 성장의 최고 단계에 도달한 사람을 성인으로, 쇠퇴의 극한에 이른 사람을 폭군으로 보았다. 또 성장과 쇠퇴를 결정하는 정향을 각각 세 가지 제시함으로써 관계 모형의 타당성을 높였다. 그 세 가지는 성장의 정향으로 인의, 예악, 학습 정향을, 쇠퇴의 정향으로 불인, 비례, 자포자기의 정향을 제시했다. 본 논문의 이런 모형을 통해 군자와 소인에 대한 다음과 같은 새로운 관점과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군자와 소인은 고정적 인간형 모델이 아니라 어딘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과정적 인간이라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성장 정향을 가진 군자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쇠퇴의 정향을 가진 소인의 위험성을 경고할 수 있다. 셋째, 성장과 쇠퇴의 정향 사이에서 유동하고 있는 보통 사람에 주목하게 되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Kwangsik}, title =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본 EXO의 >으르렁 [The Song >Eureureong< [Growl] of EXO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und E. Fromm]<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사회와 철학 [Social Philosophy], Vol. 35 (2018), pp. 45-66.}, journal = {사회와 철학 [Social Philosophy], Vol. 35 (2018), pp. 45-66.}, abstract = {>으르렁<은 젊은 세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노래 가운데 하나다. 이 노래는 젊 은 세대에게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노래는 철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노래다. 으르렁대는 야만적인 무한경쟁의 심리가 드러나 있다. 이 논문은 그 노랫말을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보고 그 철학적 까닭과 해법을 찾아보았다. 니체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시기, 곧 타자 부정이며, 그 해법은 긍 정, 곧 자기 긍정이다. 자기가 사랑하는 이성을 사랑하는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때문이며, 그 바탕에는 열등감과 시기심이 깔려 있다. 무엇보다 먼저 자기를 가치 있는 사람으로 긍정하면, 열등감과 시기심에 빠지지 않고,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해 불안이나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프롬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며, 그 해법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다.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이성을 독차지하려는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 때문이다. 무엇보다 먼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가지면, 사랑의 존재, 곧 사랑의 과정 및 경험 그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성을 독차지하지 못하거나 잃어버릴까봐 불안해할 필요가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으르렁<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우리 젊은 세대는 자긍심보다 열등감이나 시기 심이 강하고,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보다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 강한 경향이 있다. 우리 나이든 세대의 유산일 게다. 걱정되는 것은 그러한 경향이 더 노골적이고 거칠어졌다는 점이다. 철학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무한경쟁을 낳는 사회 구조적 원인이 가장 큰 탓이다. 하지만 철학자의 탓이기도 한 만큼 우리 철학자들이 젊은 세대의 자긍심이나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북돋우는 데 힘써야 한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Keum-Dong}, title = {김기영의 <하녀>에 나타난 장르 연구 [A Study on Genres in Kim Giyoung's Film >Hanye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문학과 영상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Vol. 7, No. 2 (2006), pp. 37-68.}, journal = {문학과 영상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Vol. 7, No. 2 (2006), pp. 37-68.}, abstract = {In 1960s, realist films such as >The Coachman< by Gang Daejin and >An Aimless Bullet< by Yu Hyeonmok depicted with sympathy the poverty-stricken life and desperate circumstances of working class in urban area after war whereas >Hanyeo< [>The Housemaid<] by Kim Giyoeng sternly and sharply analyzed the middle class as well as the working class without emotional involvement as to what kind of economic relationship they had in industrial capitalism and as to what kind of psychological symptoms were induced by the economic relationship. Moreover, the characters in >The Coachman< and >A Aimless Bullet< were those who could not get away from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life style whereas the characters in The Housemaid were completely new people who were cut off from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raditional life style. >Hanyeo< presented that all desires and impulses of the characters who lived in the society of industrial capitalism were completely dominated by the principles of capitalism. Unfortunately,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 movie were not aware of such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theirs at all, and consequently, they could not avoid their misery and devastation. It is not easy to find a film using such an unique mo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s. Moreover …},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ong-sik}, title = {에리히 프롬 사상의 교육적 의미 -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Meaning of Erich Fromm's Thought - Focusing on >Having or Being<]}, series = {The Journal of Education [교육논총] Vol. 36, No. 2 (2016), pp. 153-171.}, journal = {The Journal of Education [교육논총] Vol. 36, No. 2 (2016), pp. 153-171.}, abstract = {자아 상실은 현대인의 내적 공허감이나 쉴새없이 무엇인가를 소유해야만 하는 욕구 등에서 잘 나타났다. 아무 것도 시작할 수 없게 만드는 고통스러운 권태, 내적인 무기력, 자기 추진력의 상실과 그에 따른 의기소침 등이 그런 현상에 속한다. 또 자기 자신과 홀로 대면하는 것을 몹시 꺼려하는 현대인의 두려움도 마찬가지로 존재 상실의 결과라 하겠다. 어떤 형태로 표출되든지 간에 존재의 결핍은 창조능력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글의 목표는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소유와 존재의 개념을 밝히고, '소유적 실존 양식'과 '존재적 실존 양식'의 이해를 위해 두 실존양식을 비교하여 프롬이 말하는 '실존적 욕구'가 왜 교육의 기준점이 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글은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를 교육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취할 것이다. 이 글에서 이용한 텍스트는 차경화(2015) 옮김, 『소유냐 존재냐』 임을 밝혀 둔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in-Han}, title = {무엇이 유능한 성인교육의 교수자로 만드는가: 사랑으로 가르치는 따름학(followgogy)의 관점을 중심으로 [Who is The Great Instructor?: A Point of View >Followgogy< to Teach with Love]}, series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1 (2010), pp. 1-20.}, journal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3, No. 1 (2010), pp. 1-20.}, abstract = {유능한 교수자가 된다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의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절실한 과제이고 바람이다. 페다고지 교육현장이든 안드라고지의 교육현장이든 가르치는 자의 능력이 교육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기에 유능한 교수자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사랑으로 가르치는 것의 의미와 실천적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랑으로 가르치는 진정한 의미는 모호하며 사랑에 대한 의미부터 해석을 달리 할 수 있다. 에릭 프롬은 사랑의 의미와 방법적인 문제를 논하고 있지만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가르침을 위한 사랑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본고는 유능한 교수자가 되기 위해 가르침의 가장 원론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사랑으로 가르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사랑의 실천적 관점에서 교육의 현장을 분석하고 실천적 사랑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랑을 이해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의 괴리를 채워줄 함축적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인 가르침의 황금률은「남에게 대접받기 원하면 먼저 대접하라」는 예수의 사랑의 실천 원리가 최상의 방법이 될 수 있고 이는 따름의 학습 원리 즉 따름학의 실천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eong-shin}, title = {이성복 시에 나타난 소외 극복 과정 고찰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와 『남해금산』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Isolation Shown in Lee Sung-bok's Poems: Focusing on >Dwing-guneun dol-eun eonje jam kkaeneunga?< and >Namhaegeumsan<]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44 (2011), pp. 179-200.}, journal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44 (2011), pp. 179-200.}, abstract = {이성복은 한국의 198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병든 시대 의식을 >정든 유곽<에 빗대어 파악한 빼어난 감수성을 보여준다. 유곽은 병원, 기차역, 시장과 함께 인생을 연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로, 시적 화자에게 병든 징후를 드러내는 공간이다. 본고는 이성복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평자나 논자들이 간과한 프롬의 소외론에 논의의 근거를 두었다. 프롬에 의하면, 소외의 근원이 자연으로부터, 사회로부터, 이웃이나 타자로부터, 심지어는 자기 자신이나 자아로부터 소외됐다는 것이다. 이런 면을 이성복 시에 적용하여 분석의 틀로 삼았다. 프롬에 의하면, 사랑이란 분리된 것을 결합하고, 소외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성복은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에서 당시의 고통스런 시대상을, 『남해금산』에서는 치욕적인 현실로부터 사랑에 이르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고통 속에 내재된 치욕이야말로 사랑이라는 인식에 이른 결과이다. 즉 사랑은 아픔이며 그 아픔을 통과할 때만이 아픔 속에 내재된 소외를 극복할 수 있으며, 그런 아픔의 인식이야말로 치유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국 이성복은 >뒹구는 돌<이라는 혼란스런 의식 내부의 공간에서 >남해금산<이라는 열린 공간으로의 끊임없는 자기 소외 극복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a-Seong}, title =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소외문학의 현실 인식(I) -카프카의 「변신」에 나타난 소외의식을 중심으로 [Untersuchung zur Entfremdung in der Literatur aus soziologischer Sicht (I) - In Bezug auf das Entfremdungsbewusstsein in >Die Verwandlung< Kafka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헤세연구 [Hesse-Forschung], Vol. 19 (2008), pp. 251-267.}, journal = {헤세연구 [Hesse-Forschung], Vol. 19 (2008), pp. 251-267.}, abstract =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ie Bedeutung der Entfremdung und die Problematik der Identit{\"a}t in der modernen Industriegesellschaft. Es geht um die Entfremdung im Dasein des Menschen und den Verlust an der Beziehung zwischen >Ich< und >Welt<. Erstens sind nach Auffassung in diesem Beitrag die moderne Gesellschaft und die Entfremdung, Begriff und Ursache der Entfremdung, Erkenntnis der Entfremdungsstruktur sowie Verdinglichung, Konfliktstruktur und Zerst{\"o}rung des Subjekts unserer Zeit eingepr{\"a}gt. Im Hinblick auf theoretische Forschungen diskutieren wir Hegel und Marx vom philosophischen Gesichtspunkt, Melvin Seeman vom soziologischen Gesichtspunkt, und Erich Fromm vom psychologischen Gesichtspunkt aus. Im Allgemeinen l{\"a}sst sich sagen, dass die in die industriellen Strukturen eingebundenen Menschen an den Leistungsanforderungen zerbrechen k{\"o}nnen. Die Leistungssteigerung in s{\"a}mtlichen Facetten betrifft nicht nur den Arbeiter und Manager, sie betrifft auch den Autor, weil Umsatzsteigerung in jedem Betrieb Pflicht ist. In einer von N{\"u}tzlichkeit und Gleichg{\"u}ltigkeit beherrschten Gesellschaft steht der Mensch im Gegensatz zur Welt und zu sich selbst. Zweitens werden in Bezug auf >Die Verwandlung< Kafkas die Entfremdung des Menschen und der Verlust der Identit{\"a}t im literarischen Sinnbild angesprochen. F{\"u}r den heutigen Menschen ist die Zerrissenheit seines Lebens und seiner Welt charakteristisch. >Die Verwandlung< stellt die Gestalt des heutigen Menschen bloß, der an dem großen Mechanismus der heutigen industriellen Gesellschaft j{\"a}mmerlich zu Grunde geht. Es l{\"a}ge zun{\"a}chst nahe, die Verwandlung vom Menschen ins Tier als Identit{\"a}tsverlust aufzufassen. Denn die Verwandlung ins Tierhafte bedeutet zwar den Verlust der Sprache, die auf tierische Laute reduziert ist, einen Wechsel in der Nahrungsaufnahme und in einem r{\"a}umlichen Sichfortbewegen, also eine Reduktion der vitalen Organisation auf eine rein tierische Stufe; aber das Bewußtsein des Verwandelten ist ein rein menschliches, und er ist {\"u}berdies durchaus imstande, menschliche Vorg{\"a}nge und Gespr{\"a}che aus seiner Umgebung aufzunehmen. Gregor ist zwar in ein widerw{\"a}rtigrs Tier verwandelt, aber er h{\"o}rt darum nicht auf, Gregor zu sein. Mit der >Verwandlung< bleibt Kafka in der Ausweglosigkeit des mytischen Kreises gefangen, wo Opfer und Selbstopfer ununterscheidbar werden. Kafka sah sein >Ich< im Unheil und meinte zu erkennen, dass einzig im Leiden des Todes ein Zustand des Heils erreicht werden k{\"o}nne. So war es sein Bestreben, dichtend den Tod herbeizuf{\"u}hren, um auf diese Weise sein Seelenheil zu erringen.},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Hwang Gee}, title =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Art as the Grounds of the Lived Experience of Being]}, series = {미술교육논총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Vol. 21, No. 3 (2007), pp. 1-22.}, journal = {미술교육논총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Vol. 21, No. 3 (2007), pp. 1-22.}, abstract = {존재란 소유하거나 소유하려고 탐하지 않고 기쁨에 차서 자신의 능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고 세계와 하나가 되는, 그런 실존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교육은 미술을 통해서 가능한데 그 이유는 미술이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물음의 내적 과정이고, 존재론적 한계상황과 이를 극복하려는 성찰적 과정이 미술적 과정이고 이것은 자신의 경험일반에 자리하지 않기에 초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 지향적 미술교육은 다양한 앎의 방식을 제공하고, 통합을 추구하고, 열정을 경험하고, 자신을 발견하고, 내재적이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도 가진다. 그런 점에서 미술교육이 지식의 습득 정도 보다는 미술활동을 통한 의미체험이나 인간의 성장과 완성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열림은 우리 아이들로 하여금 전환적 계기를 맞이하고 자신의 존재와 마주하게 하는 것이다.}, language = {ko} } @article{Joo, author = {Joo, Kwang-Sun}, title = {성철 선사상의 서구철학과의 비교 [The Comparison of Seongcheol's Seon-Thought with the Occidental Philosophy]}, series = {코기토 [Cogito], Vol. 90 (2020), pp. 229-260.}, journal = {코기토 [Cogito], Vol. 90 (2020), pp. 229-260.}, abstract = {필자는 성철 선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필자는 상호문화철학의 유비의 해석학을 이용하여 성철을 서구 철학과 비교한다. 비교는 한 쪽에 다른 쪽을 포섭시키는 것이 아니라, 양자 사이에 관계를 하나 형성하는 것이다. 우선 데카르트는 성철과 의심이라는 지점에서 겹친다. 양자 모두 모든 것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그리고 극단적으로 의심한다. 그러나 데카르트가 의심을 확실한 지식을 발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반해서 성철은 어디에도 안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망상으로부터 해방되려고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성철은 근대의 시초인 데카르트보다 근대 비판가들인 마르크스나 프로이트와 더 많이 겹친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생산관계의 이데올로기적 반영과 반향에 사로잡혀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프롬에 따르자면 사회가 의식을 구성한다. 성철은 혁명을 꿈꾸지 않는다. 다만 깨달음을 통해서 마르크스나 프로이트가 주목하는 것을 포함해서 온갖 망상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한다.}, language = {ko} } @article{Jeong, author = {Jeong, Seok-kwon}, title = {알란 퍼스트의 『외신 특파원』 연구 - 자유, 정체성 그리고 사랑 [A Study of Alan Furst's >The Foreign Correspondent<: Liberty, Identity and Love]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36 (2009), pp. 357-375.}, journal = {현대문학이론연구 [The Journal of Literary Theory], No. 36 (2009), pp. 357-375.}, abstract = {Alan Furst's >The Foreign Correspondent< is mainly about the life of Italian intellectuals who had fled Mussolini's fascist government and found uncertain refuge in Paris. Their life is that of >diaspora< since as the etymological meaning of >diaspora< suggests, they had to leave their home country and to lead very precarious lives in a foreign country. Their life is dangerous as well as uncertain because they resisted fascism by publishing clandestine press that smuggled news and resistance messages from Paris back to Italy. Their lives can be traced as the pursuit of freedom. According to Eric Fromm, the freedom can be viewed as >the passive freedom< and >the active freedom<. This paper follows how Carlo Weisz,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whose job is a foreign correspondent, becomes to achieve the active freedom from the life of passive freedom. As a conclusion, this paper will discuss how Weisz achieves his identity through liberty and love.}, language = {ko} } @article{JeongYun, author = {Jeong, Sae_Byeol and Yun, Soo_Wan_2022}, title =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비판적 근대 사회 재현 - >만춘<과>맥추<를 중심으로 [The Critical Representation of Modern Society in Ozu Yasujiro's Films - Focusing on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씨네포럼 [Cineforum], No. 42 (2022), pp. 65-96.}, journal = {씨네포럼 [Cineforum], No. 42 (2022), pp. 65-96.}, abstract = {본 연구는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가 근대 사회를 비판적으로 재현하고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오즈 야스지로는 영화 내러티브 상에 근대 사회에 관한 견해를 드러내지 않더라도, 여러 연출 방식을 통해 근대 사회의 내재화된 모순과 고통을 폭로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논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만춘>과 <맥추>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근대의 시간을 표현하는연출과 근대인의 부정적인 특성을 묘사하는 연출을 살펴본다.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시계와 기차를 활용해 근대의 시간을 성찰한다. 일터에서 집 안까지로 침투하는 시계 소리의 활용은 효율성 극대화를위해 모든 인간 동작을 통제하는 근대의 선분화된 시간 질서를 표현한다. 기차를 연출하는 방식은 목적론적이며 비가역적인 근대적 시간의 특성을가시화한다. 시계 소리나 시곗바늘 각도에 맞춰 움직이는 인물들, 또는 기차 이미지와 함께 등장하는 인물들은 획일적으로 고정된 근대적 삶의 리듬을 내면화한 근대인을 묘사한다. 나아가 오즈 야스지로가 지향하는 배우의 연기 스타일과 인물 간의 시선 연출, 사물과 인물의 배치 등은 에리히 프롬이 근대인의 병리적 성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한 '자동인형적 순응' 개념을 활용해 분석하기 적절하다. 감정을 억제하는 표정과 부자연스러운 몸짓, 인물 간의 동기화된행위 연기는 감정과 생각이 통제되고 타인과 비슷하게 행동함으로써 무력감을 상쇄하는 근대인의 자동인형적 순응을 잘 보여준다. 인물 간의 불화하는 시선은 경쟁과 무관심에 바탕을 둔 근대의 고립된 인간관계를 드러낸다. 또 다중 프레임에 갇히거나 주변 요소에 의해 통제되는 인물 배치는근대화가 표방하는 자유와 개인 주체의 허상을 나타낸다. 한편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는 근대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근대적 사고 체계를 거부하는 역설적 연출을 보여주기도 한다. 관객과 영화 사이에 비판적 거리를 두는 비인간적 시선과 과거, 현재, 미래가 혼재하는 비선형적 시간을 나타내는 연출이 대표적이다. 근대의 모순이 잔존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본 연구가 오즈 야스지로 작품의 의미를 유효하게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하길 기대한다.}, language = {ko} } @article{JeongYun, author = {Jeong, Moun-Kwon and Yun, Nam-Hui}, title = {(性)을 통한 합일(合一)의 형상화- 1920-30년대 한국소설을 중심으로 [Consciousness of Unity through Sex - Focused on Korean Novels in the 1920's through the 1930'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한국문예비평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No. 27 (2008), pp. 185-210.}, journal = {한국문예비평연구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No. 27 (2008), pp. 185-210.}, abstract =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unity of will could be realized through sex in the Korean novels which were written in the special period of the 1920's through 1930's which wer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modernization. Erich Fromm's philosophical speculation was a good criterion to clarify this kind of process. The right way to forward the truth of unity was the very matured love that Erich Fromm talked about. Matured love is to feel the unity in the circumstances the parties respect another's individuality. However, at that time, many people were exposed to poverty due to Japanese colonial polic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prostitution, one way of solution out of poverty, was mixed with the desire lay behind unconsciousness and this resulted in destruction in the end. Characters of Boknea in Gamja (Potato) and Chunho's wife in the novel of Sonagi (A sudden shower) were created at that time. Modern women and men could not be free from sex ideology deeply rooted in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predominance of me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moving forward to the true unity, some people fell in love with in the novels. Some examples are that Yeonsil who fell in love in the novel of >Kim Yeonsil Jeon< and Young Chae who decided to commit suicide because of purity complex in the novel of >Mujeong<. Even, there appeared a character like Soonok in the novel who sanctify sex. However, they found their identity in the end and their actions were proved as transitional phenomenon taking place between the gap of unity and want by showing their will of true unity. Also, there is a character in the novel who agrees the process of unity based on respect for the other sex. Youngshin and Donghyuk in the novel of >Sangroksu< are those examples. It can be said that the love realized by them shows the truth of unity.}, language = {ko} } @article{Jeong, author = {Jeong, Chang Rok}, title =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에 대한 분석과 생명의료윤리교육 I - 에리히 프롬의 입장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Authoritarian Mechanisms 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and Medical Ethics - Education in Korea with a Focus on Erich Fromm]}, series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7, No. 2 (2014), pp. 187-213.}, journal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7, No. 2 (2014), pp. 187-213.}, abstract = {교육이 사회를 반영하듯이, 의료도 사회를 비춘다. 본 논문은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적 경향이 교육과 의료의 영역에 만연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프롬의 자본주의비판과 관련된 입장들이 한국 의료 사회를 대상으로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이려고 한다. 이 목표를 위해 먼저 에리히 프롬의 사상을 개관해 보고, 사례를 통해 한국 의료계를권위주의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해 다루어 본다. 이후 에리히 프롬의 여러 사상적 개념들 중에서 특히 소외와 도피의 개념에 주목하여, 한국 의료계의 여러 현상들에 상식적으로 적용한다. 이때 상식적이라 함은 특별한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동원하지 않고,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었을 의료 경험을 통해 수긍할 만한 수준을 뜻한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필자는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해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프롬의 입장에서 제안하려고 한다. 프롬은 현대인들이 활동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있다고 비판한다. 필자는 프롬이강조한 활동의 회복이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담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language = {ko} } @article{Hwangetal, author = {Hwang, Soo-Min and et al.,}, title = {웰라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트렌드 분석연구2014년에서 2018년까지 [Analysis of Hairstyling Trends in the Wella Collection: From 2014 to 2018]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rt], Vol. 19, No. 4 (2018) pp. 187-199.}, journal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sthetic Art], Vol. 19, No. 4 (2018) pp. 187-199.}, abstract = {Entering the 21st century, new cultural trends have been formed after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and the environment. Social psychologist Erich Seligmann Fromm proposed that 'the ability to predict the future and express subjects and acts in diverse ideas' is an attribute that makes humans different from animals. There are very diverse ways and views to predict trends and experts from individual fields can predict trends by studying related laws. These trends can be viewed as a phenomenon that expresses the emotions and personality that exist in people's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people want to create trendy and unique styles, using diverse elements and design factors by escaping from a conventional concept of beauty. Humans design and develop new tools that are both esthetic and functional through harmony between art and science. In fashion, art and cosmetology, trendy collections are suggested annually by predicting trends in advance. New and diverse trends that differ from past trends are always pursued.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furthermore, trends have become a large issue around the globe. Hairstyling is closely related to trend so that there should be continued studies on new trend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airstyle trends in the Wella Collection from 2014 to 2018. It analyzed these hairstyles by shape, texture and color, and the results ar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analyzing hair collections. It is hoped that they would be useful in predicting future trends.}, language = {ko} } @article{Hong, author = {Hong, Soon-Won}, title = {에리히 프롬의 정신분석학적 윤리 - >자기애< 개념을 중심으로 [Erich Fromm's Ethics of Psychoanalysis -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rcissism]}, series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 No. 74 (2011), pp. 229-246.}, journal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 No. 74 (2011), pp. 229-246.}, abstract = {The doctrine that love for oneself is identical with selfishness and that it is an alternative to love for others has pervaded theology and the pattern of daily life. Fromm tries to distinguish the selfishness from self-love. He insisted that love for one person implies love for man as such. From this, it follows that my own self, in principle, is as much an object of my love as another person. Fromm finds the crisis of contemporary culture not in the egoism but in the lack of self-concern. According to his point of view, the self-love is the very ground of neighborly love, as the self-hatred causes the hatred to others. The selfish person falls in fact short of self-love. The selfish person has first of all to overcome his Narcissism in order to fulfill the self-love. The self-love includes the aspect of agape, since it identifies itself with the object of love. It has social dimension, while the Narcissism has a tendency to be controlled by the natural instinct. The characteristics of Fromm's idea on self-love lies in his attempt to distinguish it from narcissism as well as from selfishness.}, language = {ko} } @article{HeoKim, author = {Heo, Wook Jae and Kim, Rando}, title = {소비자소외의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Consumer Alienation]}, series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 2, No. 2 (2006), pp. 21-43.}, journal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 2, No. 2 (2006), pp. 21-43.}, abstract =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consumer alienation<, which forms and impedes the welfare of consumers in modern consumption society. In order to reconceptualize the consumer alienation, the paper delves into the existing discussions by philosophers including Hegel, Marx, Luk{\´a}cs, Fromm, and the Frankfurt School, and positivists such as Seeman, Dean, and others. By rediscovering existing discussions of alienation, the paper defines consumer alienation as >the heteronomic phenomenon that instrumentalize consumers to function as means to fulfill the capitalism, which results in the impediment of consumers' autonomic decision-making<. The authors expect that the study contribute to the conceptualization of various problems evolved from modern consumer society by employing the concept of consumer alienation.}, language = {ko} } @article{Han, author = {Han, Sun-Young}, title = {집단상담에서의 힘의 변형 연구 - 권위적인 힘으로부터 상호적인 힘으로의 변형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ower in Group Counseling - Transformation from Authoritarian Power to Reciprocal Power]}, series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No. 123 (2022), pp. 301-336.}, journal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No. 123 (2022), pp. 301-336.},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힘의 변형 관점에서 집단상담 이론을 재이론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폭력성이 집단상담 과정을 통해 변형된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집단상담이 힘의 변형 자원이 있음을 논증하고, 힘의 변형 관점에서 권위주의가 뿌리 깊은 한국의 목회 영역에 유의미한 실천적 적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힘은 관계의 맥락 안에서 권위적인지, 혹은 상호적인지 정의되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힘의 변형이란, 대인관계과정에서 권위적인 힘이 상호적인 힘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진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의 이론과 과정을 힘의 변형 관점에서 다시 구조화했다는 점에서 그 주요한 성과가 있다. 또한 집단상담의 힘의 변형 자원을 신학적으로 조명하여 오늘날 한국교회의 리더십 유형과 공동체의 관계성 유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language = {ko} } @article{Han, author = {Han, Hyong-Jo}, title = {기氣의 자연과 인간 - 주자학의 미분화적 교호적 사고 논구 [Man and Nature in the Way of Qi - A Study of Zhu Xi's Undifferentiated and Correlational Thinking]}, series = {다산학 [Journal of TASAN Studies], No. 14 (2009), pp. 111-140.}, journal = {다산학 [Journal of TASAN Studies], No. 14 (2009), pp. 111-140.}, abstract = {이 논문은 주자학의 근본적 곤혹 하나를 파고든 시도이다. 이제까지의 접근과는 달리 혹시 자연과 인간의 엄밀한 이분법 자체가 역사적 산물이 아닐까 하고 접근한다. 세계는 하나이지만 세계관은 여럿이다. 인간은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는 수많은 방식을 갖고 있기에, 누구도 독점적 정당성을 고집할 수 없다. 다룰 논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인간과 자연의 상관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자연과 윤리의 미분화이다. 1) 자연의 의인화와 자연-인간동형론의 연원은 오래되었다. 주자학은 기氣의 풀 속에서 인간과 자연은 물리적으로 교환되고 있다고 말한다. 인식론적으로 사태는 주관을 통해서만 알려지며, 그런 점에서 사실과 가치 사이에 엄밀한 선을 그을 수 없다는 것을 참고하자고 했다. 2) 자연과 도덕의 엄밀한 구분은 인간 본성의 불신에 기반하고 있다. 과연 윤리는 자연성의 억압 혹은 극복에서 자라는가. 도덕을 자연적 본성의 확인과 그 실현이라고 생각한 동서의 현자들이 많다. 그들은 주자가 이理를 사물의 질서이자 도덕적 지향으로 읽는 데 거부감을 갖지 않을 것이다. 보통은 납득하기 어렵다. 자신의 본성에 대해 무지하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Preface (Korean)}, series = {E. Fromm, Authentisch leben (Korean), Seoul (Thoughts of a Tree Publishing) 2016, pp. 6-13.}, journal = {E. Fromm, Authentisch leben (Korean), Seoul (Thoughts of a Tree Publishing) 2016, pp. 6-13.}, language = {ko} } @misc{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Preface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7-13.},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7-13.}, language = {ko} } @article{Choo, author = {Choo, Jung Wan}, title = {프롬의 사랑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romm's Love Theory]}, series = {윤리교육연구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No. 48 (2018), pp. 33-58.}, journal = {윤리교육연구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No. 48 (2018), pp. 33-58.}, abstract = {본 논문의 목적은 프롬이 제시한 사랑의 의미와 실천 방법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롬의 사상적 배경과 함께 그가 제시한 사랑론의 이론적 근거, 사랑론을 구성하는 주요 내용 및 프롬이 규정한 사랑의 대상, 그리고 사랑의 실천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행 고등학교 선택 과목인 『생활과 윤리』 교과에서는 '성과 사랑의 윤리'를 학습 주제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행 교육과정을 따르는 교과서들에서는 해당 영역에서 프롬의 사랑에 관한 입장을 학습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다루는 프롬의 사랑론에 대한 원전 중심의 종합적인 검토는 교과 내용 및 교수학습 과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 {ko} } @article{ChoKang, author = {Cho, In Sook and Kang, Hyeon-Suk}, title =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특징과 시사점 탐구 [Bruner's Narrative and Its Suggestions]}, series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Vol.1, No.1 (2013), pp. 5-24.}, journal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Vol.1, No.1 (2013), pp. 5-24.}, abstract = {우리나라의 근대 학교교육은 초기에는 생존을 위한 기술을 중시하였고, 생존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자 경제적인 부(富)와 명예를 보장하는 지식을 중시하였다. 보다 유용한 지식의 추구에서 경쟁이 일상화되었고 이로 인해 여러 부분에서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간과할 수 없는 격차와 소외 또한 발생하였다. 본고에서는 Erich Fromm이 『소유냐 존재냐』에서 경고한 바와 같이 현재 학교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인간소외 현상은 교육이 지식을 소유하고 소비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존재에 관심을 돌려 교육주체의 체험과 실천을 통해 주체를 성장하게 하고 그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찾고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데 주력해야 하는데 가장 적절한 수단으로 Jerome S. Bruner가 논의한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중반 Bruner의 인식론에 변화가 생긴 시기를 기점으로 전기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인 '지식의 구조'와 후기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인 '내러티브'의 특징과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내러티브가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language = {ko} } @article{Cho, author = {Cho, Eun-pa}, title = {>호텔 유로, 1203<에 나타난 소비사회의 실존 양식 고찰 [Deliberating Existence Types in this Society of Consumption Attested in >Hotel Euro, 1203<]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한국언어문화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JKLC)], No. 34 (2007), pp. 409-435.}, journal = {한국언어문화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JKLC)], No. 34 (2007), pp. 409-435.}, abstract = {>Hotel Euro, 1203< written by Jeong Mi-gyeong is a short story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her novels entitled >Bloodstained lover< and published in 2004. The novel depicts the life of a woman who is absorbed in a consumptive life in the modern rapidly changing society. It remains unchanged that consumption is a basic element of the capitalist society, but, in the modern society, consumption is used not simply to purchase daily necessaries but show off the social status and economic power of a consumer. Such tendencies in the society are given a good insight by >Hotel Euro, 1203<, where the causes and developments of consumers' desires are chased by means of the heroine who cannot control her desire to possess brand-name products. However, as is pointed out by Erich Fromm,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from various perspectives about how human beings having both existence-oriented desires and possession-oriented desires are becoming a consumption-oriented existence. The present author has investigated the above-mentioned writing and found that a decisive cause for changes in the heroine's values is personal hurts inflicted on her in the society where priority is not given to the practical values of a commodity but to the people's preference for it. That is demonstrated in the life of the heroine who was initially existence-oriented but turned to excessively possession-oriented in her later days when her integrity was damaged after she was forced to marry and divorce. Yet, it is a tragedy that her desire for possessions was not originated from inside her but instigated by her imitation of others and, subsequently, can never be satisfied. The novel concerned is raising an issue to be settled by modern people who make much of material values.}, language = {ko} } @article{An, author = {An, Seok}, title = {[성숙에 관한 기독교상담학적 연구 -정신분석 및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hristian Counseling for Maturity -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Psychoanalysis and the Humanistic Psychology]}, series = {신학과 실천 [Theology and Praxis], No. 32 (2012), pp. 397-427.}, journal = {신학과 실천 [Theology and Praxis], No. 32 (2012), pp. 397-427.}, abstract = {본 논문은 인간의 성숙에 관한 기독교상담학적 연구로서, 정신분석 및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긍정심리학의 태동 이전부터 자기실현적 입장을 지닌 상담심리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성숙한 인간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왔음을 밝혔다. 연구자는 프로이트가 성숙한 인간상으로서의 욕망의 절제를 설명하고 있는 성격의 삼원구조이론(tripartite theory of personality), 프롬의 성숙한 인간상으로서의 >생산적 인간(productive person)< 에릭슨의 인간의 근원적 힘으로서의 >덕(virtue)<을 살펴보았다. 그 후에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에서 올포트(G. Allport)의 건강한 성격으로서의 >성숙한 인격(mature person)<, 매슬로우(A. Maslow)의 성숙한 인간으로서의 >자기실현적 인간(self-actualizing person)<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후에 기독교상담적 측면에서 성숙에 대한 성서적 관점, 긍정적인 자기변화의 성숙을 위한 >희망(hope)<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는 성숙에 관한 심리학을 기독교 전통에서 고찰하면서 성숙의 의미가 성서적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개인의 성숙을 위해 지속적으로 신앙 안에서 돌보는 자와의 관계 안에서 희망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마무리 하면서, 인간의 성숙에 관한 일반상담심리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동시에 기독교상담학적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특히 기독교상담자들은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는 성령의 능력과 인도를 통하여 온다는 것을 인식하기에 기독교상담학적 관점에서 앞으로 다루어야 과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language = {ko} } @article{Ahn, author = {Ahn, Joon-Suk}, title = {카를로스 히메네즈의>House and Studio<에 보이는 생장성(生長性)의 지역적 의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ning of Architectural Growth in Carlos Jim{\´e}nez's >House and Studio<]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ol. 14, No. 2, (2012), pp. 11-18.}, journal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ol. 14, No. 2, (2012), pp. 11-18.}, abstract = {Carlos Jimenez's >House and Studio< was self-designed to fully function as both a home and workplace.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3, the installation has been continuously updated for almost 30 years solely under the guidance of the owner's life occurrences and routine needs. The additions and alterations succeeding the building's erection were executed to incorporate small yet symbolic fragments of the resident's memories and life episodes. The particularity of the >House and Studio< can be compared with other residential remodeling and expansion projects in regards to certain key aspects. These means of comparis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uilding strictly under the direction of a master plan of development vs. allowing natural adaptations that comply with the resident's needs, rapid development vs. gradual advancement, the ornamenting by exposing showy features vs. the enhancing by addition of modest natural components, sustainability vs. sustenance, systematic room divisions vs. ambiguous spatial organization, possession as a materialized asset vs. preservation as a recollection of memories, and finally the recognition as one example of signature architecture vs. the witnessing of a maturing animated shelter. The given propositions can be further explained with the comprehension of Erich Fromm's theory of the >Having< mode and >Being< mode, two mechanisms that categorize the essence of human life. The >Having< mode is described by the human greed for wealth, power, and influence, whereas the >Being< mode is comprised of compassion, joy, and productivity. Fromm's thesis applies to the general sense of human life, but the ideas can be narrowed to accommodate the architectural standpoint. In architecture, the >Having< mode can be translated to be the conspicuous form-oriented and self-contained object. The 'Being' mode, on the other hand, is transposed as the more natural form, incorporating the needs of the owner before commercialization. The growth of Jimenez's >House and Studio< can be perceived as an architectural suggestion to the overcoming of human indifference caused by fixation on the >Having< mode.},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Authentisch leben, Korean), Seoul (Thoughts of a Tree Publishing) 201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Heuimangeui Hyeogmyeong, Seoul (Mooney Publ.) 2023.},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Man for Himself, Korean), Seoul (Thoughts of a Tree Publishing) 2018, 376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The Age of Epigones. The Young Hegelians and Karl Marx,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Seoul (Moonhak gwa Jisung Sa) 1987, 331 pp.}, language = {ko} } @misc{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Foreword, Korean)}, series = {E. Fromm, (The Art of Being: Korean), Seoul (Kachi Publishing) 1995, pp. 11-16.}, journal = {E. Fromm, (The Art of Being: Korean), Seoul (Kachi Publishing) 1995, pp. 11-1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A New Start for the Continuation of MEGA-Project: Notes on the Recent Publication of MEGA IV/3}, series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46 (Summer 1999), pp. 855-881.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journal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46 (Summer 1999), pp. 855-881.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language = {ko} } @article{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Intellectual Movement in Germany during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Especially on the Theoretical Radicalism of the Young Hegelians}, series = {Journal of Korean Politics, Seoul Vol. 7 (1997), pp. 139.169.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journal = {Journal of Korean Politics, Seoul Vol. 7 (1997), pp. 139.169.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language = {ko} } @article{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The Problem of Text Editing in the Studies of The German Ideologie}, series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33 (IX/1,. Spring 1996), pp. 402-447.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journal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33 (IX/1,. Spring 1996), pp. 402-447.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language = {ko} } @article{Chung, author = {Chung, Moon-Gil}, title = {Was Die Deutsche Ideologie Written as an Article of a Quarterly Magazine?}, series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22 (VI/2,. Summer 1993), pp. 624-678.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journal = {Literature and Society, Seoul No. 22 (VI/2,. Summer 1993), pp. 624-678. (Korean with an English Summary)},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Art of Being: Korean), Seoul (Kachi Publishing) 2012 [originated 1974-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You Shall Be as Gods, Koren), Seoul (Hankyoreh Publishing) 2013, 267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Wehr, author = {Wehr, Helmut}, title = {Biophile Alternativen in der Weiterentwicklung der Schule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41-168.},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41-168.},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Schmidt, author = {Schmidt, C.}, title = {Der Umgang mit der NS-Vergangenheit im Spannungsfeld zwischen individuellem und gesellschaftlichem Unbewußten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85-306.},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85-30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Pongratz, author = {Pongratz, Ludwig A.}, title = {{\"O}konomisierung der Bildung - Eine Packungsbeilage zu Risiken und Nebenwirkungen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69-191.},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69-191.},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Park, author = {Park, H. K.}, title = {Are we Loving? - The Life and Idea of Erich Fromm (Korean), Seoul (Philmac Publishing) 2004, 336 p.}, language = {ko} } @article{Otte, author = {Otte, Rainer}, title = {Es geht um den Menschen! Erich Fromms Bedeutung f{\"u}r eine Weltwirtschaftsethik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28-345.},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28-34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Meyer, author = {Meyer, Gerd}, title = {Gesellschafts-Charaktere in Deutschland. Eine Charaktermauer zwischen Ost und West?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65-94.},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65-94.},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Kalcher, author = {Kalcher, Juergen}, title = {{\"U}ber die Vermessenheit des Messens Sozialer Arbeit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92-214.},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92-214.},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Johach, author = {Johach, Helmut}, title = {Gelebter Humanismus - Zeitdiagnose und politisches Engagement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95-117.},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95-11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Hardeck, author = {Hardeck, Juergen}, title = {Humanismus und Religion: Pluralismus der Wege, nicht der Werte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38-259.},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38-259.},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OPUS4-10213, title =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352 p. [= Funk, R., Johach, H., and Meyer, G. (Eds.), 2000]}, editor = {Funk, Rainer and Johach, Helmut and Meyer, Gerd},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Erich Fromms kleine Lebensschule - Koreanisch, Seoul (Woongjinthinkbig) 2008.}, language = {ko} } @article{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Biographical Postface - Korean),}, series = {E. Fromm, Sarangeui gisul, Seoul (Moonye Publ.), Seoul 2006, pp. 179-207. [Korean by Hwang Mun Su].}, journal = {E. Fromm, Sarangeui gisul, Seoul (Moonye Publ.), Seoul 2006, pp. 179-207. [Korean by Hwang Mun Su].},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Psychoanalyse der Gesellschaft. Der Ansatz Erich Fromms und seine Bedeutung f{\"u}r die Gegenwart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9-62.},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9-62.},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unk, author = {Funk, Rainer}, title = {Einleitung: Die Aktualit{\"a}t Erich Fromms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9-25.},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9-2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itzsche, author = {Fritzsche, K. P.}, title = {Die neue Furcht vor neuen Freiheiten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07-327.},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307-32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ederking, author = {Frederking, Volker}, title = {Vom Haben zum Sein. Fromms Gesellschaftskritik und die Mystik Meister Eckharts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17-237.},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17-23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Dietrich, author = {Dietrich, Jan}, title = {Religion und Gesellschafts-Charakter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60-281.},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260-281.},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Chung, author = {Chung, M. G.}, title = {Der Horizont der Marxologie in Korea: Die editorischen Probleme der Marx-Engelschen Texte und neue Studien zu ihren Werken (Korean), Seoul 2004, 364 p.}, language = {ko} } @book{Chung, author = {Chung, M. G.}, title = {Marx's Early Writings and Making of his Thought. Studies on The German Ideology and MEGA-Publication Project, Seoul (Moonhak gwa Jisung Sa Publishing Co.) 1994.}, language = {ko} } @misc{Chung, author = {Chung, M. G.}, title = {Studies on the Theory of Alienation [written in Korean; Chapter 3: >Erich Fromm's Psychoanalysis and His Argument on Alienation<, pp. 113-197], Seoul (Moonhak gwa Jisung Publishing Co) 1978, 320 pp.}, language = {ko} } @article{Bierhoff, author = {Bierhoff, Burkhard}, title = {Gesellschafts-Charakter und Erziehung (Korean)}, series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21-140.}, journal = {R. Funk, H. Johach, and G. Meyer (Eds.), Erich Fromm heute. Zur aktualit{\"a}t seines Denkens (Korean), Seoul Younglim Cardinal, Inc., 2003, pp. 121-140.},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m{\"a}nnliche Sch{\"o}pfung, Korean) [originated 1933]},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80-116.},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80-11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Bachofens Entdeckung des Mutterrechts,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7-35.},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7-3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Sa Hoi Pycong Non).},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On Being Human, Korean), Seoul (Chajaknamu Publishing) 199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Art of Listening, Korean), Seoul umwoosa) in print.},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Art of Being: Korean), Seoul (Kachi Publishing) 1995 [originated 1974-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Was ist der Mensch?,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215-226.},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215-22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U}ber die Urspr{\"u}nge der Aggression,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69-96.},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69-9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U}berfluss und {\"U}berdruss in unserer Gesellschaft,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3-68.},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3-68.},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almui sarangul wihayo, Seoul omyangsa) 198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Pubokchonge kwanhayo, Seoul omusa) 1987, 338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Humanism-eui jae balgyeon, Seoul (Hanbeot) 1983, 198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Banhang-gwa jayu, Seoul (Munhag chulpansa) 1983, 224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o Have Or to Be?, Korean), Seoul (Ehaksa Publishing House)},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oyu-in-ga jonjae-in-ga, Seoul (Maegmilandog-gyo chulpansa) 1984, 245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oyunya salminya, Seoul aejaesogwan) 1993, 262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oyunya chonjaenya, Seoul (Hagwonsa) 1994, 261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Sounya Salminya, Seoul (Kilhanmunhwasa) 1986, 302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o Have Or to Be?, Korean), Seoul (Kachi Publishing) 199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ie Aktualit{\"a}t der prophetischen Schriften,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207-214.},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207-214.},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Hitler - wer war er und was heißt Widerstand gegen diesen Menschen. Interview mit Hans J{\"u}rgen Schultz,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1986, pp. 181-207.},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1986, pp. 181-20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Im Namen des Lebens,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37-180.},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37-180.},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Psychologie f{\"u}r Nichtpsychologen,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07-136.},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107-13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er Traum ist die Sprache des universalen Menschen, Korean)}, series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97-106.}, journal = {E. Fromm, ({\"U}ber die Liebe zum Leben, 1983a-013 Korean), Seoul 1986, pp. 97-10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Epilogue,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Mother Right for Today,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26-132.},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126-132.},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Mother Right for Today,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Humanistic Planning,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Freud's Model of Man and Its Social Determinants,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Crisis of Psychoanalysis,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misc{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Marx's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Man,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The Revolution of Hope (Korean), Seoul ( ? )},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Heuimangeui Hyeogmyeong, Seoul (Hyeondae sasangsa) 1972.},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o We Still Love Life?, Korean)}, series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239-257.}, journal = {E. Fromm, (Liebe, Sexualit{\"a}t, Matriarchat, Korean), Seoul (BooBooks Publishing) 2009, pp. 239-25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article{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et al.: El complejo de Epido: Comentarios al >Analisis de la fobia de un ni{\~n}o de cinco a{\~n}os<, Korean)}, series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journal = {E. Fromm, Hyeondae inganeui jeongsinjeog wigi, Seoul (Jinyeongsa) 1976.},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Yutae-in-eui in-gansang, Seoul (Seo-eum chulpansa) 1983, 305 pp.},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Neoheuido sincheoreom doerira, Seoul (Beom-u-sa) 1980.},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Dojeonbadneun jeoldaeja, Seoul (Jinyeongsa) 1975.},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Age gwanhayeo, Seoul (Baegjo Publ.) 1974.},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 @book{Fromm, author = {Fromm, Erich}, title = {Inganeui maeum, Seoul (Munye Publ.) 1977.}, number = {translation / {\"U}bersetzung},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