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Qiu, author = {Qiu, Xuexian}, title = {弗洛姆的人生論及其在教育上的意義 [Fromm's Theory of Life and Its Significance in Education]}, series = {臺南師院學報 [Journal of Tainan Teachers College], Vol. 25 (1992), pp. 123-134.}, journal = {臺南師院學報 [Journal of Tainan Teachers College], Vol. 25 (1992), pp. 123-134.}, abstract = {本研究旨在探討弗洛姆的人生論,並闡釋其在教育上的意義。本研究主 要採用理論分析法。 本文共分四部分,首先,探討人究竟是什麼;其次,分析當前的社會環境;再次, 指出人類的新希望;最後,詳述弗洛姆的人生論在教育上的意義。}, language = {zh} } @article{Ou, author = {Ou, Yangqian}, title = {弗洛姆的規範人本主義及其生命倫理學 - 兼評現代西方人本主義哲學 [Fromm's Normative Humanism and its Bioethics - A Review of Modern Western Humanist Philosophy]}, series = {哲學與文化 [Philosophy and Culture], Vol. 23, No. 1 (1996), pp. 1233-1243.}, journal = {哲學與文化 [Philosophy and Culture], Vol. 23, No. 1 (1996), pp. 1233-1243.}, language = {zh} } @article{Li, author = {Li, Qiuxian}, title = {從弗洛姆《愛的藝術The Art of Loving》析論《三國演義》的親情書寫 - 以蜀漢後主為中心 [From Fromm's >The Art of Loving<, an Analysis of the Affectionate Writing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ith the Latter Lord of Shu Han as the Center]}, series = {問學 [Asking about Learning (Kaohsiung City: National Kaohsiung Normal University Chinese Literature)], Vol. 19 (2015), pp. 113-129.}, journal = {問學 [Asking about Learning (Kaohsiung City: National Kaohsiung Normal University Chinese Literature)], Vol. 19 (2015), pp. 113-129.}, abstract = {弗洛姆(Erich Fromm)愛的理論中認為,愛包括一些元素:照顧、責任、尊重及瞭解,其中母親與小孩的關係最密切,她代表著溫暖和安全的狀態,兒童從胚胎起便與母親相互依戀著,縱使日後脫離母體向世界探索,也是相當緊密的。值得注意的是,父親之愛與母愛最大的差別在於,母親是無條件的,而父愛是有條件的。《三國演義》對於劉禪親情的書寫,從三十四回出生到四十一回趙子龍單騎救主、四十二回摔阿斗、六十一回截江奪阿斗、甚至到後來八十五回的託孤事件、及後主登基之後劉禪與諸葛亮的關係等,在在都是於親情的軌跡上書寫。是故,本文欲從現代西方心裡學家弗洛姆(Erich Fromm)《愛的藝術 The Art of Loving》中對於親情剖析的觀點析論《三國演義》中劉禪為中心的敘述,期以重新理解作者在情節段落中的安排和更貼近真實人心的心理狀態,重要的是期盼能梳理出後主人格缺陷部分始是造成蜀國敗亡的真正原因,再從弗洛姆的父親之愛、母親之愛再推而影響人類成年後的父性良知和母性良知,以釐清日後造就出後主如此懦弱無能的主因,竟和童年的親情脈絡有著密不可分的關係。}, language = {zh} } @article{Lu, author = {Lu, Yuting}, title = {從心理學觀點看人及宗教 [Man and Religion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series = {哲學與文化 [Philosophy and Culture], Vol. 26 (1999), pp. 1116-1130;1187-1189.}, journal = {哲學與文化 [Philosophy and Culture], Vol. 26 (1999), pp. 1116-1130;1187-1189.}, abstract = {心理學普通不設宗教信仰這一問題,因為兩者的研究對象各有不同之故。但由於心理學所討論的人,是「整體性」的,生理與心理固然不能分離,肉體與精神現象也很難完全分開處理;因此自五十年代以來,某些研究「人之所以為人」之特徵的心理學家,已開始對宗教信仰這一問題發生了興趣。心理學家討論信仰問題,不管他們的背境是什麼,藉通不強調、更不執著某種特定的宗教系統,如佛教、基督教、或天主教,雖然這些心理學家也有他們自己的特定信仰。本文收集了五位較有代表性的心理學家,並計劃從他們不同的立場來討論人與宗教之問題:(一)從成熟的人格觀點來看人之宗教信仰對人之人格成熟有何關連。這裡介紹了兩位心理學家,即亞爾伯之人格理論及梵岡之信仰健康觀。(二)從人生意義之探索看信仰問題。並以意義治療學之創始人以弗蘭克為代言人。(三)從追求道德及靈魂之實有看宗教,以新精神分析學權威佛洛姆為主。(四)從人之自我實現論談宗教信仰,並以此理論之創始人馬斯洛為主要依據。輔大以全人教育為宗旨,並以真善美聖為師生共同追求的目標,但全人教育不設宗教這一問題又如何能成為「全人」。真善美聖的實際內涵又脫不了終極關懷的問題。我們不願以自己的信仰談宗教,雖然我們也有此權利及責任,但畢竟易引起誤會及反感。本各完全以人自己的立場來說信仰,似乎應該易於接受。}, language = {zh} } @article{Hong, author = {Hong, Yingfen}, title = {從道德向度談文化關懷 - 由弗洛姆的觀點談起 [Cultural Care from a Moral Perspective - From Fromm's Perspective]}, series = {哲學與文化 [Philosophy and Culture], Vol. 27, No. 12 (2000), pp. 1147-1156, 1198.}, journal = {哲學與文化 [Philosophy and Culture], Vol. 27, No. 12 (2000), pp. 1147-1156, 1198.}, abstract = {文化是人類生活的所有表現,它包含了歷史洪流的縱向發展與社會型態的橫向延伸,它並非純物質世界的產物,而是精神內化於物質的展現,是精神生活的彰顯。每種文化都是人性的展現,在人性的自然情欲表現中,包含著喜、怒、哀、樂、愛、惡等種種情感,更簡單的區分,人有關懷、愛心與破壞、殘忍兩種相反的力量,它們雖然不是如食色等維生的基本欲望,但對人的影響卻常更甚之;因此,談道德不能抽離人性來討論,談文化不能脫離人性道德而論之。同樣,在今日我們要打造一個優質良善的環境,單從倫理道德本身來談是無法對症下藥,唯有通盤的把心理、社會文化等因素一併納入思考,方能窺探全貌。本文主要是從弗洛姆的觀點,以「人性需求與愛」以及「人性力量與文化進程」兩大角度切入,希望以此提醒人們開啟人性中道德力量對文化的強大影響力,並激發人們對文化永續課題的珍視。}, language = {zh} } @article{Hou, author = {Hou, Zuozhen}, title = {暴力與謀殺的背後:論九把刀恐怖小說中的破壞性人格 [Behind the Violence and Murder: On the Destructive Personality in Jiuzhodao's Horror Novels] [application of Fromm's theories to art]}, series = {中國現代文學 [Modern Chinese Literature], Vol. 22 (2012), pp. 215-233.}, journal = {中國現代文學 [Modern Chinese Literature], Vol. 22 (2012), pp. 215-233.}, abstract = {恐怖小說向來被視作通俗文學的範疇,較少受到學界的關注,其實在近代西方文學中,恐怖小說佔有重要的位置;在台灣,恐怖小說也有它發展的歷史,並具有特殊的社會文化意涵。本文以台灣網路作家九把刀的恐怖小說為探討對象,他的小說常出現荒謬的謀殺和暴力的場景,而人物往往充滿病態暴力的特質,揭示了現代社會的各種破壞性人格,並以血腥顫慄為惡趣。本文試圖探討這些破壞性人格的塑造,除了挑戰想像力和感官刺激的極限,背後是否具有人類生存困境的指涉,以及對現代工業文明社會的諷喻?本文主要借用佛洛姆的「破壞性人格三階段說」,來分析這些作品所隱藏的深層涵意,並思索破壞性人格的塑造與台灣的政經現狀之間,可能有怎樣的關聯性。}, language = {zh} } @article{Yang, author = {Yang, Huinan}, title = {論禪宗公案中的矛盾與不可說 [On the Contradiction and the Unspeakable in Zen Koans]}, series = {國立臺灣大學哲學論評 [National Taiwan University Philosophy Review], Vol. 9 (1986), pp. 139-153.}, journal = {國立臺灣大學哲學論評 [National Taiwan University Philosophy Review], Vol. 9 (1986), pp. 139-153.}, abstract = {There are three types of Ch'an kung-an that often bewilder Buddhologists; namely, (1) the contradictory, (2) the inexpressible, and (3) mixture of the two. D. T. Suzuki and the scholars influenced by him, for example, E. Fromm, think that these three types of kung-an imply the truth realized by Ch'an masters, the truth which goes beyond daily language and logic. However, as the author points out, there are two traditions in Ch'an School: (1) the >Buddha-nature< tradition based on the Laṅkāvatāra Sūtra, and (2) the prajna tradition based on the Diamond Sūtra. Suzuki and Fromm's interpretation only emphasizes the first tradition and ignores the second one. According to the second tradition, the contradiction and inexpressibility of kung-an may seem to indicate the truth of non-existence-śūnyatā, not necessarily indicating the truly existing >Buddha-nature<.}, language = {zh} } @article{Kim, author = {Kim, Mee Jin}, title = {노인자살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대한 분석과 소외 극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 [Christian Consultation for the Analysis and Overcoming of Alienation,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s]}, series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journal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KJCC)], Vol. 25, No. 3 (2014), pp. 9-46.}, abstract = {본 연구는 노년기 자살에서 자살의 원인이 되는 소외에 관한 연구이다. 소외가 노인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에 착안하여 노인자살의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아울러 소외에 관하여는 Irvin Yalom의 실존주의 심리학적 관점과 Erich Fromm의 사회심리학적 관점, Paul Tillich 실존신학적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소외 개념을 통합하여 노인자살 문제에 적용했으며 또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현상은 네 가지로 나타났는데, 자기소외, 대인관계의 소외, 사회심리적 소외, 신과의 소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소외 극복을 위한 상담 방법적 결론은 상담자와의 참 만남을 통하여 소외에 직면할 힘을 가지게 됨의 중요성과, 죽음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죽음에 직면함으로 죽음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소외 극복을 위한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년기 자살의 수동적인 유형으로 죽음에 대해 소망하는 것을 궁극적 관심에 대한 소망으로의 전환과 전인적인 기독교 상담을 통한 소외 극복 방안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language = {ko} } @article{Park, author = {Park, Chan-Kook}, title = {목적론적 입장에서 본 행복: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롬을 중심으로 [Happiness from a tele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Aristotle and Fromm]}, series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journal = {동서사상 학술저널 [Academic Journal of East-West-Thought], Vol. 11 (2011a), pp. 1-28. [Print ISSN 1975-5279]}, abstract = {이 연구는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와 헤겔에 이르는 서양철학의 고전적 전통을 지배했던 목적론에 입각하여 행복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이러한 목적론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자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져 있는 본질적인 형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보는 본질실현의 목적론이다.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은 근대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자기보존의 목적론과는 달리 모든 존재자들은 단순한 자기보존이나 종족번식을 넘어서 자신에게 부여된 본질적인 형상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복은 이러한 본질실현의 목적론을 전제로 할 경우에만 제대로 구명될 수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사실을 본질실현의 목적론에 입각하여 인간을 파악했던 가장 대표적인 사상가인 아리스토텔레스와 에리히 프롬의 행복관을 고찰함으로써 입증하고자 했다.}, language = {ko} } @article{Kim, author = {Kim, Jong-sik}, title = {에리히 프롬 사상의 교육적 의미 -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Meaning of Erich Fromm's Thought - Focusing on >Having or Being<]}, series = {The Journal of Education [교육논총] Vol. 36, No. 2 (2016), pp. 153-171.}, journal = {The Journal of Education [교육논총] Vol. 36, No. 2 (2016), pp. 153-171.}, abstract = {자아 상실은 현대인의 내적 공허감이나 쉴새없이 무엇인가를 소유해야만 하는 욕구 등에서 잘 나타났다. 아무 것도 시작할 수 없게 만드는 고통스러운 권태, 내적인 무기력, 자기 추진력의 상실과 그에 따른 의기소침 등이 그런 현상에 속한다. 또 자기 자신과 홀로 대면하는 것을 몹시 꺼려하는 현대인의 두려움도 마찬가지로 존재 상실의 결과라 하겠다. 어떤 형태로 표출되든지 간에 존재의 결핍은 창조능력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글의 목표는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소유와 존재의 개념을 밝히고, '소유적 실존 양식'과 '존재적 실존 양식'의 이해를 위해 두 실존양식을 비교하여 프롬이 말하는 '실존적 욕구'가 왜 교육의 기준점이 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글은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를 교육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취할 것이다. 이 글에서 이용한 텍스트는 차경화(2015) 옮김, 『소유냐 존재냐』 임을 밝혀 둔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