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ark, author = {Park, In-Cheo}, title = {기술시대와 사랑의 윤리학: 후설, 하이데거, 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 [The Era of Technology and the Ethics of Love: Focusing on the Love Theory of Husserl, Heidegger, and Fromm]}, series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journal = {철학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No. 66 (2004), pp. 145-166.}, abstract = {문】현대의 기술시대를 특징짓는 것은 기술에 의한 인간의 획일적 지배이다. 이 속에서 인간은 기술의 노예가 된 채 기술체제에 순응하며 살아가기를 강요받는다. 그럼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본성으로부터 멀어진 채 소외된 상태로 살아간다. 이러한 인간소외를 초래하는 기술시대의 극복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윤리학이 필요할 것인가? 전통적인 윤리학이 기반을 두고 있는 이성에 대한 강조만으로는 나름대로 매우 합리적이고 주지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기술시대의 전반적 경향에 대항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기술시대에 가장 결여되어 있는 것은 인간의 감성이다. 그리고 기술시대의 윤리학은 여기에 호소해야만 하나의 설득력 있는 윤리적 대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감성에 바탕을 두면서 동시에 기술시대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간의 능력은 사랑이다. 따라서 기술시대에 대한 하나의 효과적인 윤리적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사랑의 윤리학이다.그러면 기술시대에 적합한 사랑의 윤리학의 모델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여기서 본 글이 고려 대상으로 삼은 철학자는 후설, 하이데거, 프롬이다. 세 사람 모두 기술시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나름대로의 사랑론을 전개했다는 공통적 배경을 지닌다. 그러나 후설의 사랑론은 지나치게 이념적이고 추상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하이데거의 사랑론은 구체성과 현실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후설에 비해 발전적이나 소극적이고 비의지적이라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프롬의 사랑론은 양자의 단점이 비판적으로 극복된 것으로서 타자와의 결합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적 열망에 바탕을 두고 개인적 관념적 사랑이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프롬의 사랑론은 기술시대에서 황폐화되고 있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 있는 대안으로 적절하다. 기술시대의 사랑의 윤리학은 이러한 프롬식의 사랑론에 바탕을 둘 경우 타당한 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 language = {ko} } @article{Min, author = {Min, Hyoung-Won}, title = {비판이론과 정신분석학 (Ⅰ): 『역사와 계급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부터 초기 계급 의식의 탄생 [Kritische Theorie und Psychoanalyse (I) - Kritische Betrachtung {\"u}ber den Paradigmenwechsel in dem marxistischen Lager von den 1920er- zu den 1930er-Jahren]}, series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38, No. 6 (2004), pp. 33-64.}, journal = {美學(미학 [Mihak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Vol. 38, No. 6 (2004), pp. 33-64.}, abstract = {Dieser Aufsatz macht es sich zu seiner Aufgabe, aufgrund der Betrachtung der politischen Situation der 1930er-Jahre, die sich seit den 20er-Jahren radikal ver{\"a}ndert, die folgende Problematik deutlich zu machen: wie notwendig die Kritische Theorie aus der Luk{\´a}c'schen >Geschichte und Klassenbewusstsein<, die die beiden jeweils die Hauptparadigmen von 20er- und 30er-Jahren im marxistischen Lager vertreten, hervorgehen musste und gerade deshalb wie konsequent sich die Kritische Theorie mit Luk{\´a}cs >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auseinandersetzen musste. Dabei geht es im Kern besonders um die folgenden beiden Probleme: Erstens, aus welchen Grund die Kritische Theorie mittels gr{\"u}ndlicher Revision das Luk{\´a}cs'sche metaphische Totalit{\"a}tskonzept in den interdisziplinare Materialismus umwandeln musste; Zweitens, warum die Einf{\"u}hrung der Psychoanlyse innerhalb des wissenschaftlichen Rahmens des interdisziplin{\"a}ren Materialismus der Kritischen Theorie notwendig war, und wie sich allm{\"a}hlich die Psychoanalyse als zweite Hauptwissenschaft neben der politischen {\"O}konomie behaupten konnte.}, language = {ko} } @book{Park, author = {Park, H. K.}, title = {Are we Loving? - The Life and Idea of Erich Fromm (Korean), Seoul (Philmac Publishing) 2004, 336 p.}, language = {ko} } @book{Chung, author = {Chung, M. G.}, title = {Der Horizont der Marxologie in Korea: Die editorischen Probleme der Marx-Engelschen Texte und neue Studien zu ihren Werken (Korean), Seoul 2004, 364 p.},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