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Han, author = {Han, Hyong-Jo}, title = {기氣의 자연과 인간 - 주자학의 미분화적 교호적 사고 논구 [Man and Nature in the Way of Qi - A Study of Zhu Xi's Undifferentiated and Correlational Thinking]}, series = {다산학 [Journal of TASAN Studies], No. 14 (2009), pp. 111-140.}, journal = {다산학 [Journal of TASAN Studies], No. 14 (2009), pp. 111-140.}, abstract = {이 논문은 주자학의 근본적 곤혹 하나를 파고든 시도이다. 이제까지의 접근과는 달리 혹시 자연과 인간의 엄밀한 이분법 자체가 역사적 산물이 아닐까 하고 접근한다. 세계는 하나이지만 세계관은 여럿이다. 인간은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는 수많은 방식을 갖고 있기에, 누구도 독점적 정당성을 고집할 수 없다. 다룰 논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인간과 자연의 상관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자연과 윤리의 미분화이다. 1) 자연의 의인화와 자연-인간동형론의 연원은 오래되었다. 주자학은 기氣의 풀 속에서 인간과 자연은 물리적으로 교환되고 있다고 말한다. 인식론적으로 사태는 주관을 통해서만 알려지며, 그런 점에서 사실과 가치 사이에 엄밀한 선을 그을 수 없다는 것을 참고하자고 했다. 2) 자연과 도덕의 엄밀한 구분은 인간 본성의 불신에 기반하고 있다. 과연 윤리는 자연성의 억압 혹은 극복에서 자라는가. 도덕을 자연적 본성의 확인과 그 실현이라고 생각한 동서의 현자들이 많다. 그들은 주자가 이理를 사물의 질서이자 도덕적 지향으로 읽는 데 거부감을 갖지 않을 것이다. 보통은 납득하기 어렵다. 자신의 본성에 대해 무지하다는 것을 인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language =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