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Lim, author = {Lim, Chai-Kuang}, title = {소외개념에 대한 프롬과 마르쿠제의 정신분석학적 해명 [Technik und Entfremdung: Eine psychologische Untersuchung nach Fromm und Marcuse]}, series = {동서철학연구 [S.P.E.W -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No. 67 (2013), pp. 385-407.}, journal = {동서철학연구 [S.P.E.W -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No. 67 (2013), pp. 385-407.}, abstract = {프롬과 마르쿠제에 의하면 우리사회의 소외문제가 심각히 대두된 배후에는 기술과 과학의 전체주의적 속성과 자본주의적 산업논리가 기술을 동원하여 인간과 사회를 폭력적으로 지배하는데 그 핵심에 있다고 보았다. 아울러 두 철학자간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1, 사회과학적 방법론과 정신분석학을 접목시키는 학제간 연구를 연구방법론으로 채택, 2, 존재론적 측면에서 현실과 초월적 세계의 2원론적 구조를 취함, 3. 현대 기술사회를 반이성적이고 반생명적으로 봄. 또한 이들은 건전한 사회를 위한 구상 및 전망에 있어서도, 혁명적 인간상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데 그 유사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마르쿠제와 프롬 사이의 이견에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1, >소외< 개념에 있어서 마르쿠제는 일종의 퇴행이자 해결해야하는 사회구조적 병폐로 보고 있는 반면에 프롬은 마르쿠제와 달리 >사회적 병폐로서의 소외<로만 분류하지 않고 >존재론적 문제로서의 소외<로도 이해하고 있다.2, >자연< 개념을 두고 볼 때, 마르쿠제는 자연 낙관주의적 관점을 갖지만 프롬은 인간이 극복해야하는 대상으로서 인간의 삶에 부정적 대상으로 파악한다. 3, 마르쿠제는 >기술<을 원칙적으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단지, 선진 산업사회의 제도적 합리성이 기술의 사용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보았던 것에 반해, 프롬은 기술 자체를 일종의 중립적 대상으로 보고 있다.}, language = {ko} }